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4 - 평양의 날은 개었습니다, 개정판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4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한답사기, <평양의 날은 개었습니다>

1, 2, 3권을 대충 막 읽어서 그런가.. 대중적이고 재밌다는 느낌을 별로 못 받았었는데, 무릎팍에 유홍준 교수 나온 거 복 완전 삘 받아서 4권을 사서 읽었더니 너무 너무 재밌다!! 아니, 정말 정말 재밌다!! ㅋ

북한 문화재 나오면, "이거 북한에 있어서 우리가 쉽게 볼 수 없다"라고 말하면서 질문의 여지를 절대로 주지 않을 만큼, 나도 잘 모르고.. 그저 '문자'로만 다가와서 아무런 감흥을 주지 못했던 것들이 유홍준 교수의 입을 통해 풀이 되니, 정말 이해가 쉽게 되고 재밌다. 

특히 이 책을 읽으면서 북한에 있는 절을 한 군데라도 꼭 가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북한은 현실생활 속에서 종교보다 더 강력한 이데올로기의 신앙을 갖고 있기 때문에 스님들에게서 수도자나 성직자의 모습을 느낄 수가 없다고 한다. 당연히 절에는 스님들이 지내는 공간이 따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묘향산에도 꼭 가보고 싶다. 서산대사가,
"금강산은 수려하나 장엄하지 못하고
지리산은 장엄하나 수려하지 못하지만
묘향산은 장엄하고도 수려하다." 라고 했다는 그 묘향산.

또 홍명희의 <임꺽정>에서 갖바치가 스승 정희랑을 찾아와 수도한 곳, 박경리의 <토지>에서 환이가 도망가는 도중 죽은 별당아씨를 묻은 곳, 황석영의 <장길산>에서 길산의 아버지 명근스님이 계셨던 곳도 모두 묘향산이라니.. 궁금증이 완전 폭발.

또 '유럽에서 바르바로이가 날뛰는 암흑시대였고, 중국이 5호 16국의 전란으로 정신없었던' 시대에 그려진 강서큰무덤의 벽화도 꼭 볼 수 있었으면 좋겠다..ㅠ 

마지막으로.. <백범일지>를 통해서가 아니라, 이 책을 통해 알게 된 김구의 명언도 여기 옮겨적어야 겠다. 

"나는 우리나라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나라가 되기를 원한다. 가장 부강한 나라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니다. .. 우리의 부력은 우리의 생활을 풍족히할 만하고 우리의 강력은 남의 침략을 막을 만하면 족하다.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다. 문화의 힘은 우리 자신을 행복하게 하고 나아가서 남에게 행복을 주겠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