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뱅의 질문들 - 우주의 탄생과 진화에 관한 궁극의 물음 15
토니 로스먼 지음, 이강환 옮김 / 한겨레출판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반독자, 과학애호가들을 위한 책이라고 해서 호기롭게 읽기 시작했다. 암흑물질, 암흑에너지 설명하는 부분까지 한땀한땀 따라가며 읽었는데, 중반 이후를 넘어서니 제대로 소화하지 못한 개념들이 찰랑찰랑 넘쳐 흐르기 시작. 결국 나머지 후반부는 소화불량 상태로 읽었다. 과학을 잘하지는 못해도 과학애호가라고 생각했는데ㅠ (과학애호가라는 거 입증하고 싶을 때마다 꺼내는 고등학생 때 추억. 문과생이었지만 3년 동안 화학동아리에서 활동했음. 강릉여고 CHAOS 아직도 남아있으려나?)

얇고 작은 사이즈에 글밥도 적은데, 이 작은 책 속에 현대 우주론에 관한 정수들이 담겨있다. 그 정수들을 이해하기엔 나의 기초지식이 너무 부실하다ㅠ 다음에 꼭 재도전해야지. 그러고보니 한겨레출판에서 발행한 과학책은 처음 읽어보는 것 같다. 앗 아니다. 정인경 선생님의 #내생의중력에맞서 가 있었네. 암튼 과학이랑 친해질 때까지 과학책 계속 읽을거임.

현대 우주론이 조금씩 발전하면서 우주론의 표준 모형은 빅뱅, 인플레이션, 암흑물질, 암흑에너지를 포함하는 모형으로 정립되었다. 9

일반적으로 우주론자들은 우리 우주의 첫 시대, 첫 몇 년, 심지어 우주가 태어난 직후 1초도 지나지 않은 짧은 시간에 관심이 있다. 우주론은 정확하게 우주의 기원, 즉 빅뱅에 관한 이론이다. 12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별까지의 거리는 4광년이다.
우리은하의 지름은 대략 10만 광년이다.
은하단을 가로지르는 거리는 수백만 광년이다.
초은하단의 크기는 수억 광년이다.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는 약 140억 광년이다.
이것이 이 책이 다루는 우주론의 규모다. 21

빅뱅의 순간에 관측 가능한 우주에 있는 모든 물질이 한 점에 모여 있었다는 것은 정확한 말이다. 하지만 관측 가능한 우주는 우주 전체가 아니다. 76

#북스타그램 #빅뱅의질문들 #토니로스먼 #한겨레출판
#하니포터 #하니포터5기
#첫문장 #우주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