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현대사 산책 1950년대편 1권 - 6.25 전쟁에서 4.19 전야까지 ㅣ 한국 현대사 산책 3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4년 7월
평점 :
이승만을 권좌에서 물러나게 한 결정적인 사건은 3.15 부정선거였지만, 이 책을 읽고나니, 3.15 부정선거는 전국민적 항거를 이끌어낸 직접적 계기, 시발점, 도화선에 불과했다는 느낌이 들었다.
3.15 부정선거는 이승만이 저지른 수많은 죄악 중, 그러니까 무수히 많이 열거되는 쉼표, 쉼표, 쉼표, 쉼표,,,,에 종지부을 찍은 마침표에 불과했던 거다.
4.3사건과 여수순천사건에 대한 책임은 말할 것도 없고 이후의 국회프락치 사건, 반민특위 사건, 북진통일론, 한강 다리 폭파, 거짓 녹음 방송, 국민방위군 사건, 보도연맹 학살 사건 등. 헤아릴 수가 없다.
19세기 중후반에 태어나서 자란 이승만에게 인권에 대한 감수성이 있었기를 기대하는 게 무리인건가. 정말이지 이승만은 왕조의 부활을 꿈꿨던 게 아닐까. 친일매국노에게 보여준 관대함을 중도 세력, 좌익 세력에게도 조금만 나눠줬었더라면 어땠을까, 라는 생각을 해봤다.
1940년대를 읽는 것과는 어딘지 모르게 다른 느낌이다.
6.25전쟁을 지나고 있어서 그런가.. 이 시대를 활자로 접하는 것 자체가 이렇게 고통스러운데, 하물려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이 느꼈을 고통은 얼마나 극심했을까.
백선엽은 이렇게 말했다.
'지옥을 경험해보지 못했지만, 이 보다 더할 수는 없을 것이다.'
5.16 군사쿠데타 직후 보도연맹사건으로 학살된 자들의 유족들까지도 탄압을 받았다는 것 역시 놀라운 사실이었다.
2004년에 거창사건 관련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조치법이 국회를 통과했는데, 100만명에 이르는 한국전쟁 피해자와의 형평성 문제와 부수단체의 반발 때문에 정부가 보상을 거부했다고 한다.
어느 외국 기자가 남긴, "전쟁의 최초 희생자는 진실"이라는 말이 기억에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