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겔 & 마르크스 : 역사를 움직이는 힘 지식인마을 24
손철성 지음 / 김영사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회 선생님이 생일 선물로 주셨다. 이 '지식인 마을' 시리즈가 학교 도서관에도 있는데, 원서를 보는게 좋을 것 같아서 거들떠 보지도 않았었다. 그런데 이 한 권을 읽고나니, 나머지 시리즈 권들도 재밌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로 대립하거나 영향을 주고 받은 두 명의 지식인이 주인공인데, 앞부분에는 두 지식인의 생애와 학문적 성과라든지 특징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나와있고, 가운데 부분에는 두 지식인들의 가상 대화가 나와있다. 그리고 끝부분에는 '이슈'라고 해서 현재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과거 지식인의 문제의식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소개한 코너가 있다.

 

헤겔과 마르크스는 둘 다 칸트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칸트는 근대 계몽주의의 전통을 계승하여, 인간의 이성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역사의 운동을 이해했다. 낙후한 독일 사회를 계몽된 사회로, 즉 이성이 지배하는 합리적 사회로 만들어야 한다는 시대적 과제를 부여받은 지식으로서, 헤결 역시 계몽주의적 전통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역사철학 이론을 전개했다.

 

'헤겔'하면 변증법이 떠오른다. 변증법에서는 모든 사물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 속에 있다고 보는데, 이 부분에서 얼마 전 오마이뉴스 온라인 철학 강의에서 들었던 소피스트 제논의 '역설'이 언급되었다. 사회가 변화하고 발전하는 이유는 내부에 대립과 갈등, 모순이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런 것들 없이 안정과 조화만 있다면 사회는 항상 동일한 상태에 머물러 있을 것이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헤겔 철학을 비판적으로 수용했다. 내용보다는 변증법적 방법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고, 그래서 헤겔의 관념론을 비판하는 대신 유물론을 주장하여 '변증법적 유물론'을 체계화했다. 마르크스는 자신의 철학을 '유물론'이라고 부른 적이 없다고 한다.

 

마르크스의 유물론에 따르면, 인간은 생존하기 위해서 물질적 생산 활동을 해야 하는데, 이 물질적 생산 활동이 경제적 토대가 되어 정치나 법, 종교, 사상과 같은 상부구조를 결정한다.

 

마르크스와 헤결이 나눈 대화중에,(181)

(헤겔) "'이성'은 변증법적인 자기 전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이성적인은 것은 현실적이고, 현실적인 것은 이성적입니다."

(마르크스) "그런 논법에 따르면 현실은 이성적이기 때문에 나치즘을 포하한 어떠한 기존 현실도 이성적인 것으로 정당화됩니다. 따라서 그런 주장을 옳지 않습니다. 이성적인 것은 현실적인 것이 '되어야'하고, 현실적인 것은 이성적인 것이 '되어야'합니다."

라는 부분은 왠지 중요한 거 같아서 옮겨 적어본다.

 

대학때 수박 겉 핥듯 깨작깨작 봤던 것들이 조금 떠올라서 감회가 새로웠다고..해야..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