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 이해받지 못하는 고통, 여성 우울증
하미나 지음 / 동아시아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울증이 개인의 질병이 아니라 사회적 질병임을 확실히 알게 해준 책. 우울증에 관한 사회적, 의학적, 역사적 맥락들을 하나하나 살피면서, 저자와 많은 인터뷰이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담아냈다.

인터뷰이들이 하나같이 저자와 대화하는 과정에서 이미 나아지고 위로받는 느낌을 받았다고 하는 걸 보면서 항우울제 처방이 최선의 치료인듯 접근하는 방식이 뭔가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는 거 같다는 생각을 했다.

그리고 저자가 마지막에 언급한 문제가 너무 와닿았는데. 우리의 일상은 주변 사람은 커녕 자기 자신을 돌보기에도 너무 바쁘다!!! 지쳐있다!!! 항우울제 처방 말고도 사회가, 공동체가 고민해야 할 지점이 바로 여기인 거 같다. 우울증이 개인적 질병이라니, 여성 호르몬 때문이라니. 말도 안 된다!!!🤬👿

(발췌)
여성의 우울, 그 원인을 에스트로겐으로 한정하는 설명은 우울을 경험하는 여성의 구체적인 사회문화적 맥락을 지워버린다. 여성은 감정 관리를 못하는 취약한 존재가 되고 의학적 설명 외에 자신의 고통을 둘러싼 배경을 살피기 어려워진다. 그러나 과연 맥락 없는 고통이 있는가? 23

세상은 존재하는 수많은 고통 중 어떤 것만을 선별적으로 인식하고 아파해 왔다. 역사적으로 늘 조롱거리가 되거나 침묵을 강요당한 고통이 있다. 유독 엄살로 여겨지는 고통이 있다. 우리는 어떤 고통에 더 아파하는가? 어떤 고통을 더 의심하는가? 자신의 고통을 포함해 이 질문을 던져야 한다. 41

진료실 안에서는 고통의 맥락이 삭제됐다. 그곳에서 중요한 건 우울의 원인이 아니라 우울의 증상이었다. 고통의 원인을 찾아내 제거하는 것보다는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였다. 그러나 원인이 해소되지 않는 이상, 우울은 완전히 사라지기 어렵다. 46

당사자에게 진단이란 나의 우울이 병이냐, 병이 아니냐 하는 문제라기보다 누군가 나의 고통을 알아주는가, 알아주지 않는가의 문제이다. 고통을 계속해서 호소하는데도 반응하지 않는 사회에서 오래 홀로 버티던 사람에게 누군가의 ‘알아줌’은, 그것이 설령 신자유주의 시대 감정 관리의 결과이며 다국적 제약 회사의 자본주의적 책략이라 할지라도 소중한 것이다. 78

우울증을 겪는 사람에게 주변인들이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묻자, 두 가지가 실은 같은 질문이라고 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 사람의 감정을 수용하고 인정하는 것이다. 반드시 하지 말아야 할 것은 감정을 수용하지 않고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140

나의 감정이 인정받는가, 인정받지 못하는가. 이것은 사람을 죽고 살게 만드는 문제이다. 141

주 양육자를 킥아웃하고 빈 공간을 만들어서 그곳을 스스로 채워나가는 과정이 사람들에게 꼭 필요하다. 149

고통을 이해하는 문화를 완전히 바꿔야 한다. 이는 삶을 살아가는 방식을 바꾸는 것과 같다. 돌봄에 가장 방해가 되는 건 바로 바쁜 삶이다. 일에 치인 사람은 자기 돌봄을 비롯한 모든 돌봄에 소홀해진다. 한국은 효율과 쓸모를 중심으로 발전해 오면서 이에 방해가 되는 모든 일들을 제물로 바쳐왔다. 그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사람은 소수이며 그들도 언젠가 늙고 병든다. … 고통을 잊으라 하지 말고 고통에서 시작해야 한다. 251

#북스타그램📚
#미쳐있고괴상하며오만하고똑똑한여자들
#하미나 #동아시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