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데니소비치의 하루 청목 스테디북스 93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지음, 안영신 옮김 / 청목(청목사)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담담하다. 십년 가까이 강제노동 수용소에 갇혀 지내는 수감자의 하루를 제3자적 입장에서 아주 담담한 필체로 써내려갔다. 배경이나 시대상황이 자세하게 그려지진 않았지만, 수감자들의 일상을 통해 당시가 얼마나 비이성적이고, 비인간적이었으며 그렇기 때문에 얼마나 엄혹했던 시절이었는지를 느낄 수 있다.   

얼어 죽지 않기 위해 곡괭이질을 하고 빵 300g으로 하루를 버티며 그나마 건더기가 좀 더 많은 스프를 차지하기위해 줄을 서야하는 위치, 자리배치 하나하나에 모든 신경을 집중해야 하는.. 하지만 따뜻한 국물 한입에 "지금의 슈호프는 모든 것에 불만을 느끼지 않는다.기나긴 형기에 대해서도, 고달픈 하루에 대해서도, 또 다시 일요일을 쉴 수 없다는 불길한 소식에 대해서도. 지금 그의 머릿속을 사로잡고 있는 오직 한가지는 어떻게 해서든지 살아보자, 라는 생각뿐이다." 하고 설명될 정도로 소박하다.

슈호프의 죄목은 ''조국에 대한 반역''이다. 독소전에 투입되었다가 자진하여 독일군 포로가 되었고 독일군 첩보부대의 임무를 수행한 뒤 소련군으로 귀환했던 것이다. 이때 자진하여 포로가 된 것은, 단지 그래야만 하루라도 더 살 수 있을 것 같다는 희망 때문이었다. 하지만 간첩 혐의로 강제수용소에 갇히게 된다.
체자르는 영화감독이었으나 촬영이 끝나기전에 사상에 문제가 있다하여 투옥됐고, 부농의 아들이라는 사유로 투옥된 자도 있었다. 

책은 이반 데니소비치(슈호프)가 기상하는 새벽 5시부터 점호를 끝내고 자리에 눕는 밤 10시까지의 시간을 다루고 있다. 슈호프는 특별한 일이라곤 절대 일어날 수 없는 강제수용소에서 이곳이 '사회주의 단지'(아마 그곳은 훨씬 더 통제되고 모진 노동이 행해지는 곳이었나보다)가 아닌 것에, 빵 300g과 스프가 제공되는 것에, 그나마 일몰 후 노동이 멈춰지는 곳이라는 것에 자족한다.  

 "하느님, 덕분에 또 하루를 무사히 보냈습니다! 영창에 들어가지 않게 된 것을 감사합니다. 여기서라면 어떻게든지 견디어낼 수 있겠습니다." 

"슈호프는 묵묵히 천장을 응시했다. 이제는 자기가 과연 자유를 바라고 있는지 없는지조차 분명치 않게 되었다. 처음에는 애타게 자유를 갈망했었다. 저녁마다 앞으로 남은 형기를 손꼽아 세어보곤 했다. 그러나 얼마 후엔 그것도 지쳐서 포기했다. 그리도 또 얼마 후엔 형기가 끝나더라도 집에는 돌아갈 수 없고 다시 유형지(시베리아 및 중앙아시아 등의 변방)로 쫓겨가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유형지에서의 생활이 과연 여기보다 나을지 어떨지, 그것도 그에게는 알 수 없는 일이다."  

이 부분은 슈호프가 현재 생활에 자족할 수밖에 없는 충분한 이유가 되는 것 같다. 오늘보다 못한 내일이 예정되어 있는 자에게 현재가 가지는 의미는.. 체념적이긴 하지만 간절하기도 할 것이다.   

"이렇게 하루가, 우울하고 불괘한 일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거의 행복하기까지 한 하루가 지나갔다. 이런 날들이 그의 형기가 시작되는 날부터 끝나는 날까지 만 10년을, 그러니까 3,653일이나 계속되었다. 사훌이 더 많은 것은 사이에 윤년이 있었기 때문이다." 로 소설을 끝이 난다. 윤년으로 인해 사흘이 더 늘어났다는 설명은, 정말이지 뭐랄까.. 에누리 하나 없는, 조금의 여유로움도 용납되지 않는 통제된 수용소의 느낌을 전달해주는 것 같아서 숨 막히게 했다.  

실제로 작가 솔제니친은 스탈린을 비판한 글귀를 쓴 것이 문제가 되어 체포당한 뒤 강제노동 수용소에서 8년, 추방 3년형을 언도받았었다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