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908 교육론, 존 로크, 박혜원 옮김, 비봉출판사, 2011.



  어렴풋이 로크가 법률가, 법학자이겠거니 생각했는데, 아버지가 변호사였고 로크 자신은 오히려 옥스퍼드에서 의학을 연구하였단다. 로크는 뒤에 샤프츠베리 백작(Earl of Shaftesbury)이 되는 애슐리 경(Lord Ashley)의 시의(侍醫)로도 일했다.


  아무튼 그래서인지 로크는 책 첫머리부터 신체 건강에 관한 교육론에 상당한 분량을 할애하고 있다. 식사법부터 해서 책 전반에 걸쳐 소박하고 담백한 자기 관리 습관을 권하고 있다. 로크 자신도 참 훌륭한 사람이다 싶다. 아이 교육도 교육이지만 나 자신을 자꾸 돌아보게 하였다. 부모 자신을 위한 채근담이요, 명심보감이라 할 만하다.


  주옥 같은 내용이 많아 제대로 한 번 정리해 보고 싶으나 다음 기회로 미룬다.


  비봉출판사 측에서 블로그에 원문(영어) 파일을 올려 두었다.

  https://m.blog.naver.com/bbongbooks/110118123224


  그러나 로크 정도로 옛날 사람의 글은 인터넷에서도 쉽게 찾아 읽을 수 있다.

  https://oll.libertyfund.org/titles/locke-the-works-vol-8-some-thoughts-concerning-education-posthumous-works-familiar-letters


  이 책이 널리 주목 받았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40907 양자론(Quantum Theory), 글 J. P. McEvoy, 그림 Oscar Zarate, 이충호 옮김, 김영사, 2001



  양자컴퓨터 공부하려다가, 읽다 만 양자역학 책 몇 권을 같이 읽고 있는데, 이것도 같이 보았다.

  하룻밤의 지식여행 시리즈는 큰 기대 않고 펼쳤다가, 기대 이상의 만족을 주곤 하는 것 같다.

  이 책도 비슷한 다른 책을 넘는 미덕이 있다.


  저자인 J. P. McEvoy는 2007년에 개정판을 냈는데, 번역본은 1999년판(초판은 1996년에 나왔다)을 옮긴 것이고, 절판되었다.



  아무튼 20세기에 나온 책이어서 그런지,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에 관한 EPR 역설(Einstein-Podolsky-Rosen Paradox)에 은근히 무게를 두면서 John Wheeler의 언급을 소개하는 정도로 책을 마치고 있는데, 개정판에는 이후의 연구가 어떤 식으로 추가 반영되어 있는지 궁금하다.


  J. P. McEvoy는 스스로 많은 논문을 낸 물리학 박사이신데, 같은 시리즈의 스티븐 호킹 편도 쓰셨다.이것도 2009년판이 있고, 두 권 다 전 세계적으로 상당한 호평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https://www.amazon.com/stores/author/B001K87JBE/about




  양자역학 개론서는 국내에도 꽤 많이 나와 있어서, 주요 논문을 몇 개 구경해 보았다.


  Max Planck (1901), "Ueber das Gesetz der Energieverteilung im Normalspectrum", Annalen der Physik, 309: 553-563 https://doi.org/10.1002/andp.19013090310 [막스 플랑크, "정상 스펙트럼에서 에너지 분포 법칙에 관하여", 흑체 복사(black-body radiat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가 연속적으로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양자화된 작은 불연속적 단위로 발산된다는 가설을 제시, E = hν (플랑크상수 x 빛의 주파수)로 표현, 양자역학의 기초를 마련한 중요한 전환점].


  Albert Einstein (1905), "Über einen die Erzeugung und Verwandlung des Lichtes betreffenden heuristischen Gesichtspunkt", Annalen der Physik, 322: 132-148 https://doi.org/10.1002/andp.19053220607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빛의 생성과 변환에 관한 발견적 관점", 광전 효과를 설명하면서 특정 주파수 이상의 빛만 전자를 방출할 수 있다고 제안, 빛이 입자처럼 작용함을 강력하게 시사, 1921년 노벨 물리학상 받는 데 중요한 역할].


