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명의 성난사람들 - [초특가판]
시드니 루멧 감독, 헨리 폰다 출연 / 피터팬픽쳐스 / 2008년 2월
평점 :
TV 토론 프로를 자주 봅니다. 공중파 3사의 토론 프로를 골고루 봅니다. 희한하게 토론 프로의 질은 시청률과 반비례하더군요. M모 방송국에서 하는 100분 어쩌구는 자극적이라 저도 모르게 보게 되지만 거의 욕하면서 보게 됩니다. 사회자 손모 교수가 인기가 있는데다 싸움닭 같은 패널들을 주로 섭외하기 때문에 싸움구경 하는 맛은 최고지만 토론의 질은 최하입니다. 사회자, 패널, 청중이 모두 싸움에 굶주린 사람들처럼 비슷한 성격의 사람들로 구성돼 분위기가 살벌하죠. 비판과 대안제시는 실종되고 비난과 모욕이 난무합니다. 생산적인 토론을 위해 잘 중재하며 토론을 이끌어야 할 사회자도 수수방관 내지 편파적인 진행을 하기 일쑤입니다. 우리나라의 토론문화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프로라 욕하면서도 자주 봅니다. 로마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았듯 민주주의도 시간이 필요하겠죠. 앞으로 더 많은 토론이 이어지다 보면 좀 더 생산적이고 성숙한 토론문화도 생기리라 믿습니다.
이 영화는 대화와 타협의 민주주의 원리를 기가 막히게 샘플링 해서 보여주는 걸작 중의 걸작입니다. 아버지를 살해한 혐의를 받고 재판을 받는 18세 빈민가의 소년이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상습적으로 아버지에게 구타를 당해 온 소년은 전과 5범의 불량소년, 지하철 건너편의 한 여자가 살인장면을 목격했다고 하고 그 아래층 노인의 보충증언도 있습니다. 공교롭게도 피해자의 가슴에 꽂힌 칼은 소년이 샀다는 칼로 추정됩니다. 다른 직접증거는 없는 상태. 아버지와 싸우고 영화를 보러 갔다는 소년은 영화제목과 주인공 이름조차 기억 못합니다. 누가 봐도 범인은 소년이 분명한 상황입니다. 국선변호사조차 유죄를 인정하는 분위기, 이제 남은 건 배심원들의 유죄판정만 남았을 뿐입니다. 만장일치로 유죄 판정이 내려질 거라는 예상으로 가볍게 판정실에 모인 12명의 배심원들, 뜻밖에 한 사람의 배심원이 무죄를 주장합니다.
만장일치로 의견을 모아야 하는 규칙상 토론이 이어지는데, 유죄를 확신하는 사람들 중 유일한 반대자는 다른 사람들의 눈총을 받습니다. 성질 급한 사람들의 핀잔에도 불구하고 침착하고 논리적인 그 사람(헨리 폰다)은 소년이 유죄일 가능성이 높지만 확실하지 않다면서 차분하게 자신의 견해를 밝힙니다. 감정적이고 편견 강한 사람들이 그를 비난하지만 그는 굴하지 않고 조목조목 재판의 헛점을 밝혀나갑니다. 논리적인 그의 말에 설득당해 판정을 번복하는 사람들이 하나 둘 늘어나면서 토론은 더욱 격렬해집니다.
시드니 루멧 감독의 이 영화는 영화의 처음과 끝만 제외하고 전 장면을 좁은 방에서 12명이 토론하는 장면으로 채우고 있습니다.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설정이지만 한시도 눈을 뗄 수 없는 긴장감이 흐르는 영화입니다. 한 소년의 목숨이 12명의 결정에 달려 있기도 하지만 그건 이 영화의 주제가 아닙니다. 영화엔 소년에 대한 직접적인 묘사가 전혀 없으며 감정적인 동정도 없습니다. 오히려 정황 상 소년은 동정의 여지가 거의 없는 부랑아일 뿐입니다.
이 영화의 진짜 주제는 민주주의의 위대함입니다. 민주주의는 약점이 많은 제도죠. 영화도 민주주의의 그런 약점을 잘 짚고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민주주의는 승리한다는 게 이 영화의 믿음입니다. 소수의 의견을 무시하지 않는 관용, 생산적인 비판과 용기있는 인정, 서로의 선의와 이성을 믿는 태도가 어우러져 마침내 민주주의는 기적을 만들어 냅니다. TV나 신문을 보면 늘 싸우는 사람들 이야기가 대부분입니다. 싸우는 거 나쁘지 않습니다. 규칙을 지키면서 더 나은 내일을 위해 비판하고 경쟁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생명이니까요. 그렇긴 하지만 좀 더 우아하게, 좀 더 생산적으로, 좀 더 신사적으로 싸우면 좋겠습니다. 그게 잘 안 되면 이런 영화 한 편 보면서 다시 민주주의의 기본을 배워 보는 것도 좋지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