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학의 주제와 문제들 숙제> 

문 : 우리는 결코 거짓말을 해서는 안되는가? 이에 대한 칸트의 답변과 논증을 재구성해보고, 그 타당성을 평가해보라.

답 : 

  칸트의 도덕철학에서 핵심적인 내용은 두 가지로 압축된다. 하나는 의무 형식을 동기로 삼은 행위만이 도덕적인 속성을 띌 수 있다는 것이다. 인간은 의무 말고도 다른 여러 동기들을 행위의 근거로 삼는다. 어떤 것이 좋아서 하기도 하고, 또는 아무런 의식 없이 습관적으로 무언가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행위들은 도덕적인 행위로서 인정받을 수 없다. 그의 말에 따르면, 도덕은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매 순간마다 일관되게 판단하여야 한다. 또한 그 행동이 순수하게 인간의 내면으로부터만 나와야 하고, 외부로부터 영향을 받아서는 안된다. 그런데 의무 이외의 다른 성향을 동기로 삼은 행위들은 일관되지 않고 매 순간마다 다를 뿐 아니라, 외부의 조건이나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칸트는 전통적인 의지 개념을 받아들이고 있는데, 인간이 순수하게 자신의 내면으로부터만 끌어낼 수 있는 심리적 능력이다. 따라서 이 의지에서 비롯된 의무 형식의 동기, 즉 ‘~해야 한다.’는 형식에 근거한 행위만이 도덕으로서의 자격이 주어진다. 

  다른 하나는 인간을 목적으로서 대하라는 명령이다. 이는 인간이 이성적인 존재라는 가정에서 귀결된다. 다른 동물들과는 달리 인간은 이성을 사용할 수 있는 존재이며, 다른 인간들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인간은 스스로를 존중하는 것처럼 다른 사람들도 이성적 존재로서 존중해야한다. 여기서 칸트가 말하는 이성은 과학적 관찰과 세계를 인식하는 순수이성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도덕적 판단을 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행위할 수 있는 실천이성이기도 하다. 인간은 스스로는 자신이 이성을 갖춘 도덕적 존재라는 사실을 자각하고 그에 따라 행동해야 하며, 타인에게도 이와 같은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타인 또한 자신과 같이 도덕적으로 판단하고 옳은 행동을 할 것이라고 간주 또는 요청해야 한다. 칸트는 이 두 가지를 인간의 도덕성을 성립시키기 위한 중요한 근거로서 내세우며,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위와 같은 기준에 비추어 인간은 어떤 경우에도 거짓말을 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우선 그는 거짓말이라는 개념이 일관되게 주장할 수 있는 것인지, 즉 다시 말해 일반화했을 때 모순을 일으키지는 않는지 묻는다. 이 모순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만약 나 뿐만이 아닌 모든 사람이 거짓말을 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여러 가지 난관에 봉착하게 된다. 첫째, 모든 사람이 거짓말을 한다면 거짓말과 거짓말이 아닌 말(진실된 말)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진다. 이는 다시 말하면 거짓말이 사라진다는 말과 같다. 어떤 말도 진실이 아니라면, ‘진실이 아니다.’라는 정의에 의해 진실에 의존하고 있는 거짓말도 마찬가지로 그 내용을 잃고 만다. 다시 말해 어떤 말도 진실이 아니라면 똑같이 어떤 말도 거짓말일 수 없다. 이는 논리적 모순이다. 

  둘째, 대개 거짓말은 구체적인 상황의 지배를 받는다. 즉, 거짓말을 한 뒤에 아무런 변화가 없거나 혹은 거짓말을 하는 사람에게 손해를 끼치는 상황일 경우에는 아무도 거짓말을 하지 않을 것이다. 거짓말은 그것으로 자신에게 상황을 유리하게 변화시키거나, 이득이 생기는 경우에만 유효한 것이다. 하지만 만약 모든 사람이 거짓말을 한다면, 내가 하는 말이 진실이라는 믿음에서 출발하는 거짓말의 효력이 사라진다. 따라서 거짓말을 통해 의도한 어떤 목적은 결코 달성될 수 없을 것이다. 이는 거짓말을 직접 했을 때의 효과, 즉 실천적인 면에서의 모순이다. 

