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짜:2002/12/03 16:29

김기덕 영화는 "섬", "나쁜남자", "해안선"을 봤어요.

제가 아는 해병대와 영화속 해병대가 매치가 잘 안 되요 제가 아는 해병대는 그렇게 전투적이지도, 폭력적이지도, 늙지도 않았는데 말이죠. 휴가나와 있는 해병대 하나만 봐도.. 그냥 평범한 대한민국 아들의 모습인 거 같고..요즘 느끼는 건 군대가 사람 참 변하게 한다..는 건 알겠더라구요. 이런 말 써도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암튼 순진한 사람들은 군대를 안갔다왔음 하는 생각은 듭니다. 변하는 모습이 싫어서...

초전박살..이라는 단어가 참.. 누가 그런 단어를 만들어 냈는지..
이런걸 분단의 아픔의 상징이라고 승화시키는 글을 쓰기엔 그렇게 고무적이지 않은 내용이었고. 쉬리에서 볼 수 있는 그런 모티브는 아니니깐 말이죠.

영화는 특수적 상황이고, 장치이고, 예술이니깐. 하나의 작품으로서 봐야겠지요 일단 현실은 접어두고라도..김기덕이라면 더더욱..
아..예술은 때로는 무서울 수도 있구나..

어쩌면 그런 표현도 가능하겠죠. 한국전쟁과 분단과 혼란스런 현대사회가 빚어낸 왜곡된 인간상.. 슬픈 자화상. 의 하나. 간첩을 잡기를 그렇게 소원한 이유가 무엇이겠습니까. 이데올로기의 희생양. 근데 그렇게 이 영화를 보면 너무 재미가 없어요.

보다 해부해 보고 싶은 건.
그 영화가 여성적 시각으로는 뾰족한 해석을 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나만 그런건지라는게 참 궁금하구요

男으로 역할을 담당하며 자라온 사람들이 그 세계를 보다 잘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을 거란 생각은 듭니다. 주관적인 영상과 표현을 좀 더 일반화 시켜 이해시켜 줬으면 하는 바램..
전 왜곡된 세상에 대한 인식을 영화에서 보았는데.. 남성적인 것을 강요받고 자라온 인간이 세상을 바라보는 왜곡된 시각. 왜곡된 사명감.
우리는 잔인함을 너무 많이 보았어요.
전쟁을 통해서.. 우리의 사고도 전쟁으로 잔인함이 많이 흡수되어 있고.
앗..엉뚱한 소리닷.
물론 이런것이 일반적이란 말은 아니구..

잔혹함..
잔혹함과 물은 꼭 같이 등장해요
잔혹함의 잔여를 씼어주는 해소적 역할을 하는 물인지는 모르겠지만
김기덕 영화를 보고나면 물이 공포스러워집니다.

아하..
초반에 갯벌에 뒹굴고 고무보트 들고 뛰어다니는게 하도 애처러워서 진짜루 그러고 뛰냐?..뒹구냐?..라고 물어보니..
그런 해병대도 있기는 있다고 하더구만요.
다 그런건 아니더군요..--a

생각해 보니
이번 영화는 코믹한 요소도 조금은 있었어요.
쪼로미 세워 놓고.. 범인 잡아 낼 때..

한 편의 글도 아닌 것이 참 성의 없게 썼다는 생각이 들긴 하네요.

벌써..
끌리오에 글을 올리기 시작한 지 1년이 다 되어 갑니다.
12월이니깐 말이죠.
시간은 왜이렇게 빨리 가는지..

우물안 개구리가 된 기분이에요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