  Niels Bohr (1913), "On the Constitution of Atoms and Molecules", The London, Edinburgh, and Dublin Philosophical Magazine and Journal of Science, 26(151), 1–25 https://doi.org/10.1080/14786441308634955 [닐스 보어, "원자와 분자의 구조에 관하여", 원자 모형을 통해 전자들이 특정한 양자화된 궤도에서만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흡수할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제시, 당시 고전 물리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었던 수소 원자 스펙트럼을 성공적으로 설명].


  Louis de Broglie (1924), "Recherches sur la théorie des Quanta", 박사학위 논문 https://doi.org/10.1051/anphys/192510030022 [루이 드 브로이, "양자 이론에 대한 연구", 물질, 특히 전자도 빛과 마찬가지로 파동의 성질을 가질 수 있다는 입자-파동 이중성 개념을 제시, 이후 슈뢰딩거 파동방정식의 기초가 됨].


  Erwin Schrödinger (1926), "Quantisierung als Eigenwertproblem", Annalen der Physik, 384: 361-376 https://doi.org/10.1002/andp.19263840404 [에어빈 슈뢰딩거, "고유값 문제로서의 양자화", 슈뢰딩거 방정식을 제시하여 양자역학에서 입자의 파동 성질을 수학적으로 설명, 양자 시스템의 에너지 준위를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


  Max Born (1926), "Zur Quantenmechanik der Stoßvorgänge", Zeitschrift für Physik, 37: 863-867 https://doi.org/10.1007/BF01397477 [막스 보른, "충돌 현상의 양자역학에 대하여", 슈뢰딩거의 파동 함수를 입자의 위치에 대한 확률밀도함수로 해석함으로써 양자역학에서 입자의 정확한 위치를 예측할 수 없다는 개념을 수학적으로 설명, 확률 해석은 이후 양자역학의 핵심 개념으로 자리잡음].


  Werner Heisenberg (1927), "Über den anschaulichen Inhalt der quantentheoretischen Kinematik und Mechanik", Zeitschrift für Physik, 43: 172-198 https://doi.org/10.1007/BF01397280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양자 이론적 운동학과 역학의 직관적 내용에 대하여",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불확정성 원리를 제안, 양자역학적 측정의 근본적인 한계를 설명].


  Paul Adrien Maurice Dirac (1928), "The Quantum Theory of the Electron",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A, 117: 610-624  https://doi.org/10.1098/rspa.1928.0023 [폴 (에이드리언 모리스) 디랙, "전자에 대한 양자 이론", 디랙 방정식으로 양자역학과 상대성 이론을 통합, 이 방정식은 전자와 같은 페르미온의 행동을 설명하고 반물질의 존재를 예측(1932년 실험을 통해 발견됨)].


  여하간 양자역학의 발전사는 참 아름다운 과정이다.


  그리고 1927년 5차 솔베이 회의 사진은 참으로 기적적이고 역사적인 사진이 아닐 수 없다.

  https://namu.wiki/w/%EC%86%94%EB%B2%A0%EC%9D%B4%20%ED%9A%8C%EC%9D%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40826(?) 마셜 맥루언과 가상성, 크리스토퍼 호락스, 김영주, 이원태 옮김, 이제이북스, 2002



  최근에 마셜 맥루언(Marshall McLuhan)을 재미있게 들여다 보고 있는데...


  이 책도 그래서 읽었지만 아주 큰 감흥은 없었다.


