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스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67
알베르 카뮈 지음, 김화영 옮김 / 민음사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뮈의 『페스트』는 흑사병이 닥쳐온 어떤 폐쇄된 소도시의 1년을 응시한 결과물이다. 물론 카뮈의 글은 소설이다. 그럼에도 생동감이 넘치는 것은, 아마 불과 얼마 전에 우리 사회 또한 비슷한 상황에 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메르스, 혹은 그 이전에 사스, 그리고 (훨씬 증세가 가볍지만) 몇몇 여름에 찾아오는 유행성 눈병 등등. 카뮈가 묘사한 여러 사람들을 우리는 뉴스로 접했다. 게다가 어딘가 허술해보이지만 어쨌든 체계적으로 흑사병을 처리해내는 오랑 사람들의 모습에서, 카뮈를 읽는 한반도의 거주자라면 묘한 동시대성을 느낄 것이다.


그럼에도 주변을 서술하는 우리의 언론과 카뮈의 결정적 차이가 무엇인지 묻는다면, 나는 사람들의 행위에 대한 서술자의 태도라고 대답할 것이다. 어떻게 해서라도 욕설과 클릭수를 끌어올리려 애쓰는 인터넷 기사와는 다르게, 카뮈는 그려낼 뿐 판단하지 않는다. 보고하는 사람인 리유의 이런 태도 때문에, 나는 누구라도 욕할법한 코타르에 집중했다. 그는 보통의 삶을 견디기 힘들었던 자살미수범에서 폐쇄된 도시의 유일한 승리자인 밀수업자로 거듭났다가, 페스트가 종식되자 난동을 부려 경찰에게 끌려간다. 질병과 공포는 그에게 힘을 불어넣었다. 사람들의 행복은 그를 착란으로 몰아넣었다. 내 독해가 꼼꼼하지 못했던 탓인지 적어도 소설 내에서 그 원인을 직접 추적할 순 없었다.


그래서 그 이유를 내 상상에 맡겼다. 해수쟁이 영감의 말처럼 “페스트가 인생”이라면, 까닭도 전례도 없이 창궐한 쥐처럼 사람들의 삶 사이로 스며드는 운명이라면, 코타르와 같은 대응방식도 결국 인간에게 열려있는 선택지 중 어떤 것이 아닐까? 비정상성 속에서 누군가는 무감각한 관료가 되어 적응하고, 누군가는 낯설음에 당황하여 허둥거리지만, 결국 운명을 깨닫고 저항하는 방식의 핵심은 지속가능성이 아닐까? 누군가는 도덕적 무책임을 선동한다고 비난할지 모른다. 어쨌든 코타르는 – 설령 그것이 운명이 아니라 인간의 명령에 의해 이뤄졌다 하더라도 – 처벌의 단계에 들어섰다는 점에서, 『페스트』는 그런 비난에서 비껴있다. 또 각 개인들이 운명에 저항하는 각각의 방식을 보여주기에, 우리는 『페스트』에서 여러 열린 선택의 과정과 결말을 약간이나마 맛볼 수 있다. 그 끝이 희극이든, 비극이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