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53 콘스탄티노플 최후의 날
스티븐 런치만 경 지음, 이순호 옮김 / 갈라파고스 / 2004년 9월
평점 :
품절


콘스탄티노플 공방전의 현장 묘사가 압권이다. 550년의 세월을 뛰어넘어 CNN 종군기자의 현지 리포트라도 보는 기분이다. 1950년대에 나온 책이지만, 현장감 뛰어난 묘사에 있어서 40여년 후 시오노 나나미의 `콘스탄티노플 함락`보다 훌륭하다.

책을 읽다보면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에서 보여주는 인간군상의 희비극에 전율한다. 구차한 삶보다는 싸우다 죽는 길을 택한 비잔티움인들이 그토록 많았던 것은 우리 인간들이 일정한 상황에서는 대체로 다 용감하여 죽음조차 초월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성벽방어를 책임진 제노바인은 수개월 동안 방어전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영웅대접을 받았으나  오스만투르크의 마지막 총공격 때 부상을 입자 정신적 공황상태에 빠졌는지 홀로 방어선을 빠져나가다 전선을 일거에 무너뜨리고 말았다. 피아간의 혈전이 극에 달한 결정적 순간에 수비대장이 자리를 비우자 그토록 충천하던 병사들의 사기는 일순에 연기처럼 사라지고 모두들 수비대장의 뒤를 이어 전선을 이탈하였던 것이다. 비잔티움 황제가 쫒아와 수비대장에게 자리를 지키도록 간청했으나 전의상실한 제노바인은  말을 듣지 않았다. 결국 그는 콘스탄티노플 함락과 동시에 배를 타고 탈출하는 데는 성공했으나 부상이 깊어 사흘만에 죽고 말았다. 어차피 죽을 목숨, 전선에서 버텼더라면 그를 위해서도 얼마나 다행스러웠겠는가.

성벽을 돌파한 오스만 병사들은 대량 살륙전을 벌렸다. 저항하는 자는 전멸시켰다. 그러나 한 망루에서는 일군의 병사들이 끝까지 남아 저항하면서 항복하지 않았다. 결국 오스만 병사들은 용맹스런 적에게 경의를 표하고 바닷길을 터서 그들이 콘스탄티노플을 무사히 떠나도록 해주었다.

살고자 하는 자가 죽고, 죽기로 싸운자가 살아남고, 살 수 있는데도 싸우다 죽기를 택하고, 이도저도 아니고 그저 운이 좋아 살고 운이 나빠 죽고, 생과 사가 다 같이 초개 같아지는 장대한 서사 드라마가 깊은 여운을 남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