  맥루언은 1980. 12. 31. 사망하였고, PC와 월드와이드웹의 대중화, 상업화를 목격하지 못했다. 디지털 미디어에 관한 사이버펑크, 탈인간(posthuman), 사이보그 등 담론에도 참여하지 못했다. 그러나 그의 탐구 일부가 가상 시대 인간의 확장과 연결될 여지가 있다는 점이 토론토 대학에서 맥루언 프로그램을 부활시켰고, 맥루언 자신도 몰랐고 예견하지 못했던 맥루언주의자들을 다시 만들어 내고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McLuhan_Program_in_Culture_and_Technology


맥루언주의자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내가 그들 중의 하나가 아니라는 것을 여러분은 분명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무언가를 배우는 사람들은 그 누구라도 그것을 조금은 어긋나게 배울 거라는 사실을 나는 잘 안다. 제자들을 갖는다는 것이 엄청나게 성가신 일이 될 것이라는 걸 난 쉽게 상상할 수 있다. - 마셜 맥루언(책 22쪽)


  그러나 맥루언의 통찰을 종교적, 예언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그 의미를 윤색하고 왜곡하는 낭만주의적 경향은 경계하여야 할 것이다(113쪽 역자 후기). 저자는 맥루언의 미디어 효과 이론이 정치경제학적 분석을 결여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제'는 대부분 절판되었지만 이제이북스 '아이콘북스' 시리즈(총 24권)는 주요 저자들을 다른 시각에서 비평해 볼 수 있게 해주는 책들이어서 보이면 사두는 편이다(이제이북스에서 E와 J는 Equality와 Justice의 앞글자를 딴 것이다).



  '아이콘북스' 시리즈는 2002년 9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사이에 나왔는데, 그 즈음부터 함께 나온 '사이코북스' 시리즈와 더불어 이제이북스의 등장과 지향을 국내 인문학계에 알린 시리즈라고 할 수 있다.



  이제이북스에서는 중요한 책을 많이 번역해 내셨고, 나도 『헤겔 또는 스피노자』, 『스피노자와 정치』, 『개념표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책들을 비롯하여 여러 권을 가지고 있는데 2015년 말까지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을 활발하게 내시다가 2018년 1월 『에우튀프론』이 나온 후로는 더 이상 책이 나오지 않고 있다(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은 '아카넷'에서 개정판이 나왔다).


  찾아 보니 폐업하신 건 아닌 것 같은데, 전응주 사장님의 인터뷰 기사가 몇 개 검색된다.

  "[권은정의인터뷰무제한] ‘적(的)’자와 싸우고 ‘적자’와 또 싸우고", 한겨레 (2006. 3. 30.) https://www.hani.co.kr/arti/culture/book/112247.html 

  “제대로 된 철학서 누군가는 내야겠죠”, 경향신문 (2006. 8. 11.) https://www.khan.co.kr/article/200608111517371

  "<인터뷰> '플라톤 전집' 도전 전응주 EjB 대표", 연합뉴스 (2008. 2. 4.) https://v.daum.net/v/20080204071213706 [연합뉴스 누리집에서는 검색되지 않는다.]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전인 2000년대가 우리 인문학계의 마지막 벨 에포크가 아니었나 싶기도 한데, 이제이북스의 포트폴리오는 지금 봐도 경외심이 드는 면이 있다. 이제이북스가 앞당기려 한 시대는 이제는 올 수 없는 시대가 되어버린 것 같아 씁쓸하다.




  나중에 참고하기 위해 자료를 정리해 둔다. McLuhan의 저작 중에 검색되지 않는 것들이 꽤 있다.





맥루언주의자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내가 그들 중의 하나가 아니라는 것을 여러분은 분명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무언가를 배우는 사람들은 그 누구라도 그것을 조금은 어긋나게 배울 거라는 사실을 나는 잘 안다. 제자들을 갖는다는 것이 엄청나게 성가신 일이 될 것이라는 걸 난 쉽게 상상할 수 있다. - P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육론 - 귀한 자식 이렇게 가르쳐라
존 로크 지음, 박혜원 옮김 / 비봉출판사 / 2011년 9월
평점 :
품절


매우 재미있음ㅎ

그러나 점점 진지하게, 교육론으로서보다는 명심보감처럼 읽게 된다.

