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도 오늘도 퇴준생입니다 - 입사보다 퇴사가 더 어려운 회사원을 위한 퇴사 준비 에세이
박철홍 지음 / 이담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입사하면서 퇴사를 준비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알만한 대기업들은 들어가기도 어렵지만 또 정년까지 살아남기도 힘들다.

대기업이 아닌 작은 기업에 입사를 한다해도 정년까지 한 직장을 다닐려고 하지 않는다.

그만큼 내 맘에 쏙드는 직장을 찾는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래서 이곳 저곳을 옮겨다니거나 내 일을 찾아 일찍 퇴사준비를 한다.

억지로 다녀야 하는 직장이 얼마나 괴로울까.

생존하기 위해 일을 하는가 아니면

인정받기 위해 일을 하는가.

행복을 일에서 찾는 사람들이 부러울때가 있다.

자기가 하는 일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이 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등이 정의되는 사람들 말이다.

이 책의 저자 역시 여러가지 가능성과 대안 그리고 자기성찰을 통해 퇴사라는 결정을 내렸다.

그만큼 퇴사를 준비하는데 있어 전략적으로 다가갔고 퇴사를 준비하고 있는 이들에게

올바른 퇴사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될 것이다.


회사에서 인정을 받는다거나 일의 보람을 찾는 일은 굉장히 중요하다.

회사에서의 경력이 나중에, 오랜 시간이 지나 나이가 많이 들었을 때

도움이 되는 일이 많기 때문이다.

일과 그일로 만난 사람들이 모두 앞으로 내가 하는 일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퇴사도 잘 준비해야 한다.

무작정 퇴사하지 말고 충분히 인정받고 퇴사하길 바란다.

입사하고 보니 아주 실망스런 회사가 아니면 아주 X같은 상사나 동료가 아니면 쉽게 퇴사할 일은 아닐 것이다.

퇴사하기 위해 준비하고 챙겨야 할 리스트도 참고하면 좋겠다.

직장이란 울타리는 많은 혜택을 보장해 주기도 한다.

복지와 유급휴가 그리고 대출 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당신이 잘되면 좋겠습니다
김민섭 지음 / 창비교육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리사회 를 사놓고 읽지도 않고 놔두다가 #창비교육 에서 서평이벤트로 당첨이 되어 단숨에 읽었다.

쉬운 언어와 쉬운 표현을 담백하게 쓰기고 하고

글 내용도 우리가 흔하게 겪는 일상적인 것들이어서 일산에서 강남고속터미널을 갔다오는 시간에 다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그의 글에 공감이 가는 것은 이 세상을 살아가는 연약한 사람들이 선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희망을 주기 때문이다.

대학원까지 나왔지만 대리기사를 할 수 밖에 없고

대기업이 아닌 중소기업에 다니는 사람은 세컨잡을 찾아야하는 우리 사회의 연약한 구조가

대한민국에 절망만이 남았다라는 한탄만 하게 하는데

이 책과 이 책을 쓴 저자를 통해 따뜻한 희망과 위로를 찾을 수 있다.

그가 한 헌혈의 이유와 내가 했던 헌혈의 이유가 다르지 않고

내가 하는 일의 의미를 쉼없이 되새기는 일은 그가 바라는

"당신이 잘 되면 좋겠습니다" 의 프로젝트와도 통하는 일이기도 하다.

평범한 그의 말 속에서 따뜻한 마음이 전해져 순간 눈물이 핑 돌기도 하였는데

그것은 그가 진심으로 '당신이 잘 되기를' 바라기 때문일 것이다.

아직 읽지않은 그의 지난 책 #대리사회 가 재미있을 것 같아 많이 기대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것은 주로 ‘해피(happy)‘에 관한 이야기였습니다.
생각해보니 이와타씨는 줄곧 이런 말을 해왔습니다.
그는 모두가 해피하기를 실현하고 싶었던 거지요. 자신이 해피한 것, 동료가 해피한 것, 고객이 해피한 것. ‘행복하게 하다가 아니라 ‘해피‘라는 외래어가 좋네요, 라는말을 나도 했었던가. 이 마음은 나도 전적으로 같았기 때문에 기뻤습니다. 왠지 말이죠.
쓸데없는 것만 기억하는구나 싶지만 음, 이와타씨는요.
‘해피‘라고 말할 때 이렇게 양손을 쫙 폈어요(웃음), 이렇게 ‘해피‘라고 하면서요(웃음). 이런 건 잊을 수가 없네요.
그날 참 좋았는데, 둘이서만 오랫동안 이야기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가 대학교에서 학생들에게 글쓰기를 가르치던 시절에 이런 수업을 했습니다. 학생들이 둥그렇게 모여 앉아 나는 용서한다‘로 시작하는 글을 쓰는 것이었습니다. ‘나는 용서한다‘로시작했으니 자연스럽게 그뒤에는 그때까지도 용서하기 어려웠던 사건이나 기억을 써내려가야 합니다. 예를 들어, 중학교때 나를 왕따시켰던 아무개, 아이들에게 내 험담을 하고 나를괴롭히라고 충동질하고 내 가방을 찢은 아무개, 이제 나는 너를 용서한다, 뭐 이런 글을 써야 하는 것이었습니다. 꼭 사실을적을 필요는 없었습니다. 가상의 사례를 적어서 완성해도 되는것이었습니다. 그런데 그 첫 문장을 쓰자마자 학생들은 무섭게글에 빨려들어가고 있었습니다. 저는 그걸 느낄 수 있었습니다. 그들은 글쓰기를 통해 고통스러웠던 기억과 바로 대면하기시작한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