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잃어버린 여행가방 - 박완서 기행산문집
박완서 지음 / 실천문학사 / 2005년 12월
평점 :
책의 목차를 보고 구매를 결심하게 됐다. 물론 작가의 명성도 있었지만, 작가가 소개하는 여행지가 좀 특이하다고 생각했다. 남도, 하회마을, 섬진강, 오대산 등지는 그렇다 치더라도, 바티칸, 백두산, 에티오피아, 인도네시아, 티베트, 카트만두 등은 하나하나 그 자체로도 여행서에서 접하긴 좀 어려운 곳들이고, 조합 자체가 특이했다.
책을 읽은 뒤, 티베트에 꼭 가고 싶다는 마음이 생겼다.
“인간의 입김이 서리기 전, 태초의 하늘빛이 저랬을까? 그러나 태초에도 티베트 땅이 이고 있는 하늘빛은 다른 곳의 하늘과 전혀 달랐을 것 같다.. 바늘쌈을 풀어놓은 것처럼 대뜸 눈을 쏘는 날카로움에선 적의마저 느껴진다. 아마도 그건 산소가 희박한 공기층을 통과한 햇빛 특유의 마모되지 않은, 야성 그대로의 공격성일 것이다..” 라고 작가가 얘기했던 티베트의 하늘을 눈으로 꼭 보고 싶다.
또,
“우리가 초모랑마(에베레스트)에 대해 외경심을 갖는 것은 세계의 최고봉이기 때문이지만 인도나 티베트, 네팔 등 힌두 불교 문화권에서는 창조의 근원이라고 생각하고 일생에 한 번이라도 순례하기를 열렬하게 소망한다. 순례의 길이 고통스러울수록 죄가 정화된다고 믿어 고통보다는 법열을 느낀다고 한다. 그들처럼 최소한의 소유로 단순 소박하게 사는 민족도 없다 싶은데 이런 엄청난 죄의 대가를 지불하려 들다니, 그들이 느끼고 있는 죄의식이 어떤 것인지 우리 같은 죄 많고 욕심 많은 인간에겐 상상이 미치지 않는 영역일 듯싶다.”부분은 자본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전부 다 오체투지로 초모랑마를 넘어야할 인간들이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했다.
“진정코 부끄러운 것은 남의 도움을 받는 게 아니라 받은 것을 더 낮은 곳으로 돌려주는 것을 잊어버리고 사는 것이다.”
나도 이렇게 뉘우침으로부터 깨달음을 얻게 해주는 여행 한 번 해보고 싶네. 문화유적이 아주 많은 곳에 가서 하나라도 놓칠세라 전전긍긍 목적에 따라 이끌려 다니는 여행 말고, 네팔 같은 곳에 가서 무한정 걸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