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통신사, 일본과 通하다 - 우정과 배신의 오백 년 역사
손승철 지음 / 동아시아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통신사를 따라 일본 에도시대를 가다>가 임란 이후 이뤄진 12차례의 사행에 대해 각 통신사 파견의 목적, 경과, 결과 등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반해 손승철 교수의 이 책은 왜구의 출현에서부터 메이지유신으로 인해 교린체계가 막을 내리기까지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은,
1. 동아시아 해역의 약탈자, 왜구
2. 공존의 시대, 통신사와 국왕사
3. 경상도의 저팬 타운, 삼포
4. 임진왜란, 불구대천의 원수
5. 통신사의 부활, 돌아온 평온의 시대
6. 침략의 전주곡, 통신에서 배신으로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통신사를 따라 일본 에도시대를 가다>는 이 책의 5장에 해당하는 내용을 집중적으로 서술하고 있다고 보면 되겠다.
일본 탐방때 손승철 교수의 강연을 들었는데, 그때 책 들고가서 사인을 받았어야 하는데 그러지못한게 너무 아쉽다.
강연은 이 책의 내용을 요약, 정리한 것이었지만 확실히 활자로 보는 것보다 생동감있고, 머리에 잘들어온다.
다음 학기, 한국사 수업에서 조선통신사 부분은 꼭 이 책을 가지고 교수님처럼 수업할거다. ㅋ ppt만들어서.
임진왜란 당시의 피해상황을 통해 전쟁의 참혹함을 상기시켜주고, 왜구가 조선인이었다거나 도요토미히데요시를 단순 영웅화 시키는 등 일본 중학교 교과서에서 이시대의 역사가 어떻게 왜곡되고 있는지도 알려줘야지.
쓰시마도주가 기록한 통신사 일행의 식단이라든가, 통신사 행렬을 지켜본 네덜란드인의 목격담 등은 아이들의 흥미를 끌만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