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득의 심리학 - 사람의 마음을 사로잡는 6가지 불변의 법칙 ㅣ 설득의 심리학 시리즈
로버트 치알디니 지음, 이현우 옮김 / 21세기북스 / 2002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설득의 심리학
로버트 치알디니
사람은 태어나면서 설득하고 설득당하며 산다.
어린아이시절 엄마에게 설득당해 손이 아닌 수저로 밥을 먹도록 설득당하고 자신의 책상을 자신이
정리해야된다는 것을 설득당하고 자신의 욕구를 울음으로 표현해 엄마를 설득시킨다.
뭐~ 이 정도 사랑과 옳바른 것을 가르치기위한 설득은 시키는 사람도 당하는 사람도
그 자체가 즐거운 일이다.
하지만 냉험한 사회속에 던져지면 자신의 이익이 타인의 이익과 상반되며 설득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추구해야 됨을 알게된다. 그것이 타인에게 불이익을 주고 술책과 간교함을
요구할지라도 말이다.
이쯤되면 우리도 우리의 이익을 잃지 않기 위해 방어를 해야한다.
적어도 술책과 간교함으로 남을 속이며 불노소득을 취하는 이들에게서는 말이다.
그러기위해서 우린 설득의 원리를 알아야 한다.
이책은 이런한 논리속에 인간관계속에 상호 존재하는 인간 심리들중 설득에
이용되고 있는 몇가지를 소개하고 악용되는 사례와 그에 대한 방어를 소개하고 있다.
우선 첫번쨰 주고받기의 심리에 기초한 상호성의 법칙이다.
상대에게서 자신의 필요한 무엇인가를 얻기위해 먼저 사소한 무언가를 그에게 주는 것이다.
그것이 상대가 원하든 원하지 않던 선물을 준 후에 자신이 원하는 더 큰 것을 상대에게
요구하는 것이다. 상대는 내심 내키지 않지만 먼저 상대로 부터 사소한 선물을 받았고
그에대한 빛갚음을 해야한다는 심리가 자리잡고 있는 터라 내키지 않음에도 상대의
요구를 들어주게 된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술책을 부리는 이런 사람들로 인해 호의를
배푸는 사람들마처 오해를 살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심리적 일처성에 대한 압력을 이용하고 있는 일관성의 법칙. 이것은 공식적인 약속과
마음에 없는 맹세를 할지라도 그것을 행한 자신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후에 자신은 그 약속과 맹세대로 행동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약속과 맹세는 생명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세쨰 다수의 영향력에 의존하는 사회적 증거의 법칙. 모두들 행하는 행동되로 자신이 같은 행동을 하고
같은 물건을 구입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이 자신의 선택에 따른 리스크를 줄이게 된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하지만 다수가 선택했다고 그것은 좋은 선택이라고 말할 수 있는가? 이런 심리를 이용하고자
물건을 파는 상인은 그 상품에 관심이 많은 듯 가짜 손님들을 배치해 놓고 식당에 자리가 충분함에도
손님을 밖에서 기다리게 한다.
네째 유사성 등의 조건에서 유발되는 호감의 법칙
다섯번쨰 맹목적인 복종을 기초로한 권위의 법칙. 이는 권유적인 요소를 가진 특정 계급이나 유니폼등에
사람들은 더 복종적으로 상대에게 설득당한다.
여섯번째 소수의 가치를 바탕으로 한 희귀성의 법칙이다. 이것은 물건을 구입할때 소수의 수량일때
사람들은 그 물건의 품질보다는 수량으로 가치를 판단하는 오류를 범한다. 이런 방법으로 설득을
당해 물건을 구입하게 된 사람들은 자신의 이런 심리가 상술에 이용되었음을 알지 못한다.
이렇듯 사람들의 이런 심리들을 이용해 상술에 쓰는 사례들은 어디에서나 이용되고 있다.
저자는 그에대해 자신의 그런 심리가 발동되려할때 그것을 깨닫고 방어하라고 말한다.
어찌되었던 가벼우면서도 실례적인 사회과학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