  또한 많은 경우 인간의 거짓말은 자신이 바라는 바를 얻기 위해 다른 사람들을 조작하려는 과정에서 생겨난다. 바라는 바를 얻기 위해 내가 설정한 그럴듯한 각본에 참여하게 만드는 것이다. 여기에서 인간 일반의 위치가, 특정한 어떤 인간의 목적보다 아래 놓이게 되는 일종의 전도가 생겨난다. 이러한 전도는 칸트가 매우 걱정했던 현상이다. 인간은 그 어떤 경우에도, 도덕적인 존재로서 다른 어떤 목적보다도 우선해서 대우받아야 한다. 인간은 이성을 갖추고 있다는 것으로 다른 존재들과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많은 거짓말은 인간을 더 이상 그 자체로 존중받아야 할 존재로서 바라보지 않고, 내 거짓말에 수긍하는 경우에만 존중받을 수 있는 하찮은 존재로 만들어버린다. 따라서 거짓말은 거짓말을 듣는 상대방의 인간성에 대한 망각이며, 거짓말을 하는 사람 스스로도 인간으로서의 지위를 포기하겠다고 간접적으로 선언하는 것과 같다. 칸트에 따르면 이러한 대우는 있어서는 안되는 일이다. 

  거짓말을 일반화(보편화)했을 때 모순이 생긴다는 논증을 통해, 칸트는 거짓말에 대한 매우 중요한 속성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바로 ‘거짓말의 기준’이다. 상식적으로 거짓말을 언제나 해야한다고 믿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외부적인 조건이 되었든, 아니면 우리의 내면이 변화하는 것이든 거짓말은 언제나 ‘나는 진실을 말하고 싶다.’는 바람과 상관없이 강제된다. 우리는 그것이 거짓말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한다. 만약 인간이 거짓말을 한다는 게 주어진 사실이라면, 인간은 언제 거짓말을 해야하고 언제는 거짓말을 해서는 안되는가? 인간이 거짓말을 해도 된다고 말하려면, 이 기준을 매우 명확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어떤 언어적 표현으로도 이러한 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아무리 엄밀한 기준을 제시해도, 거짓말을 해도 되는 상황은 언제나 우리가 규정해놓은 언어의 틀을 빠져나가게 마련이다. 오히려 모든 인간들은, 사실상 자신이 한 거짓말은 언제나 그 기준에 부합한다고 주장할 것이 너무나도 명백하다. 

  그렇다면 인간이 거짓말에 대해서 아무런 도덕적 의식이 없는 존재라면 어떨까? 이는 칸트가 제시한 도덕의 두 번째 기준, 즉 인간을 목적으로서 대우하라는 말에 위배되는 상황이다. 이런 조건에서 인간의 거짓말은, 동물들이 자신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포식자의 눈을 속이는 것과 별로 다를 바가 없다. 또는 먹이를 잡기 위해 위장을 하는 포식자의 태도와도 같다. 이와 같이 인간의 위치를 격하시키는 것은 그 자체로도 문제가 있지만, 자신의 믿음과 타인의 믿음 사이에서 모순을 일으킨다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만약 거짓말을 어떤 개인의 믿음의 체계와 일치하지 않는 말이라고 정의한다면, 그 거짓말이 거짓말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기준은 각 개인에게 주어지게 된다. 자신은 거짓말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 말을 믿지 않는다. 하지만 다른 사람은 그 말을 믿는다. 만약 내 거짓말이 그것을 듣는 상대의 믿음의 체계와 일치한다면 그것은 더 이상 거짓말이 아니다. 그렇다면 나는 이것을 진실이라고 인정해야 할까? 

  이런 의문은 인간을 수단으로서 대우할 수밖에 없는 거짓말의 고유한 특성과도 연결된다. 거짓말은 거짓을 참으로 믿게 만드는 수단이다. 이렇게 인간의 인식을 교란시켜야 하는 필요성은, 언제나 그래야 하는 이유가 있기 때문에 주어진다. 이유 없이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 이유를 성취하기 위해 인간의 참된 인식을 방해하는 것이 거짓말의 가장 큰 효과이다. 하지만 이렇게 인간을 이용하는 것은 어디까지 허용할 수 있는지, 만약 그 거짓말의 대상이 자신이 되는 것에 대해서 각 인간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의문이 드는 것은 매우 자연스럽다. 자신은 언제나 진실을 바라보아야 한다고 믿으며, 그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자신에게 가장 좋다고 믿는 사람은, 어떤 사람에게 거짓말을 함으로써 자신에 대한 의무를 저버린다. 따라서 거짓말이 허용되는 합당한 기준에 대한 문제와 인간성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 칸트의 논증은 충분히 곱씹어볼만한 가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