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 동안의 고독 -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작 문학사상 세계문학 6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안정효 옮김, 김욱동 해설 / 문학사상사 / 200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는 사람이 쓴 리뷰를 읽고 나서 봐야겠다고 결심했다. 검색해보니까 장하준 교수가 추천하는 다섯 권의 책 중 한 권 이기도 하고.. 노벨문학상을 받은 책이기도 해서 엄청 많이 기대했는데... 솔직히 지금은 책이 그렇게 찬사받는 이유를 잘 모르겠다.

장하준 교수처럼, 나도 언젠가 남미를 여행하고나서.. 혹은 남미에 대해 좀 더 잘 알고 난 뒤라면 느끼게 될지도 모르겠다. 

내용의 갈피도 잘 못 잡겠고, 주인공이 너무 많은데다가 이름도 비슷비슷하여.. 정말이지 오기를 부리지 않았다면 절반도 못 읽었을 거다.

이면지를 책 속에 끼워두고 새로운 인물이 등장할때마다 꺼내서 적었다. 그렇게 그린 가계도만 A4 한장이다. 읽다보면 "이 사람은 누구지? 이 사람이 그때 그 사람인가?" 헛갈려서 가계도를 꺼내보지 않고는 이해가 안 될 정도였다. 

'마술적 리얼리즘'이라는 말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접하게 됐고, 책을 읽고 나니까 좀 이해가 된다. 장하준 교수의 말에 따르면, "남미라는 데가 500년 동안의 식민지 역사부터 시작해서 너무나 부당하고, 정말 기가 막힌 일이 많이 때문에, 이것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그냥 분노 정도로는 잘 표현이 안 되는 거 같아요. 그래서 소위 마술적 리얼리즘이라고 해서 현실을 묘사하기는 하는데 마술을 얘기하듯이, 그렇게 말도 안되게 표현을 하지 않으면 도저히 현실을 받아들이고 편히 살 수 없는 그런 사회들이기 때문에, 이런 식의 문학장르가 탄생을 한 거죠." ... 라고 한다. 

요즘 <나를 운디드니에 묻어주오>라는 책을 읽고 있는데, 이 책과 뭔가 상통하는 점이 많은 것 같다. 땅의 주인인 원주민을 몰아내고 그것을 '명백한 운명'이라는 말로 정당화시켰던 이주자들의 논리가 여기서도 보인다.

(먼로선언의 기만성을 수업 시간에 꼭 짚어줘야지...)

p253) '마콘도 사람들은 지구를 반 바퀴나 돌면서 자리에 앉거나 통로뿐 아니라 지붕 위에 올라타고서 기차에 실려 온 수많은 외국 사람들이 들어가 살려고 나무로 엮고 양철로 지붕을 덮은 집들이 마콘도의 절반을 차지해서 그들이 살아온 도시의 모습이 무슨 수용소처럼 바뀌자, 도대체 세상이 어떻게 되어가는 건지 궁금하게 여겼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