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윈 재판이 모두 종료 되었음에도 이 책의 저자 커크 윌리스 존슨은 의문을 갖는다. 모든 새를 다 찾은 걸까? 행방이 묘연한 64점의 새들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이러한 의문으로 에드윈의 숨겨진 행방과 사라진 새들의 실체를 파헤치기 시작한다. 우리 나라의 추적60분과 같은 느낌이랄까. 에드윈에게 인터뷰를 요청하고 에드윈의 친구 롱 응우옌과의 연결고리를 추적해 일부 새들의 실체를 파악하게 된다.
이를 추적해 가는 저자는 사람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많은 사실들을 알게 된다. 에드윈 사건 자체를 두고 많은 사람들이 비난하고 처벌 받아 마땅하다고 말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도 많다는 점이었다. 박물관에서 새를 훔치는 것이 큰 대수냐는 것이다. 사람을 죽인 것도 아니고 박물관에서 공개하지 않고 수량 파악도 제대로 되지 않는 새를 훔친 것이 중죄로 볼 수 있느냐는 의견이었다. 그러한 의견에 나 역시 다양한 생각을 하게 됐다.
'깃털 도둑' 하나로 시작된 이야기가 생각보다 다양한 논쟁거리를 던진다. 멸종이 되는 종을 보존하는 것이 왜 필요한가, 박물관에서 하는 일에 대한 의미, 불법으로 정의된 상거래를 묵인하는 거래 사이트, 아름다움에 목마른 사람들의 행위들, 정신병으로 법망을 피해나가는 사람들 등 가벼운 깃털 하나가 우리에게 참 무거운 의미를 던진다.
이런 장르는 매우 새롭고 색다른 시도라 생각한다. 소설을 좋아하는 사람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논픽션이며, 고증이 기반된 논픽션 부분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도 매우 귀중한 책이다. 책을 다양하게 읽은 사람만이 이 책을 진가를 알아볼 수 있지 않을까. 논픽션을 이렇게 소설처럼 재미있게 쓰기도 힘들기 때문이다. 이 책을 누구에게 추천해줄 수 있을까. 이 책의 진가를 알아 볼 수 있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에게 추천해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