부모님과, 살면서 만났던 많은 선생님들께 감사한 마음이 들게 하는 책.

젊은 부모님들이 많이 보셨으면 좋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40905 말레이시아, 박종현, 미래에셋투자교육연구소, 2007



  나쁘지 않은 평을 달아 두신 분이 계시기에 사두었던 책인데, 책장에 있는 것이 문득 눈에 띄어 읽어 보았다. 기록을 보니 2021. 9. 17.에 샀다고 나온다.


  아주 어릴 때 아버지께서 연구를 하러 길게 말레이시아에 다녀오신 적이 있다. 내게 말레이시아는 그때 아버지께서 사오신 기념품으로 기억되는 나라이다.

  올해는 학술 행사에서 젊은 고위직을 만나기도 했다. 또랑또랑한 영어가 인상적이었다. Oxford를 졸업하셨다는데, 책 119쪽에 나오는 Twinning Program을 통하셨을지 궁금하다. 밝은 분이셔서 아주 좋은 인상을 받았다.

  그리고는 리콴유 총리의 책에서 간접적으로 알게 된 툰쿠 압둘 라흐만 총리에 관한 이야기 정도이다.


  10년도 더 된 책이어서 아주 유용하다고는 볼 수 없지만, 짧은 분량 안에 이모저모를 잘 담으신 것 같다.

  말레이계를 우대하는 부미푸트라(Bumiputra) 정책 https://en.wikipedia.org/wiki/Bumiputera_(Malaysia)

  최첨단 광역 정보통신 단지 MSC Malaysia https://en.wikipedia.org/wiki/MSC_Malaysia

  중동의 이슬람교도들에게 말레이시아가 썩 괜찮은 여행지라는 것(책 58쪽),

  국왕을 5년마다 선출한다는 것 https://en.wikipedia.org/wiki/King_of_Malaysia

  마하티르 총리와 바다위 총리 이야기 https://en.wikipedia.org/wiki/Prime_Minister_of_Malaysia

  '관용'의 문화와 전통(아래 자료 참조) 등이 기억에 남는다.


  "UN expert urges Malaysia to protect its tradition of tolerance from the rise of fundamentalism" (2017. 9. 25.) https://www.ohchr.org/en/press-releases/2017/09/un-expert-urges-malaysia-protect-its-tradition-tolerance-rise-fundamentalism

  Charukesi Ramadurai, "Malaysia’s harmonious approach to life", BBC (2021. 3. 10.) https://www.bbc.com/travel/article/20210308-malaysias-harmonious-approach-to-life

  Wan Husin, W. N., Halim, N. A., & Zul Kernain, N. F. (2021). Students’ perceptions on ethnic tolerance in Malaysia: A study in three public universities. Ethnicities, 21(1), 98-119. https://doi.org/10.1177/1468796820951991


  https://en.wikipedia.org/wiki/Mahathir_Mohamad




  말레이시아 법제사 책이 있어 좀 놀랐다.




  지은이께서는 2011년에도 말레이시아 책을 한 권 더 내셨다. "누구나 친구가 될 수 있는 나라"라는 부제를 다셨다.




  그리고 찾아 본 자료.


  강영진(KOTRA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무역관장), "수교 60주년, 더욱 가까워진 말레이시아", 나라경제 2020년 3월호 https://eiec.kdi.re.kr/publish/naraView.do?fcode=00002000040000100012&cidx=12446


  Dr. N. Ganabaskaran, "The Impossible Dream: How And Why Mahathir’s Vision 2020 Failed", Between the Lines (2021. 2. 27.) https://betweenthelines.my/vision-2020-mahathir-dream-failed/

간디의 한마디 말이 바다위의 내면을 대변할 수 있을 것이다. "네가 옳다면 화낼 필요가 없으며, 네가 틀렸다면 화낼 자격이 없다." - P10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