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산맥 2 (무선) - 제1부 한의 모닥불 조정래 대하소설
조정래 지음 / 해냄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정현동이 최익승의 농락으로 토벌대 후위원장직을 떠맡게 되는 장면이다.

(125) "감투라면 무엇이나 좋아했었다. 그러나 이 감투는 진정 싫었다. 큰 아들은 빨갱이 이기 전에 아들이었다. 무엇 쓸 감투가 없어 아들을 적으로 삼는 후위원장 감투를 쓸 것인가. 정사장은 전에 느낄 수 없었던 핏줄의 끌림을 큰아들 하섭에게서 느끼고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분열책의 일환으로나 행해졌을 일이 이렇게 되풀이 되었다니.. 하긴 최익승이라는 자는 일본이 패망했다는 사실을 알고 대성 통곡하며 자취를 감췄다가 미군정이 들어서면서 다시 기어나와 권력을 휘둘렀던 인물이니, 그때나 이때나 다를 바 없는 게 당연하기도 하다. 가장 소중한 존재들을 서로 적대하게 만드는 건 생명을 앗아가는 것 만큼이나 치졸하고 못된 짓인 것 같다.

 

(128) "여수입민들이고 순천읍민들이고, 표나는 우익들을 빼놓고는 모두가 동네별로 학교 운동장에 끌려나가 심사를 받는다고 했다. 눈이 감겨진 채 실시되는 그 심사는 손가락질로 좌익을 가려내는 것이었고, 거기서 지목당한 사람들은 다시 몇 마디씩의 조사를 받았다. 그 간단간단한 조사에서 생사가 결판나는 것이었다. 손가락질은 이장이나 피해자 가족들이 맡았다. .. 조사를 거쳐 좌익 혐의를 받은 사람들은 심사십 명씩 차에 실려 가까운 산골짜기나 해변을 끌려나가 무더기로 총살당해 죽었다. 순천에서 죽어간 사람들도 수없이 많았지만 특히 여수에서 죽어간 사람들은 그 수를 알 수가 없을 지경이라고 했다."

 

나만 모르고 다 아는 사실인가? 책에 '백두산 호랑이 김종원'이라는 자가 등장하는데 사람들을 일본식 칼을 휘둘러 공개처형한 것으로 유명했다고 한다. 실존인물인가, 해서 찾아봤더니 정말 검색이 됐다.

 

이런 사람이다.

 

김종원(金宗元, 일본어: 金山宗元, 1922년 ~ 1964년 1월 30일)은 경상북도 경산군에서 출생한 일본군 군인이자 대한민국 국군의 장교이다. 1946년 1월 15일 국방경비대 제1연대 A중대 소대장이었으며, 1948년 10월 27일 마산에 주둔하던 5연대 1대대 대대장으로서 여순사건 당시 반란을 진압하였다.[1] 만주에서 일본군으로 근무 당시 독립군과 그들을 지지하던 조선인들에게 가혹하게 대했던 그는 여수에서도 시내에서 잡아오는 가담자들을 시민들이 두려움 속에 지켜보는 가운데서 권총으로 쏴 죽이고, 일본도로 목을 잘랐다.

1956년 5ㆍ15 대통령선거 뒤 부정선거의 공을 인정받아 내무부 치안국장에 임명되었으며 1960년 5월, 4월혁명 뒤 임흥순과 이익흥 등과 함께 장면 부통령 저격사건에 연루돼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1961년 12월 당뇨병으로 병보석을 받아 1964년 1월 30일에 사망했다.(출처 위키백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