뜻으로 본 한국역사 - 젊은이들을 위한 새 편집
함석헌 지음 / 한길사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주에서 1정 연수 중, 강의해주신 현직 선생님께서 고등학교때 이과에서 문과, 그것도 역사 교사로 진로를 바꾸게 된 계기가 되었던 책이라고 말씀하셔서 읽게 됐다. 저자와 책 제목을 한번쯤 들어보기도 했었다.

 

원래 책 제목이 <성서적 입장에서본 조선역사>였다고 한다. 출판 직전 교파주의적이고 독단적인 내용을 삭제하는 등 대대적인 수정을 가하고 제목도 지금의 <뜻으로 본 한국역사>로 바꿨다는데

책을 읽는 내내, '이게 수정된 내용 맞나' 싶을 정도로 친기독교적 시각이 많이 반영되었다. 아니, '친기독교적', '반영'이라고 할 것 없이 그저 기독교 관점에서 쓰여진 책이었다. 분명 내가 이해한 것 이상의 깊은 의미가 담겨져 있는 책일텐데, 내겐 저자의 '주의'가 잘 나타나 있는 책 정도로만 다가왔다. 그 '주의'와 화법은 이제껏 다른 책에선 볼 수 없었던 전혀 새로운 것이기는 했다.

 

저자는 한국의 역사를 한마디로 '고난의 역사'라고 규정한다. 한반도의 지세가 백두산을 시작으로 하여 거기서 뻗어나온 산맥과 줄기가 남으로, 남으로 내려올수록 높고 낮음의 반복은 있되 전체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듯 한국의 역사도 고조선에서 해방 이후로 오면서 고난을 면치 못해 쭉 쇠퇴해왔다는 것이다.

 

그런데 저자는 한국역사에 있었던 외침이라든가 자연 재해, 임금의 폭정, 당쟁, 관리들의 가렴주구와 같은 고난들이 하나님의 뜻으로 우리에게 '주어진 것'이라고 본다. 책 제목 <뜻으로 본 한국역사>에서 '뜻'이란 바로 '하나님의 의지, 의도'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언젠가, 어디선가 책 제목을 들었을 땐 그 '뜻'이 '정의'를 의미하는 것인줄 알았는데, 아니었던 거다.

 

금강산, 설악산, 지리산 등에 한국 역사가 비교적 진취적 경향을 보였던 삼국시대, 고려전기(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세종시대 등을 대입했다. 그 마지막은 한라산인데, 지리산에서 마지막 힘을 발휘했다가 쭉 낮아지는 형태의 지세가 섬에 있는 한라산에서 다시 높아지는 이유를 역시 하나님의 뜻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거기 담겨있는 하나님의 뜻이란, 한라산의 높이는 1950미터로 하여 한국의 역사가 1950년을 기점으로 큰 변화의 계기를 갖게 되리라는 걸 암시했다는 거다.

 

저자는 한국 역사가 이렇듯 고난의 연속인 이유를 우리 민족이 자아를 되찾으려 노력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특히 신라의 삼국 통일, 고려 광종 시기 이후 과거제 실시와 유교 정치를 강도 높게 비판하고 있다. 당과 연합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에 이르게 한 김춘추를 '용서받지 못할 , '신라는 찌끄러기 막내아들'이라고 언급한 부분에는 저자의 분노가 여과없이 표출되어 있는 것 같다. 고구려가 망하지 않았다면 세계 역사까지 다르게 되었을 것이라는 저자의 생각은 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다.

 

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해 언급한 부분이다.

"신라가 삼국통일 한 것은 고구려의 비장한 주검의 그늘 밑에서 된 것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반도 동남구석의 조그만 신라가 반도 통일의 터를 닦게 된 것은 고구려가 몇백년 두고 북쪽의 침략자와 피를 흘리며 고된 싸움에 쉴 날이 없는 동안 덕택을 입어가면서 된 일이다. 신라 통일 사업 공로의 거의 절반은 고구려의 영(靈)앞에 제물로 바쳐야 한다."(176)

 

세조와 같은 잔인무도한 임금이 난 것도 최영 등을 죽이고 새 왕조의 임금이 된 이성계의 부덕함때문으로 보고 있으며, 임진왜란 역시 "태조의 건국 이래 2백년의 역사를 심판하기 위하여 하나님이 보내는 폭풍우"라고 했다. 또 통신사로 갔던 동인 김성일이 나라의 장래보다 자기가 속한 세력의 이익을 더 많이 생각한 결과 왜곡된 사실을 보고한 것을 가지고,

 

"김성일의 말보다 더 교묘하게 망국민의 심리를 그려낼 수 있는 시인, 화가가 어디있나? 평안 평안, 안락 안락, 마치 주린 거러지가 비웃음과 욕과 짓밟고 때림과, 그밖이 무엇과 바꾸어서라도 한 덩이 찬밥을 구하는 모양으로, 고난 가운데 부대껴온 이 민족은 한 찰나의 안락을 바꾸어 얻기 위하여 정신차릴 겨를이 없었다"(310)라고 비판하고 있다. 김성일을 '주린 거러지'에 비유한 것이다.

 

심지어 "해방도 하늘에서 온 것"(395)이라고 했다. 그 이유를,

 

"(해방이 되리라는 것을) 아무도 모른 것은 아무도 꾸민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사람이 꾸미지 않고 온 것은 하늘의 선물이다. 이것은 하늘이 직접 민중에게 준 해방이다. ... 이 해방은 어느 인물이 힘써서 된 것도 아니요, 어느 파가 투쟁을 해서 된 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공정하게 사실을 사실로 보는 한 이것을 인적노력에 돌릴 수는 없고 부득이 하늘에 돌릴 수밖에 없게 되었다. 그렇게해야만 아무도 그 고역을 치르고 나오는 민중을 속일 수 없고, 따라서 그들이 오는 시대의 주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후술하긴 했지만, 해방 직후 민중이 진정한 의미로서 역사의 주인이 되지 못했을 뿐더러, 해방을 위한 지난한 노력들을 다 무용했던 것으로 보는 것은 좀 지나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지막으로... 이것은 책 앞부분에서 저자가 역사, 역사가에 대해 서술한 내용이다.

 

'자아에 철저하지 못한 믿음은 돌짝밭에 떨어진 씨요, 역사의 이해없는 믿음은 가시덤불에 난 곡식이다.'

 

'인간사회라는 솥 위에 피어오르는 일정한 형체없는 일(事象)의 수증기를 식혀서 한 형상을 붙잡아내는 것이 그(역사가)의 일이다. 그보다도 일고 꺼지는 산맥과 언덕과 골짜기며 시내를 두루 뒤타서 그 밑으로 달리고 있는 한 줄기 광맥을 찾아내는 일이라 하는 것이 옳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