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픔이 길이 되려면 - 정의로운 건강을 찾아 질병의 사회적 책임을 묻다
김승섭 지음 / 동아시아 / 2017년 9월
평점 :
올해 읽은 책 중 단연 최고다. 이렇게 훌륭한 책과 훌륭한 연구자인 저자를 알게 되어 정말 뿌듯하다. 이런 분이 있기 때문에 우리 사회에도 아직 희망이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싶다.
<아픔이 길이 되려면>은 책의 부제 '질병의 사회적 책임을 묻다'에 나타나 있듯이 질병의 '원인의 원인'을 추적하는 사회 역학에 관한 것이다. 질병의 원인을 개인의 나이나 가족력, 생활습관에서만 찾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속해 있는 공동체와 그들이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 속에서 찾는 것이다.
저자는 흔한 감기부터 암, 심장병, 우울증과 같은 정신 질환에 이르기까지 질병을 개인 혹은 가족의 문제로 보지 않는다. 어떤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특정 질병에 취약하다면, 그 이유가 혹시 그들이 살고 있는 공동체의 어떠한 특성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닌지 고민하였고, 연구를 통해 질병에 대한 사회적 책임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쌍용자동자 해고 노동자, 삼성반도체의 하청 비정규직 노동자, 세월호 유가족과 생존자들의 사례를 접하며 너무 가슴이 아프고 왠지 죄스러웠다. 또 동성애자, 이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차별이 그들을 어떻게 병들게 하는지도 알게 됐다. 저자는 본인이 경험하고 목격한 것을 이야기하고 관련 데이터를 제시할 뿐이지만, 그게 어떤 회초리나 호통보다도 큰 깨달음을 준다.
한국은 OECD 국가 중에서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이지만 노동시장 프로그램에 가장 적은 돈을 투자하는 나라 중 하나이다. 심지어 박근혜 정권은 경영상의 어려움으로 인한 해고, 노동자의 잘못으로 인한 징계 해고 이외에 '저성과자 해고'라는 규정을 추가하여 기업으로 하여금 업무 능력을 명분으로 마음에 들지 않는 노동자를 해고할 수 있도록 했다.
실업은 어느 사회에서나 존재한다. 우리나라 보다 더 높은 실업률을 보이는 나라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처럼 해고가 곧 살인인 나라는 없을 것이다. 왜 유독 우리나라만 한 사람이 직장을 잃으면 삶이 붕괴되고 가족이 해체되고, 결국 자살로 이어지는 비극이 많이 발생하는 것일까? 얼마 전에 읽었던 오연호의 <우리도 사랑할 수 있을까>에서 목격했던 덴마크의 모습이 자꾸 오버랩됐다.
정의로운 사회라면 실업자가 직장을 잃었다는 이유만으로 삶을 포기하는 이 비극을 그대로 방치하면 안 되는 거 아닌가? 그래도 괜찮다고, 다시 시작할 수 있다고 기회를 주는 사회여야 하지 않을까? 타인의 아픔에 공감하고 함께 아파하지 않는 사회에는 희망이 없다. 다 읽고 난 지금, 왜 더 이렇게 마음이 아픈지 모르겠다.
'꽃이 필 것이라는, 열매가 맺힐 것이라는 기대없이 어떻게 나는 계속 씨앗을 뿌릴 수 있을까.' 20대에 저자가 했던 고민이라는 이 말이 지금의 나를 너무 부끄럽게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