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 산책 1960년대편 1 - 4.19 혁명에서 3선 개헌까지 한국 현대사 산책 6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50년대 3권에서 맺음말에서도 언급되었던, '소용돌이 문화'. 이런 표현을 처음 사용하고, 정의를 내린 사람은 10년 동안 한국에서 외교관으로 근무한 미국정치학자 그레고리 핸더슨이었다.

 

'소용돌이 문화'란 어느 한 곳을 향해 맹렬한 기세로 돌진하는 소용돌이 같이 극단으로 치닫는 문화적 경향성을 일컫는다.

 

소용돌이 문화가 초래한 결과들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언급하고 있다. 정치의 과잉, 지도자 숭배, 공직의 출세 도구화, 승자 독식 문화, 패권 쟁취를 위한 분열주의, 뜨거운 교육열, 위험을 무릅쓰는 문화,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충실한 문화, 여론의 휘발성, 피곤한 삶.

 

중앙 그리고 권력의 상층부에 도달하고자 하는 '목숨 건' 발버둥으로 점철되었던 시대. 지금이라고 해서 이 시대와 크게 다를까.

대부분은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 목숨을 걸고 매진하도록 등 떠밀고, 떠밀리고 있지 않나.

 

이것도 전쟁이 남긴 후유증이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전쟁으로 기존의 사회구조, 질서 등이 붕괴되고 이후 권력이 재편되어 가는 과정에서 개인의 목적 성취를 위해서라면 온갖 수단와 방법(아무리 비도덕적, 비양심적인 것이라해도)을 동원할 수 있다는 것이 암묵적으로 용인되었기 때문에.

 

이 편에서는 장면 정부 기간 4.19 혁명이 좌절되어 가는 모습, 5.16 군사쿠테타의 과정, 주체들 면면의 입장, 미국의 태도 등을 다루고 있다.

 

쿠테타가 발생한 16일 오전, 미국은 윤보선에게 쿠데타군이 3천 600명 밖에 안되니 충분히 진압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런데 윤보선은 동족끼리 전투를 벌일 수 없다는 이유로 진압을 거부했다. 쿠데타 발발 직후 이틀 넘게 잠적했던 장면 보다 더 비겁한 것 같다.

 

미국의 태도 역시 모호했다. 초기에 진압을 제안했다고 하지만, 곧 상원에서는 적극적 개입을 회피했다. 그리고 박정희가 쿠데타 후 공산주의작 930명을 구속했다고 발표하자 '한국의 사태는 고무적'이라며 쿠데타에 대한 사실상의 지지를 표명했다.

 

친미적이긴 하나 권위가 없었던 장면 정부 보다는 강력한 반공정부가 미국의 기호에 맞았을 수도 있겠다. 어쨌든 미국은 쿠데타를 배후에서 조종하지는 않았어도 이후 박정희 정권이 '반공'을 국시의 제일로 삼도록 하는데 영향을 준 것에 대한 책임은 있는 것 같다.

 

어째서 6.25 전쟁 중에 무고하게 학살당한 민간인들과 그 유족들이 이후 명예회복이 되기는 커녕 5.16 군사정변으로 이중의 탄압을 받게 되었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었다. 박정희는 미국의 인증을 받기 위해 반공에 대한 그의 의지와 적극성을 보여줘야 했고 남로당에서 활동했던 자신의 과거가 그의 발목을 잡는 일이 없도록 해야 했다.

 

아직 60년대 2, 3권 70년대 1, 2, 3권 80년대 1, 2, 3권이 남아있는데..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사람의 무고한 죽음을 읽어내야 하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