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 유시민의 30년 베스트셀러 영업기밀
유시민 지음 / 생각의길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논리글쓰기 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곧바로 글쓰기부터 말하지 않는다.  

텍스트 요약부터 설명한다.   


읽기(독해)를 무척이나 강조한다.

 

많이 읽지 않으면 잘 쓸 수 없다. 많이 읽을수록 더 잘 쓸 수 있다(78쪽). 

독해는 어떤 텍스트가 담고 있는 정보를 파악하고 논리를 이해하며 감정을 느끼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그 정보와 논리와 감정을 특정한 맥락에서 분석하고 해석하고 비판하는 작업이다(97-98쪽). 

독서는 독해력을 기르는 가장 좋은 방법일 뿐만 아니라 사실상 유일한 방법이다(101쪽).

텍스트를 그저 따라가기만 하거나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은 독해가 아니다(129쪽). 

텍스트는 내용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 문제점과 한계까지 탐색하면서 읽어햐 한다. 한걸음 더 나아가면 그 문제점과 한계가 어디서 왔는지도 추론해볼 수 있다. 그렇게 하려면 책을 읽을 때 저자가 어떤 사람이며 무슨 일을 하는지 알아보는 게 도움이 된다(132-133쪽). 

텍스트 요약은 귀 기울여 남의 말을 잘 듣는 것과 비슷하다(65쪽).

  

 

그리고 난 후 쓰기에 대해 설명한다. 

쓰지 않으면 잘 쓸 수 없다. 많이 쓸수록 더 잘 쓰게 된다(81쪽). 

못난 글은 다 비슷하지만 훌륭한 글은 저마다 이유가 다르다(168쪽).

훌륭한 글을 쓰고 싶으면 잘 쓴 글을 따라 쓰는 데 그치지 말고 잘못 쓴 글을 알아보는 감각을 키우려고 노력해야 한다(169쪽).

글은 단문이 좋다. 단문은 그냥 짧은 문장을 가리키는 게 아니다. 길어도 주어와 술어가 하나씩만 있으면 단문이다. 문장 하나에 뜻을 하나만 담으면 저절로 단문이 된다(199쪽).

글은 길게 쓰기 것보다 '짧게 잘 쓰기'가 어렵다(231쪽).

단문으로 글을 이어나갈 때 문장 사이에 매번 '그러나''그리고''그러므로''그런데''그렇지만'같은 접속사를 넣는 것은 나쁜 습관이다. 문장은 뜻을 담고 있다. 그 뜻이 자연스럽게 이어지면 접속사가 없어도 된다(237쪽).

   

마지막으로 비법을 말한다.  

맥락을 잘 모른 채 텍스트를 읽어도 뜻을 아는 데 큰 어려움이 없도록 써야 한다(207쪽).

내 글이 왜 쉬울까? 쉬운 주제를 일상용어로 써서 그런 게 아니다. 어려운 용어를 쓰고 복잡한 문제를 다루어도 독자가 쉽다고 느낄 수 있도록 써서 그런 것이다. 나는 주제에 대해 특별한 지식이나 경험이 없는 사람도 주의 깊게 읽기만 하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끔 텍스트를 쓴다(244쪽).

  

격려도 잊지 않는다.  

가끔씩 서너 달 전에 쓴 것을 읽어보면 열에 아홉은 마음에 들지 않을 것이다. 문장이 유치하고 묘사가 서툴고 논리가 엉성해 보일 것이다. 그렇다면 축하할 일이다. 글이 늘었다는 증거이기 때문이다(230쪽).

   

추천한다.

(이 책을 꼼꼼히 읽는다면 표현의 기술이나, 공감필법을 굳이 읽지 않아도 좋을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