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받지 않을 권리 - 욕망에 흔들리는 삶을 위한 인문학적 보고서
강신주 지음 / 프로네시스(웅진) / 200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철학적 시 읽기의 괴로움>을 읽기 전에 이 책을 먼저 읽었어야 했다.

강신주씨 책 중에서 '제자백가의 귀환' 시리즈 1, 2권 다음으로 재미있게 읽은 책이다. 최근 강신주씨에게 너무 푹 빠져있는 듯....ㅋ

 

철학이 매우 낯설기도 하고 어려워서 쏙쏙 이해가 되는 건 아니지만, 일상 중 어느 순간 문득문득 강신주씨 책이 떠오를 때가 있다. 구체적 문구가 온전하게 기억하는 건 아니지만, '이런 순간에 떠올리고 싶었던 뭔가가 그 책에 있었는데..'하면서.. 그런걸보면,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책임에 분명한 것 같다.

 

강신주씨의 책 중 그나마 이해하기가 좀 수월하게; 느껴지는 책이다.

마르크스 철학을 제대로 공부한 건 아니지만 어쨌든 지금까지 자본주의 체제를 마르크스의 입장을 통해 바라보거나 혹은 맹목적으로 마르크스의 견해를 따라 비판했던 게 전부였는데, 이 책을 통해 자본주의를 비판했던 다른 철학자들의 입장을 접해볼 수가 있었다. 그리고 '모던보이' 이상의 작품을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보들레르, 라파르그, 벤야민, 니체, 고진 등등의 책을 직접 읽어보고 싶지만, 강신주씨와 같은 친절한 해설자 없이는 불가능할 것 같다;;

 

(93)짐멜은 "자유의 본질은 궁극적으로 모든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특수성과 비교 불가능성이 삶을 살아가는 가운데 표출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고 강조했.. (99)짐멜이 니체를 통해서 긍정하고자 했던 '질적 개인주의'는 인간이 새로운 역사로 나아갔다는 진보의 표시로 보기 어렵습니다. 겉으로는 자신의 개성과 욕망을 표현하는 자유가 실현된 듯 보이지만, 그것은 생산의 차원이 아니라 소비의 차원에만 국한된 문제이기 때문이다. 만약 앞으로 자신의 개성과 욕망을 표현하는 자유가 생산의 차원을 포함한 인간 실존 전체의 문제로 확장된다면, 짐멜이 주장했던 질적 개인주의도 한 차원 높은 수준에서 다루어지겠..

 

(174) 벤야민이 도박 문제에서 주목했던 부분도 바로 이러한 자본주의의 종교성이란 테마였습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에게는 자본주의 자체가 또 다른 종류의 종교였을 뿐입니다. .. 사실 마르크스에게서 자본주의와 종교는 전혀 다른 차원으로 사유되었지요. 마르크스는 종교를 자본주의가 가져다주는 고통을 완화시키는 일종의 아편으로 생각했습니다. .. 마르크스에게 자본주의가 현실이라면 종교란 현실과 무관한 공상입니다. 그러나 벤야민은 마르크스와 달리 자본주의 자체가 현실이고 동시에 공상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벤야민은 대도시에서 이루어지는 대부분의 행동이 돈이라는 신에게 바치는 기도라고 생각했습니다. ... 만약 돈이라는 신에 대한 철저한 복종, 그리고 신의 은총을 기다리는 소망과 기대 심리가 인간에게 존재하지 않았다면 자본주의는 결코 기능할 수 없다고 보았..

 

(362) 우리와 우리 이웃들은 산업자본에 고용되어 수많은 상품을 만들어내지요. 그리고 노동의 대가로 얻은 임금을 자신과 이웃이 만들어낸 상품들을 구매하는 데 사용합니다. 산업자본의 소비 전략을 통해 결국 자신이 만든 상품을 스스로 구매하는 것입니다. 노동자가 동시에 소비자라는 너무도 자명한 사실, 노동자가 자신이 만든 물건을 자신의 임금 가치보다 춸씬 더 비싸게 소비한다는 사실, 이것이 바로 자본주의가 멈추지 않고 작동하는 핵심 비밀이자 신비입니다. ... 자본주의하에서 돈은 분명히 자유라는 감정에 물질적 기초를 제공합니다. 호주머니에 돈이 두둑하면 자유의 감정, 두려움 없는 당당한 감정을 느낍니다. 그러나 원하는 상품을 마음대로 구매할 자유, 즉 이러한 소비의 자유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모든 사람의 생존에 필요한 물품들을 적절히 생산할 수 있는 '생산의 자유'가 부재하기 때문입니다. '생산의 자유'란 결국 자본가 자신이 독점하는 것..

 

(381) 소비 영역은 소비자가 노동자이기도 하다는 사실을 은폐하려는 산업자본의 음모, 나아가 소비자의 허영을 부추겨 소비를 촉진하려는 산업자본의 전략이 관철되는 매우 중요한 공간입니다. 소비 영역에서 전개되는 이 같은 산업자본의 음모와 전략을 폭로하는 것, 바로 이것이 보드리야르의 평생 숙원 사업이었습니다.

 

가라타니 고진이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제시한 '생산-소비 협동조합'에 대해 알고 싶어졌다. 노동자가 노동자이기도 하면서 소비자이기도 하다는 사실은 자본가에게 치명적일 수 있는 부분이다. 일하지 않을 권리와 사지 않을 권리가 동시에 실천된다면..

 

www.fmkorea.or.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