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말을 죽였을까 - 이시백 연작소설집
이시백 지음 / 삶창(삶이보이는창) / 200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농촌에 대해 다룬 책은 참 많. 한국에서 소설이 시작된 그 시대에, 소설가는 농촌에 대한 이야기를 주로 쓸 수밖에 없었다. 농촌은 아주 많은 사람들이 살던 무대였고, 따라서 글쟁이들은 공감을 얻기 위해서든 비판을 하기 위해서든 땅에 뿌리를 내려야만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근대적 발전시기를 지난 이후, 사람들의 삶의 무대는 점점 도시로 옮아갔고, 글쟁이들 역시 흙 대신 아스팔트를 밟으며 글을 쓰기 시작했다. 도시의 생활, 도시의 감수성, 도시의 빛깔이 소설에 녹아들었다. 이런 경향은 점점 심해지기만 했고, 도시에 사는 사람이 늘어날수록 겉잡을 수 없이 번져갔다.


   반면 농촌은 도회의 부정적 분위기를 씻어낼 수 있는 곳으로 타자화되었다
. 순수함, 근대적이지 않음, 한적함, 복잡하지 않음, 사람에 치여 살지 않을 수 있는 곳하지만 결코 농촌은 그런 곳이 아니라는 것을 이시백의 누가 말을 죽였을까는 잘 보여준다. 지은이는 글에서, 전면적으로 자기 모습을 드러내지 않으면서, 마을 사람들이 서로 맺은 관계와 대화를 통해 여기도 사람 사는 곳이다.’ 라고 피력하고 있다. 등장하는 인물들이 노상 고민하는 것은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골칫거리 삼는 사항들과 별로 다르지 않으며, 묘하게 겹친다. 게다가 도시가 주체가 되어 암묵적으로 타자화된 상황에 대한 수용과 거부에 대한 입장이 한 겹 더 덮어지면서, 등장인물(들 사이)의 갈등은 자신들의 주름 만큼이나 더욱 깊어간다.


   지은이는 이런 갈등구조가 등장한 원인을 대개는 외부에서 찾고 있다
. 면사무소 일로 대변되는 이런저런 국가정책, 그리고 그 중에서도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친 것으로 비쳐지는 박정희 대통령 시기의 새마을 정책,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필연적으로 가져다줄 수 밖에 없는 금전숭배경향, 자신들의 개발방식에 세계를 끊임없이 편입시키려는 의도, 그 갈등 사이를 다시 돈을 매개로 비집고 들어오는 사람들. 또한 사람들은 이런 외부적인 요인들이 토대로 삼는 생각을 똑같이 체화하고 있다. 땅을 지키는지 파는지 고민하다가도 단번에 돌아서는 사람, 단 한번도 나서서 무언가 해본적이 없는 사람들, 자식에게는 더 이상 이런 환경을 물려주기 싫다는 생각, 겉으로는 아닌 척 하면서 속으로는 떠날 궁리를 하는 사람들, 그것을 보면서 아니라고 말하지만 현실을 탓하며 입을 다물어버리는 사람.


   지은이는
, 이런 개인과 정치-사회 요소들을 소설 곳곳에 두텁게 배치해놓았다. 초등학교조차 제대로 나온 적이 없는 50대 촌부들의 대화 속에서 이런 배경을 찾아낼 수 있고, 또 그런 배경 없이 할 수 없는 말이 흘러나오는 대화가 나오는 이유는, ‘체화라는 말 밖에는 달리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등장인물들은 자신들이 보고 들은 것을, 멋대로 배치시켜 엉뚱한 인과를 만들어낸다. 분명 합리적이지 못하다. 하지만 이것을 옳지 못하다고 말할 수 없다. 게다가 그저 촌부들의 넋두리라고 함부로 웃어넘길 수도 없다. 여기에는 체화하며 얻어낸 직관 내지는 그를 통한 통찰이 담겨있기 때문이다.


   이런 모습을 보면서
, 학문적으로는 개인의 행동에 경제가 가장 깊은 이유로서 토대를 이루기는 하지만 결코 경제 하나만으로는 환원될 수 없는 여러 가지 요소가 있다고 말한 알튀세르의 중층결정이라는 개념을 떠올릴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보다는, 이문구의 연작소설 관촌수필이 다루고 있는 소재나 주제들과 맞닿은 점을 생각해보는 것이 한결 속이 편하다. 그리고 아주 일치하지는 않지만, 골프장과 관련된 이야기를 부풀려서 찍으면 나올 것 같은, 류승완 감독이 만든 영화짝패를 떠올리며 글을 보는 것도 재미있는 일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