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을 심다 - 박원순이 당신께 드리는 희망과 나눔
박원순 외 지음 / 알마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지막지 두껍고 무거운 인터뷰집.

그의 열정과 혜안에 감탄하게 된다.

풀어내고 정리한 지승호도 대단하다.


엄청난 지식과 많은 자극을 준다.

다만, 이명박정권에 대한 안이한 낙관론은 납득하기 어려웠다.

결국 그가 말한대로 됐지만 그건 한참이나 지난 이번 413에서야 가능했다.


내용상 중복이 좀 있다.

서울시장 이후 행보가 주목된다.


아래는 갈무리.


한국은 서양처럼 복지국가 시스템도 만들어내지 못한 상태에서 마을 공동체마저 무너졌기 때문에 만인이 만인과 투쟁해야 하는 무한경쟁에 내몰리고 있다. 23.


검사는 기본적으로 막일꾼이에요. 적당히 하면 몰라도 진실을 밝히겠다고 마음 먹으면 시간이 너무 없어요. 검사 한 사람당 사건이 너무 많아요. 파도는 끝없이 밀려오는데 파도를 걷어낸다고 파도가 안 옵니까? 97.


그때 당시에는 이런 생각이 있었죠. 현실 법정에서는 변론을 해봐야 무죄가 나거나 도움이 안될 수도 있다. 결국 국민과 역사를 향해서 피고인들의 진실과 우리의 주장들을 얘기해야 되겠다. 123.


그래서 우리 연구원들에게 한 분야에서 일등부터 5등까지 최고의 전문가들을 만나 심층 인터뷰를 해봐라 인터뷰가 끝나면 당신이 일등이다 당신이 최고의 전문가다라고 얘기합니다. 이게 농담이 아닙니다 일등은 절대 이등한테 안물어 보잖아요. 이 등은 삼등한테 안 물어봐요. 198.


여기서 평생 일을 안 할지도 모른다, 그런데 어디 가더라도 일 하나는 제대로 배웠다고 말할수 있어야 한다. 217.


그래서 세상을 살아가는 데에는 좋은 사람 들과의 관계 속에서 줄을 잘 서는 것이 중요해요. 그러다보면 좋은 일거리나 관계가 저절로 형성 되는거 같아요. 제가 만들려고 일부러 돌아다녔으면 아마 그렇게 안 됐을 거에요. 235.


그분들이 대상으로 삼는 기층 민중을 대상으로 삼아버리면 중복되는 거잖아요. 그러면 참여연대의 의미가 없어지는 거죠. 저는 한국 시민사회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241.


우리가 온 세상의 모든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게 할 수도 없지만 그렇게 해서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각자의 역할이 있는거죠. 대포를 갖고 운동하지 말고 바늘로 아픈 부위를 찌르자, 그러면 바뀌지 않겠느냐. 267.


어떤 운동을 한번 시작했다고 해서 끝까지 똑같은 일을 해야 되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그래야 새로운 변경의 개척이 가능한 것 아닌가요? 331.


혼자 잘 먹고 잘살?다는 천박한 꿈이 아니라 세상을 향해서 자기 일생을 한번 바쳐보겠다는 꿈을 꿔봤으면 좋겠어요. 그것은 결국 마모되고 성숙되면서 현실화되게 되어 있거든요. 청년 시절이기 때문에 그런 무모한 꿈을 꿀 수 있는 것이고, 그게 그들만이 가질 수 있는 특권이고, 장기고, 그럴 수 있는 유일한 시기잖아요. 세상을 살다보면 안 그래도 소시민이 될 가능성이 많은데, 젊은 시절 그런 꿈이라도 꿔봐야 하지 않을까요? 3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