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이란 무엇인가 - 예일대 17년 연속 최고의 명강의 삶을 위한 인문학 시리즈 1
셸리 케이건 지음, 박세연 옮김 / 엘도라도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들이 죽음이라는 단어를 통해 떠올리는 사건들은, (케이건이 서문에서 썼던 표현을 빌리면) 죽음을 둘러싼 제도들, 죽음을 마주한 사람들의 심리적 변화, 또는 초월적 세계에 대한 장광설 등이다. 철학에 조금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아마 존엄사(안락사)에 관한 응용윤리학적 논쟁을 떠올릴 법도 하다. 이런 주제들이 중요하지 않은 것도 아니고, 또 사람들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자못 눈길을 끄는 제목과는 달리, 셸리 케이건의 『죽음이란 무엇인가』는 우리가 죽음에 관해 관심있는 주제들은 (거의) 다루지 않는다.


이 책의 상당 부분은 죽음을 둘러싼 사람들의 형이상학적 선입견(편견? 통속적 입장?)을 정식화하고 그 논리적 귀결이나 숨겨진 전제 같은 것들을 언급하는 데 할애되어 있다. 고전적인 의미에서는 영혼, 근대적인 의미에서는 정신과 관련된 이원론자들이 부딪히는 난점이 가장 먼저 논란의 시야에 들어온다. 그 뒤에는 육체와는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가정되는 인격복합체의 문제가 다뤄진다. 서양근대철학에서 가장 뜨거운 화두 가운데 하나인 인격동일성의 문제도 죽음과 연관되는데, ‘내’가 죽는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를 설명하는 데 필수불가결하기 때문이다. 이런 논의가 한참이나 이어진 이후에야 사람들이 “실제로” 궁금해할 (것 같은) 문제인, ‘죽음은 나쁜 것인가?’, ‘나쁘다면 왜 나쁜가?’, ‘자살은 정당화되는가?’, 그리고 ‘어떻게 살아야할까?’를 다룬다.


이 책의 구성이 독자들에게 그닥 만족스럽지 않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내가 보기에 그런 불만족을 셸리 케이건이 의도한 것 같다. 즉, 그는 이 책의 독자들에게 죽음에 관한 “신비적인” 관점을 걷어내고, 자신의 온건한 물리주의적 관점을 수용할 것을 종용한다. 아무리 온건하더라도 결국 인간은 원자의 특정한 조합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그 조합이 “인격이라는 기능”을 가능하게 만들어준다는 점에서 특정한 것은 맞지만, 다른 동물과 형이상학적 차이를 만들어줄 만큼 심층적인 의미가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죽음 역시 마찬가지로, 기능의 정지라는 측면에서 삶을 “박탈”당하는 중대한 사건임에 틀림없으나, 때로는 합리적/도덕적으로 정당화가 가능할만큼 인간에게 허용되는 선택지이기도 하다. 그렇게 우리는 죽음에 의미를 더는 만큼 삶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저자 본인의 의도와는 별개로, 죽음에 대한 셸리 케이건의 (이른바) 분석적 접근방식은 나의 소망을 채워주기도 한다. 사람들은 ‘죽음’에 대해서 만큼이나 철학에 대해서도 “신비주의적” 시선으로 접근하곤 한다. 철학자들의 말에 알 수 없는 힘이 담겨있어서, 내 삶을 한 순간에 바꿔버릴 마법같은 순간을 선사해주길 바라는 모습을 지켜보곤 한다. (10년 전에는 점 칠 줄 아냐고 물어보는 태도가 대세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황이 조금 더 나아졌다고 할 수도 있을까?...) 이런 “신비주의적” 시각은 철학의 목적과 가장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 그다지 바람직하지는 않다. 그의 입장에 모두 동조할 수는 없다고 할지라도, 케이건이 선보이는 여러 내용은 철학이 ‘진짜로’ 하는 일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데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사족: 물론, 철학에 대한 이런 선입견은 철학자들 스스로 자초했다. 멋있는 말을 하면 사람들이 알아서 이해해주지 않을까 하는 오만함, 혹은 그 멋있는 말이 받아들여지는 방식에 관해서는 고민하지 않는 게으른 태도 같은 것들이 이런 선입견을 일으킨 철학자들의 잘못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삶의 문제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도덕철학이나 윤리학, 철학적 인간학이 이해하기 어려운 어휘와 납득할 수 없는 담론으로 점철된 것 또한 심각한 문제다.)


나는 그래서, 철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이 책을 더욱 더 많이 읽었으면 좋겠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선 대중적인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덜한 철학적 주제에 대한 분석적 접근의 전통이 더욱 더 많이 소개되었으면 한다. (판매량을 봐선 이미 많이 팔린 것도 같지만…) 분석적 전통에서 다루는 주요한 주제들이 그 자체로는 그야말로 현실과는 한 666차원쯤 떨어져 있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다. (이 책에 대한 인터넷 서점의 리뷰를 봐도 알 수 있다…) 하지만 그 논의들 각각에 관해 차분히 생각해봤을 때 현실 세계에 대한 함의가 분명히 있다는 것, 그리고 플라톤의 대화편을 통해서 소크라테스가 제시하는 “철학”이라는 것에 분석적 접근이 훨씬 더 부합한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분명히 분석적 접근의 논의들 속에서 우리가 곱씹어볼 구석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