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센 세대, 낀 세대, 신세대 3세대 전쟁과 평화
김성회 지음 / 쌤앤파커스 / 2020년 3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책을 읽기 전에는 사실 표지만봤을 때는 왠 동물을 이렇게 표현했을까?
끌리질 않았는데
읽어보고 나서 정말 딱 세대마다의 성격을 잘 표현 한 것 같아 혼자 웃었네요.
한 장 한 장 각 세대별로 공감할 것이고, 이해하면서 바라보면 스트레스도 덜 받게된다고해야할까?
정말 퇴근 후 저 상사는 왜 저럴까? 싶을때가 많았고 지극히 개인주의로 있고싶다만은... 말이다.
업무 뿐만아니라 사회 이슈에 관한 이야기도 정말 다르다
국가를 위한 마음, 국가를 위해 희생해야한다는 것? 부당해도 늘 참고 살아왔다는 점!
우리 사회가 어쩌다 이렇게 서로 이간질하며 편 가르기가 되었는지 사실 너무나도 안타깝다.
서열문화, 예의를 중요시 여겨야하는 이 문화가 너무 불편하기만 하다.
집단주의 vs 개인주의 vs 실용주의
에피소드 : 일 다 끝내고 칼퇴하려는 직원에게
선배세대 : "자기 일 다 끝냈으면 남아서 동료 일 좀 도와주지 그래?"
MZ세대 : " 제가 왜요? 제 일 아닌데요? 일을 빨리 끝낸 사람에게 일을 더 주면 그건 조직에 구조적인 문제 있는건 아닌가요?"
기성세대는 청년들의 피가 뜨겁지 않다고 비판한다. 사회가 돌아가는 것에 무관심하다가도 지적한다.
왜 목소리를 내지 않느냐, 왜 개인의 이익 등은 작은 일에만 분노하느냐며 핀잔을 주기도 한다.
기성세대는 이른 바 '흑묘백묘론' 식으로 수적 세 불리기의 결집력이 우선이었다.
이들은 정체성 강화를 통한 소규모 응집력을 더 중시한다.
X세대는 자유롭고 풍요로운 삶을 추구 한다. 안티 386으로서 자유주의와 개인주의를 추구했지만 이들의 유전자에도 집단주의가 은연중에 내재되어있다. 교실마다 붙어 있던 국민교육 헌장은 " 우리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에 태어났다." 로 시작한다.
국가 중심의 권위주의적인 사회문화에 대해 거부감도 느끼지만, 동시에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기여해야한다는 책임감이 은연중에 갖고 있다.
밀레니얼 개인주의는 X세대와 차이가 있다.
내 이익을 침범당함녀 가만두지 않겠다는 자기방어와 수호의 성격이 강하다.
이들에게 팀플 과제가 떨어지면 제일 먼저 관심을 갖는 일은 " 일 못하는 친구를 어떻게 배제하고 불이익을 줄 것인가?" 이다.
고로 회사에서 일을 효율적으로 잘 하면 혜택은 커녕 일이 추가되기만 하니, 아예 일을 늦게 끝내는 시늉을 하게 된다고 한다.
고로 기성세대에게 집단의 개념이 정으로 뭉친 ' 공동운명체'
밀레니얼에게는 역할과 목적 문화에 따라 이합집산하는 전략적 제휴, 약한 연대의 부족이다.
함께 노동요 부르며 모내기 하기 않더라고 각자 에어팟 꽂고 할 일을 한 후 성과를 공평하게 나누기만 하면 된다는 뜻이다.
예의범절 vs 무신경한 척 vs 매너
에피소드 : 예의와 매너의 차이는??
베이비부머 세대 : 요즘 얘들은 너무 예의가 없어 회사 선배를 봐도 본체만체 인사도 안 하고
X세대 : 인사하라고 말하면 꼰대 소리 들을까봐 아예 관심 안 둬요.
인사를 하는지 안 하는지 관찰 하는 것부터가 신경 쓰이니까요
MZ세대 : 요즘 어른들은 매너가 없어요. 우대만 받으려고만 하고 그만큼 대우해주진 않잖아요.
어른이 먼저 아는 척하면 안 되란 법 있나요?
근데 직장에 너무 무개념같은? 꼰대 있지 않나요? 나만그런가 ㅠㅠ
정말 능력도 없으면서 기생충 처럼 윗사람에게는 아부하고 아랫사람에게는 자기 직권남용하듯
부려먹고, 지적하고, 예의 인사 안 했다고 엄청 따지고 말이죠. 무진장 피곤-_-
인사성이 꼭 필요한 가 싶기도하고 ... 그냥 조용히 혼자 지나가고싶은 데 말이죠.
읽으면서 정말 우리 유교문화가 정말이지 사람 피곤하게 만드는 것 같아요.
그렇게 요즘 핫한 드라마 < 이태원 클라쓰>를 보면 어쩌면 대기업에 맞써는 이야기에 덧붙여
꼰대 , 갑질,특권의식에서 벗어나 직원들의 의견을 하나하나 들어주고, 또 부족한 부분, 남을 원망하기보다는
포용하는 그의 리더쉽과 성장이야기에 2030대 에게는 롤모델처럼 보이더라고요.
각 세대별 특징을 마지막장에 표로 깔끔하게 정리해 놓았어요.
베이비부머 세대 : " 어디 버릇없이 대뜸 문자를 해. 중요한 건 통화로 직접 설명해야지 "
MZ 세대 : 다짜고짜 전화부터 하는 사람을 보면 무례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대면력 vs 서면력
이에 정말 너무 공감되었던 이야기 ! 이메일도 보내고 문자도 보내고 서면으로 다했는데
전화 안했다고 다짜고짜 따지는 베이비부머세대 !!
목소리듣고 얼굴 표정 들으면 이해해줄까? 가끔보면 자기 감정기분에따라서 대하면 나역시 너무나도 불쾌하고
전화해도 100% 다 전화 못 받을텐데 예절있게 보고했어도 예절있게 돌아오질 않는다.
직장의 의미가 달라졌다
베이비부머 세대 : 생계 (밥값) - 야망을 가져
x 세대 : 생존 ( 몸값) - 커리어를 쌓아
mz세대 : 생활 (돈값) - 돈 내놔
대면력vs 서면력 에 이어서 2번째 가장 큰 공감을 일으킨 '직장의 의미' 돈내놔 !
정말 윗세대의 조언 야먕/커리어 지금도 아직도 듣고 있다. 정말이지 웃기다
월급은 진짜 몇 년째 쥐꼬리 같은 현실에서 이마저도 감사함을 느껴야하다니? 정신승리 해야할지경
사회생활을 하면서 정말 저 인간은 왜 저럴까 ? 하는 일들이 참 많았다.
그땐 그저 막연하게 성격이라고 생각했는데, 여러 회사 이직하면서 세대간의 문화적 차이가 있다는게 와닿았다.
세대차이라며 이분법적 사고보다는 이해하면서 이해하며 조화롭게 나아갔으면 좋겠다.
이 책을 읽다보면 선후배간의 차이를 이해하기게 매우 적합한 책으로 모든 직장인들이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