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나의 한국현대사 : 1959-2014, 55년의 기록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4년 7월
평점 :
판매중지
오랜만에 유시민을 읽는다. 원치 않는 이유로 [국가란 무엇인가]를 읽은게 벌써 몇 년 전인지. 유시민을 읽으면서 항상 생각한다. 항소이유서를 썼을 때나, 참여정부의 이데올로그로 활동했을 때나, 정치인에서 지식인이자 문필가로서 다시 돌아온 현재에도 그의 글은 언제나 편안하면서 날카롭다. 그리고 환갑을 바라보면서도 그는 계속 자신의 글을 갈고 닦으면서, 항상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는 것 같다. 무협만화의 성실한 절정고수를 보는 느낌이랄까.
그런 유시민이 자신의 뒤를 돌아보는 역사서를 썼다면, 그건 어떤 느낌일까 궁금했다. 우선 아주 넓은 분야에 걸쳐서 잊어서는 안되는 사건을 빠짐없이 언급하려 노력한 흔적이 엿보였다. 물론 큰 목차는 경제-정치사의 주요한 사건을 언급하는 기존의 역사서술의 틀을 따르고 있지만, 그 사건이 가져다준 사회-문화적 파급을 간략하게 정리하는 것도 잊지 않고 있다. ⅓ 정도는 아는 내용이었고, ⅓ 정도는 타임라인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아 헷갈리는 내용이었고, 나머지 ⅓ 정도는 잊고 있었거나 모르는 내용이었다. 유시민이 정리한 현대사를 보며, 나도 나름대로 내가 알고 있던 것을 재정리-환기할 수 있었다.
역사서가 본질적으로 가질 수 밖에 없는 건조함에도 불구하고, 유시민은 이 책에 나름의 생동감을 부여하고 있다. 내 눈에 그 방식은 두 가지다. 하나는 한국의 현대사라는 혼란의 소용돌이의 중심에 있었던 자신의 기억을 중간중간에 삽입시킨 것이다. 현재 시점에서 먼 사건이나 풍경일 때 그의 서술은, 어머니와 아버지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만 같다. 그가 겪었던 것은 곧 나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겪은 사건이기도 하다. 물론 교사의 아들이며 인문계 학교에 진학해 중고생 시절 내내 전교 수위권을 놓치지 않았을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생이자 독일 유학파인 유시민과, 소규모 자영농의 아들-딸이며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에 바로 생계에 뛰어든 부모님의 사고의 구조가 완전히 같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어린 시절에 관한 기억에선 어떤 공통점을 찾을 수 있지는 않을까.
생동감을 부여하는 다른 한 가지 방식은, 잊을 만 하면 등장하는 실명 언급이다. 2장의 서두에 인용된 말마따나, “300년을 30년에 압축해서 경험한” 우리 현대사를 제대로 기술하는데는 아주 많은 지면이 필요하며, 따라서 현대사 책의 저자라면 효율적 기술을 위해 지면을 아껴야만 할 것이다. 그럼에도 유시민은 특정한 사건을 설명하며 지나치다 싶을 만큼 연루된 인물을 일일이 거론하기도 한다. 나는 이것이 그의 전략적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즉, 언급될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어마어마하게 중요한 인물들은 논외로 하더라도, 몇몇 이름들은, 단적으로 말하자면, 현대(2010년대!!!) 한국 정치계의 주요 인물들이다. 너무나도 잘 알려진 역대 대통령과 국무총리들은 말할 것도 없고, 현재 직업정치인의 주류로 간주되는 이른바 “386” 친구들(심재철, 우상호, 이인영, 송영길 등)과 욕을 입에 달고 살던 운동권 시절 친구 심상정 등. 심지어 아프리카TV 사장 문용식의 이름도 등장한다. 우리에게 익숙한 이 이름을 하나하나 부름으로써, 이 책은 현대사가 단순히 역사가 아니라 현재라는 사실을 계속 환기시킨다.
이렇게 생동감을 부여하는 그의 전략에서, 나는 교훈으로서의 역사라는 유시민의 관점을 읽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역사라는 하나의 단어에는, 사건의 진상을 명확하게 밝혀내는 사실로서의 역사와, 인간 사회의 반복되는 실수를 경계하게 만들고 도덕적 모범을 보여주는 교훈으로서의 역사라는 두 가지 뜻이 담겨있다. 후자의 관점을 채택한다면, 역사적 사건은 과거에 박제된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같은 구조로”(에필로그) 다시 일어날 수 있는, 실험실의 비교대조군같은 것이다.
그렇다고 그가 무턱대고 없는 이야기를 지어내서 말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사건에 대한 건조한 기술과 해석의 관점이 중요하게 대두된다. 이런 측면에서, 보수적 연구자들의 저서도 (다소나마) 언급되어 있다는 것은 이 책의 또 다른 장점이다. 예를 들어, 이승만을 언급하는 책의 초반부에 그가 유영익의 책을 인용한 것을 보고 나는 내 눈을 의심할 수 밖에 없었다. 유영익은 역사학계의 대표적인 이승만 무조건 찬양론자이기 때문이다. 그 외에 한국에서 진보와 보수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이슈인 북한 문제와 복지정책의 확대에 관한 서술에서도, 자신이 보수적인 학자들의 연구도 참고했다는 흔적을 남긴다.
그래서 유시민의 한국현대사는, 최근의 정치-사회적 후퇴에 대해 민중이 반성하고 맞서게 만들어주는 도구로서의 이야기다. 우리는 1992년 서해 훼리 사건을 겪었으면서 2014년에 세월호를 또 겪는다. 박정희 전두환의 폭압통치는 이명박과 박근혜 시대에 부활했다. 그 둘은 “본질적으로 같은 구조”이기에 우리는 과거의 저항과 무기력의 경험으로부터 무언가를 배울 수 있다. 물론 무엇을 배울지는 유시민이 정리한 한국현대사를 읽는 독자 각자의 몫일테다.
이처럼 이 책은 역사에 대한 확고한 관점이 있고, 자신이 의도한 (것처럼 보이는) 목적을 훌륭하게 성취하고 있는 좋은 책이다. 하지만 나는 어딘가 꺼림칙한 기분을 감출 수 없다. 이 기분의 원천은, 결국 민주정부 10년 특히 참여정부 시기에 대한 내 박한 평가다. 그래서 이 걸리적거림이 유시민의 역사서술이 실제로 가진 한계인지, 아니면 유시민에 대한 내 편견이 반영된 것인지 명확하게 말할 수가 없다. 이런 마음 한 켠의 찜찜함만 묻어둔다면, 참으로 간만에 좋은 책을 읽었다고 친구들에게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시간이 된다면, 59년생으로 유시민과 동갑인 내 어머니와 이 책을 같이 읽어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