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대중문화시대의 문학읽기 숙제. 김애란,「누가 해변에서 함부로 불꽃놀이를 하는가」감상평>

 

   김애란이 쓰는 글은, 서사나 설정 자체보다는 문장 하나하나에 담긴 번뜩이는 재치에 무게가 실려있다는 느낌을 준다. 특히, 전혀 연관이 없을 것 같은 것들 사이의 수사법으로 독자에게 독특한 느낌을 주는 데 매우 능하다. 하지만 그 사이에는 분명 직관적인 연관이 숨어있다. 다시 말해, 지은이는 문장을 완성하기 위해 브레인스토밍을 해보고, 그 중간과정을 생략한 채 처음 심상과 끝 심상만 덩그러니 제시하는 것이다(김애란의 다른 단편인 종이 물고기는 이런 기법으로 소설을 쓰는 작가 자신에 대한 자전적인 단편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이 연관을 찾는 과정에 독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김애란 글 읽기의 재미라고 할 수 있겠다.


   「
누가 해변에서 함부로 불꽃놀이를 하는가, 김애란 특유의 소설 기법과, 아이들이 한번쯤 궁금해하는 탄생의 과정에 대한 호기심이라는 소재가 결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어떻게 생각하면 누구나 할 수 있는 뻔한 질문이다. 하지만 글쓴이는 대답하기에 난감한 상황과 이에 대한 (김애란식) 비유와 포장을 덧씌워 새로운 느낌, 전에 찾아보기 힘든 독특한 발상으로 소재의 일상적 식상함을 보기좋게 극복해낸다.


   성인이면 누구나 알 듯
, 아이는 성관계를 통해 의미있는 개체로서 세계에 등장한다. 성관계-그리고 좀 더 넓은 의미에서 성애 행위라고 말할 수 있는 장면은 이 소설 안에서도 충분히 묘사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이 직접 서술되지는 않으며, 폭죽과 비누방울이라는 비유를 한번 쓴 채로 그려진다. 그래서 성애행위를 그리면서도 선정적이지 않고, 더러 유아적인 느낌까지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성기에서 발사돼 하늘에서 방사되는(그것도 그 많은 폭죽 가운데서도 방사되는 형태의) 폭죽, 키스와 함께 등장하는 비누방울, 그리고 그 두 가지 비유가 등장하는 황당한 과정들. 사실 이런 설명은 우리가 흔히 아이들에게 들려주는 손 잡고 잤더니 생겼다.’, ‘배꼽에서 나왔다.’ 같은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단지 그 모양이든 질감에 있어서든, 가만히 생각해볼 때 성인이 알고 있는 모습과 직관적으로 유사한 점이 있는지, 아니면 없는가의 차이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아버지의 해명은 거짓말인 동시에 진실이다
. 아버지에게 그마만한 문학적 감수성이 있다는 것이 약간 놀랍긴 하지만, 어쨌든 적나라한 면들은 피하면서, 훌륭하게 탄생과정에 대해 설명한 셈이 되었다. 아들 역시 그런 아버지의 설명이,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기 힘든 이야기라는 걸 알면서도, 그 거대한 문학적 비유를 부드럽게 수용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정작, 진짜 이야기가 시작되려는 순간 잠들어버리는 것이 아닐까?


   아버지가 건네는 이야기를 들으며
, 아들은 점점 자신의 근원과 의미에 대한 이해를 넓혀간다. 어쩌면, 아버지를 거부하려던 시기에 겪은 필연적인 성장통이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복어 알에 대한 비유에서 방사된 폭죽(그러니까 이를테면 정자들)으로, 그리고 다시 폭죽에서 비롯된 다른 존재들에 대한 인식과 아버지에 대한 이해로 연결되는 이 소설 전체의 뼈대는, 유아에서 성인으로 성장하는 인간의 정신적 발전과 많이 닮아있다. 역시나 이 전환의 중요한 계기는, 아버지에게서 들은 성애행위(관계)에 대한 간접적 체험일 것이다.


   이 소설에는
, 이 모든 과정이 김애란 특유의 수사를 통해 재미있고 유아적으로 묻어난다. 또한 조금은 과장되고 뜬금없지만 유쾌한 백과사전식 위트는, 크게 벗어나지 않는 수준에서 글을 더욱 읽기 좋게 만들어주는 요소가 아닐까 생각한다. 얼핏 선정적인 제목만큼이나, 성관계에 대해 이렇게 유치하게 재미있게 쓰기도, 힘들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