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 - 제6회 채만식문학상, 제10회 무영문학상 수상작
전성태 지음 / 창비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성태의 소설 늑대, 제목에 걸맞게 늑대에 대한 상징과 비유로 가득 채워져있다. 그 상징은 각자 다른 성격의 인물을 통해 드러나고 있다. 그래서 어떤 순간엔 명확하고 뚜렷하게 그 대상이나 함의가 드러나는 것 같으면서도, 다른 인물을 통해 이야기가 이끌려나갈 때에는 전혀 다른 말로 늑대를 채운다. 이것이 중첩되는 면모를 해석하고, 다시 재구성하는 것이 이 글을 읽는 가장 큰 재미가 아닐까 짐작해본다.


   우선 이 소설의 배경인 몽골에 이미 살고있는 사람들에게
, 자본주의와 시장경제가 늑대의 모습을 하고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기존에 영위하던 생계를 위협하는 어떤 세력, 하지만 그 앞에서 언제나 희생양을 만들 수 밖에 없으며 순응하도록 강제하는 폭력적인 성격. 촌장으로 불리는 사람에게 자본주의란 이런 모습으로 다가올 수 밖에 없을 것이다. , ‘폭력적인 낯선 것과의 마주함 속에서, 특정한 삶의 형태를 강요당하는 모양새를 취하고 있다.


   이 모습은 촌장의 애매모호한 태도 뿐만이 아니라
, 늑대를 대한 승려의 태도에서도 다소 엿볼 수 있다. 승려는 이를 어떤 자연의 법칙으로 이해하는 듯한 말을 내뱉는다. 따라서, 수행자들은 이를 막을 수도 없고, 그러나 불행하고 옳지 않다는 것 또한 깨닫고 있는 가운데 제 위치를 찾지 못한 채 혼란스럽기만 한 것이다. 어쩌면, 고대적 사고관 내에서 지식인 계층을 형성하고 있었을 종교인들이 이런 상태에 놓여있다는 것 자체가 그 사회의 늑대에 대한 태도를 반영하는 자료이기도 할 것이다.


   하지만
, 늑대의 이런 지위는 화자가 서커스단장으로 바뀜에 따라 완전히 뒤바뀐다. 기존에 살고있떤 사람들에게 늑대는 경외 - 따라서 피할 수 없는 운명 정도로 간주되었다. 그에 비해 서커스단장에게는, 포획과 정복, 피랍의 대상이 된다. 여기에서 늑대는 더 이상 자본주의의 상징이 아닌, 더욱 철저한 자본주의적 개체에 희생되는 어떤 것 내지는 먹잇감 정도의 지위로 전락한다. 중립적 용어로는 미개척 시장 정도 될 것도 같다. 서커스단장이 늑대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은 결국 경제적-금전적인 이득이기 때문이다.


   이 둘을 종합해볼 때
, 늑대는 결국 자본주의에 포섭당하기 전의 사회 그 자체이다. 이행에 있어서는 전통을 뒤흔드는 기제임과 동시에, 더욱 발달된 자본주의 앞에서는 끝내 신흥시장 정도의 위치로서만 자리매김할 수 밖에 없는 그 사회의 불안한 위치를 반영한다. 야생에서 먹이사슬의 위쪽에 있는 것으로서 어떤 우위를 유지한 채로 살아가다가, 먹이사슬을 규정하는 자연-사회의 체계가 변화함에 따라 쓸쓸하게 기존의 위치와 전통을 버리도록 강요당하는, ‘늑대로서의 국가에 관한 기술인 것이다.


   그런데 이런 관점에서는 두 가지 의문점이 생긴다
. 하나는 왜 검은 늑대는 죽었는가?’하는 점이다. 늑대 가운데도 가장 대표성이 강한 검은 늑대(아스팔트 색깔과 같다)는 모종의 경위를 거쳐 죽은 채로 발견된다. 이는 무엇을 뜻하는가? 단순히 자본주의로 전환한 사회의 종말이라 보기엔, 그 깊이가 너무 얕을 뿐만 아니라 많은 반례 역시 엄연히 존재한다.


   둘째는
, 가장 마지막 사건의 화자가 매우 모호하다는 점이다. 더군다나 이것은 사회 변화와 아무런 관계가 없는, 어쩌면 치정극으로 마무리되는 듯한 인상마저 남긴다. 내게는 이 부분이 이 소설 전체에서 가장 이해할 수 없고, 어떤 이야기인지 서사조차 읽을 수 없는 장소였다. 이 작가의 다른 글을 읽고 나서야 이 부분을 읽어낼 수 있게 되는 것인가... 하는 생각에 씁쓸함도 감추기 힘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