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의 배신 - 긍정적 사고는 어떻게 우리의 발등을 찍는가 바버라 에런라이크의 배신 시리즈
바버라 에런라이크 지음, 전미영 옮김 / 부키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때 각종 처세술과 자기계발서를 탐독하던 시절이 있었다.

하지만 아무리 읽어대도 '성공'이 무언지, 삶의 목표가 무엇인지 알 수는 없었다.

그저 그것조차 모르는 자신을 탓하고 다그치기만 했을 뿐.

 

시간이 흘러 다른 사람들이 성공이라 할 일들이 내게 일어났지만 성공했다는 기분은 와닿지 않았다.

그러던 찰나 읽게 된 복음 같은 책.

 기존의 자기계발서들이 갖는 문제점과 한계를 논리적으로 때로는 추측을 통해 속시원하게 파헤친다.

'긍정하는 개인'의 힘만으로는 관계의 문제가 절대 해결되지 않는다는 단순한 사실. 


몇몇 후기 중에는 저자의 '추측' 부분에 대해 딴지를 거는데, 

최근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의 파산사건이나, 

성공하는 7가지 습관의 저자 스티븐 코비의 사례 등은 저자의 이런 추측에 대한 훌륭한 방증이다.

또한 저자는 긍정적인 자세가 나쁘다고 말하지 않는다.

다만 암암리에 그러한 긍정적인 자세가 강요되는 현실에 문제가 있다고 말한다.

극단적으로 말해 암에 걸려야 인생이 더 행복해진다면, 왜 암에 걸리려 일부러 애쓰는 사람은 한 명도 없는 것일까?

 

한마디로 진작부터 내가 직접 한 권 쓰고 싶던 책이 나오고야 말았다.

그것도 출중한 작품이..

한편으론 고맙지만,

개인적으로는 아쉽다.

(국내 작가의 책으로는 '거대한 사기극'도 있던데 아직 안 읽어보았다)

 

이 책의 핵심을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문제는 내가 아니라 그들' 이었음을 확인 시켜 준다는 것.

(나와 그들이라는 이분법에 만족했다면 이 책은 반쪽짜리였을 테지만 이 책은 그 이상의 메세지를 담고 있다)

실체도 없는 성공을 가정하고 그것을 향해 무작정 내달리길 강요하는 사회의 단면을 명쾌하게 그려내는 한편 

그 이상을 꿈꾸도록 독려한다.

통쾌하다.

 

독점은 병페를 낳는다.

긍정'주의'는 그 자체로 회의주의를 억압한다.

긍정주의는 어느 틈엔가 절대적 가치로 군림하고 있다.

과연 치우친 긍정주의가 제대로 기능할 수 있을까?

(원제인 치우친 긍정주의에 비하면 제목이 훨씬 도발적이다).

 

카네기가 되었든 스티븐 코비가 되었든 

그런 책을 읽고 도움을 받기보단 인생이 불행해졌다고 믿는 사람이라면 필독하시길.

그리고 자기계발서 코너를 습관적으로 공전하고 있는 당신이 읽어봐야 할 책. 

문제는 내가 아니라 자기계발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