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박민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7월
평점 :
박민규.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을 읽다 말았으므로, 이것이 내가 읽은 그의 첫 작품이다.
작가의 인지도 때문이기도 하지만, 책 뒤에 부록처럼 붙어있는 CD와 엽서가 더 읽고싶게, 사고싶게 만들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건데, 아무래도 난 수필과 소설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는 것 같다.
예전에 이문구의 <관촌수필>을 선물로 받은 적이 있는데, 책을 선물해 준 선배는 읽고 나서 반드시 블로그에 서평을 남기라고 했었다.
그 글이 기사로 채택이 되는지 안 되는지 한 번 보겠다는 거였다. 암튼, 난 책을 읽으면서 내내 <관촌수필>이 소설인지 수필인지 헛갈렸던 것 같다. 제목때문에 더 그랬다. 결국 서평이 기사로 채택이 되기는 했는데, 소설인지 수필인지 구분못하는 나의 무지함이 그대로 드러나는 글이었던 것 같다. 그 기사를 본 선배가 "야, 너 아직도 확실하게 모르고 있는 것 같은데?" 라고 물었을 때, 솔직히 난 자신이 없었다.
판타지적인 <열외인종 잔혹사>같은 책은 명명백백 소설이지만,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가 소설인지 수필인지는 잘 모르겠다. 표지에서 '박민규 장편소설'이라니까 소설이겠거니 한다.
쭈욱 독백을 늘어놓은 듯한 이 책이 소설이라니.. 믿기지가 않는다. 배경과 인물의 심정을 어떻게 그리 섬세하게 묘사할 수 있는지... 존재하지만 자각하지 못했던 감정들이 작가의 언어로 자근자근 나열될 때, 생기없던 인물이 꿈틀꿈틀 춤을 추며 살아나는 것 같다. 누구나 경험한 것 만큼만 이야기할 수 있다면, 작가는 얼마나 많은 경험을 한 것이며.. 사람에 따라 상상력만으로 못 할 이야기가 없다고 한다면, 작가는 대체 어느만큼의 상상력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나, 그녀, 요한선배가 등장한다. 세 사람 모두 불행하다. 그것도 불행하기로 세상에서 둘째 가라면 서러워할 만큼 막상막하 불행하다. 가정이 화목하지 못해서, 못생겨서, 버림받은 존재라서.. 거기에다 세상은 부, 명예, 외모에 있어서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기까지 해서 그들은 더없이 불행하다. 불행하다 여긴다.
책의 초반부에서 '타인의 고통은 타인의 고통일 뿐'이라고 말하던 '나'가 사랑하는 이의 고통을 '나'의 것으로 흡수해가며, 1등이 아닌 자들이 사랑하며 살아가야 하는 이유를 깨달아 가는 것이 이 책의 흐름이 아닐까 싶다.
"누구나 사랑을 원하면서도 서로를 사랑하지 않는 까닭은, 서로가 서로의 불 꺼진 모습만을 보고 있기 때문이야. 그래서 무시하는 거야. 불을 밝혔을 때의 서로를... 또 서로를 밝히는 것이 서로서로임을 모르기 때문이지."(P185)
"누군가를 사랑하는 일은 그래서 실은, 누군가를 상상하는 일이야. 시시한 그 인간을, 곧 시시해질 한 인간을... 시간이 지나도 시시해지지 않게 미리, 상상해주는 거야. 그리고 서로의 상상이 새로운 현실이 될 수 있도록 서로가 서로를 희생해가는 거야. 사랑받지 못하는 인간은 그래서 스스로를 견디지 못해. 시시해질 자신의 삶을 버틸 수 없기 때문이지. 신은 완전한 인간을 창조하지 않았어, 대신 완전해질 수 있는 상상력을 인간에게 주었지."(P228)
소설은 13페이지를 남겨두고 반전된다. "writer's cut 그와 그녀, 그리고 요한의 또 다른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시작되는 13페이지는 완전히 다른 또 하나의 결말을 제시한다. 그와 그녀의 사랑이 그녀와 요한을 통해 지속되는 또 하나의 결말. 없었어도 된다고 여겨지는 이야기가 덧붙여짐으로써 그리도 '사랑'에 집착해야 하는 이유는 그것이 삶의 이유이기 때문이라는 걸 느끼게 해준다.
스무살에, 나는 왜 이런 뜨거운 사랑을 해보지 못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