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국가·정체(政體) - 개정 증보판 헬라스 고전 출판 기획 시리즈 1
플라톤 지음, 박종현 옮김 / 서광사 / 200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첫째, 플라톤의 글은 언제나 난해하다. 나는 이 난해함이 그가 선택한 글쓰기 전략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한다. 그는 『국가』 전반에 걸쳐서 비유를 자주 사용한다. 사람의 몸과 국가를 비유하고, 그 비유를 정당화하기 위해서 멀리서 본 작은 글씨와 가까이서 본 큰 글씨를 떠올려보라고 주문한다. 그 밖에도 온갖 종류의 유비논증이 등장한다. 그래서 나는 아직도 의문이다. 비유는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것은 설명하는 방식이 아니라는 생각이 아직도 머리를 맴돈다. 


둘째, 우리는 왜 플라톤은 싫어하면서 행정전문가들에 의한 통제는 받아들이는가? 부끄럽게도 『국가』의 완독은 처음이다. 허구헌날 파시즘이니 왕정체제니 독재니 하면서 비판받는 플라톤의 철인정치체제는, 자세히 뜯어본 결과 행정전문가 시스템에 가깝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그는 (역시 비유 또는 신화적 설명이긴 하지만) 사람들 사이의 다양성을 논하고, 이것이 어떤 방식으로든 전수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그리고 인재의 양성은 공동체가 전적으로 담당한다. 그리고 그런 최고의 인재들이 공동체 전체의 운명을 건 여러 결정을 한다. 최소한 행정분야에 있어서 우리는 전문가 시스템을 신뢰하지 않는가? 또한 아무리 민주정이라고 해도, 대의제를 표방하는 순간 우리는 입법부에도 전문가를 들여보내지 않는가? 물론 이 논의에는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국가통제 방식 즉 민주주의(또는 투표를 통한 입법부의 직접통제) 같은 것은 빠져있고, 이것은 중요한 차이이다. 그럼에도 플라톤과 우리 사이를 갈라놓는 다른 중요한 차이가 무엇인지 계속 고민하게 된다. 


셋째, 플라톤이 계속해서 주장하는 형상과 그 실재성이 계속 마음에 걸린다. 어찌보면, 이것은 그저 플라톤의 의견일 뿐이니 내가 왈가왈부할 사항은 아닌 것 같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이것이 과연 유효한 의견인가? 그리고 여기에 기반해서 그가 구상해낸 이상국가는 유효한 모델일까? 플라톤 본인도 철학자들이 세속사회에서 얼마나 비참한 상태에 놓이는지를 푸념했지만, 그것은 이 시대에 훨씬 더 극단적인 형태로 나타나는 것만 같다. 플라톤이 객관주의-도덕적 확신-지행의 일치 라는 고대 그리스적 묶음에 천착한다면, 나(우리)는 회의주의-도덕적 다양성-의지박약의 문제 라는 근대적 묶음에 포위당해 있는 셈이다. 


넷째, 플라톤의 모든 논의는 인간의 도덕성과 그 함양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우리는 표현의 자유를 주장하면서도, 아이들에게 모든 것을 보여줘서는 안된다는 견해에 쉽게 동의한다. 플라톤이 공략하려는 약점도 이 부분이다. 또한 우리는 예술에 관해 도덕적 잣대를 들이미는 것을 거부하면서도, 미적 판단과 도덕적 판단을 잘 구별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아동성추행범인 로만 폴란스키의 영화를 우리는 계속 봐야하는가? 김기덕은 어떠한가? 플라톤의 해결책은 일견 깔끔해보인다. 즉, 모든 것에 대한 도덕적 통제라는 당연한(혹은 무시무시한) 발상을 내놓은 것이다. 이런 주장의 밑바탕에는, 진리와 도덕성과 아름다움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특정한 철학적 견해가 깔려있다. 나는 이것을 거부할 수 있는가? 오히려 이 셋을 분리하려 애쓰는 쪽이 인류의 역사에서 더 희귀하지 않았던가? 


다섯째, 『국가』도, 재미가 무지무지 없긴 하지만 결국 한 편의 희곡이다. 그리고 10권에서, 시를 좋아하는 사람들도 산문의 형식을 통해 시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논변하고 그게 납득할만하다면 시를 허용할 수도 있다고 여지를 남긴다. 그럼에도 그는 왜 희곡을, 넓은 의미의 시를 쓴 것일까. 그래서 그의 의도를 상상해보았다. 어쩌면 그는 시의 올바른 쓰임을 제시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사람들이 시는 형식과 내용 모두를 호메로스를 닮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호메로스가 보여주는 것은 형식에서 옳았으나 내용에서 틀렸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그리고 이것은 결국 시의 형식으로 인정받고자 한 플라톤의 욕구가 반영된 것이 아닐까. 


물론, 『국가』는 노잼이므로 플라톤은 실패했다고 평가할 수 밖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