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호크니 리커버 에디션) - 2019 제43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
김초엽 지음 / 허블 / 2019년 6월
평점 :
품절
2분 퀵서비스
여러분의 기억 속으로 책을 배달해드리는 2분 퀵서비스!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시작합니다.
여러분이 마지막으로 감상한 SF 영화는 무엇인가요? 소설은 무엇인가요? SF 장르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으시나요? 현실에서 일어나지 않을 것 같은 내용 때문에 허무맹랑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장황한 과학용어가 주루룩 늘어질 때마다 영 모르는 내용일 것 같아서 SF에 다가가지 않으시나요? 당신이 SF를 읽지 않는, 않았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그러면, 다음과 같은 SF소설이 있다면 믿으실 건가요? 지구로 떠나는 우주여행에서 사랑을 깨닫는 게 성인식 행사인 소설, 미지의 존재와 조우해 소통하면서 공감하는 과정을 그린 소설, 우리가 어린 시절을 기억하지 못하는 게 인간다움을 부여하는 외계의 존재 때문이라고 말하는 소설, 더 멀리 갈 수 있는 기술의 발견 때문에 갈 수 없게된 가까운 행성에 사는 가족을 그리워하는 소설, 추모공원을 대신하는 마인드 업로딩 센터에서 사라진 엄마를 찾아 헤메는 소설, 감정을 찾아 헤메다 감정을 드러내는 물건을 옆에 두려 하는 소설, 굴레를 벗어나 바다로 가버린 소수자 이모를 생각하며 우주로 나아가는 소설. 여기에 사랑, 공감, 그리움, 두려움, 상실감을 전면에 내세운 SF 소설이 있습니다.
2019년 휩쓴 화제의 소설, 인터넷 서점 알라딘 선정 2019년 올해의 책, 한국 SF 소설이 쌓아올린 성과를 보여주는 따뜻한 소설, 김초엽의 단편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입니다.
2종 보통 키워드
꼼꼼하게 책을 읽은 당신을 위해 두 단어로 핵심을 짚어드리는 2종 보통 키워드입니다.
제가 꼽은 키워드는 감정입니다.
다른 존재들과 구별되는 인간의 특성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대한 전통적인 대답은 이성입니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정설처럼 여겨졌던 답인데, 동물과 비교했을 때 합리적으로 사고하는 것처럼 보이기에 그렇게 생각해온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연구가 인간이 결코 합리적인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다양한 방식으로 보여주고 있죠. 진화론 기반의 연구가 그렇고, 우리가 저번주에 보았던 뇌과학 기반의 심리학 연구가 그렇습니다. 다른 한 편으로 인간보다 훨씬 더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인공지능 기계의 출현이 인간의 정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인간의 본질이 합리성이라면, 그와 비슷하게 합리적인 기계 또한 인간으로 대우해야 하는 것 아니야? 라고 말이죠.
그래서 최근엔 인간에게 고유한 비합리적 측면, 즉 감정을 인간의 본질로 이해하자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 더 정밀하게 말하면 인간은 “합리적 감정”을 지닌 존재라는 주장입니다. 동물처럼 마구 반응하는 것도 아니지만 기계처럼 지나치게 합리적으로 생각하지도 않고, 우리에게 주어진 신체적 조건에 따라 반응하는 것이 인간의 핵심이라는 겁니다. 때로는 그 감정을 “합리적으로” 통제할 줄도 아는 능력, 즉 내 감정을 드러내는 적정선을 다른 사람들의 감정을 고려하며 탐색해나가는 능력이 인간의 본질이라는 것입니다.
김초엽의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안에 들어있는 여러 단편엔 이러한 감정이 기술적 발전을 만나서 그 적정선을 새롭게 찾아가는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실려있습니다. 수록된 단편 [스펙트럼]을 볼까요? 주인공은 우주여행 중 불시착한 어떤 행성에서, 인간과 비슷하지만 같지만은 않은 어떤 무리를 만납니다. 무리 중 한 사람이 주인공을 구해주고는 자기 동굴에 머물게 하죠. 인간이 사용하는 모든 기호체계는 이 무리를 아는 데는 쓸모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행동,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색채 등을 조심스럽게 분석하며 주인공은 나름대로 그들을 이해하려고 하고, 그 무리의 한 사람 또한 주인공을 바라보면서 어떤 행동을 해야하는지 알아갑니다. 이렇게 서로 표현을 맞춰가는 거죠.
인간의 본질이 이성이 아닌 감정이라는 위의 논의를 이어가보면, 표현은 의미의 전달 활동이 아니라 감정의 전시입니다. 즉, 표현을 맞춰가는 것은 감정을 맞춰가는 것입니다. 이 감정이 서로가 생각한 적절한 선에서 마주칠 때 우리는 [스펙트럼]의 마지막 문장에서처럼 “행복”이라는 감정을 느낍니다. 물론 쉽지 않습니다. 이 책에는 [감정의 물성]에서 감정의 돌을 바라는 사람들처럼 이런 행복의 기회를 잃어버렸거나, [관내분실]의 주인공처럼 그 행복의 기회를 찾아서 헤매는 인물들도 등장합니다. 이들은 각자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데 실패하거나 성공하고, 각자가 원하는 일정 정도의 행복을 성취하거나 그렇지 못하는 것으로 그려집니다.
미래의 모습을 세밀하게 묘사한다고 해서 훌륭한 SF작품이 되진 않을 것입니다. 다른 모든 소설이 그렇듯이 SF 또한 인간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지는 문학입니다. 발전된 기술과 그에 따른 사람들의 행동의 변화가 주요한 소재가 된다는 점이 다를 뿐이죠. 단편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은 모든 단편에서 감정의 변화와 적절함을 핵심 주제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감정이란 인간의 뿌리를 이루는 요소이기에, 이 책 또한 우리에게 근본적 질문을 던지는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2제 아이랑 투게더
더 재미있게 읽을 당신에게 보내는 애드온 서비스, 2제 아이랑 투게더입니다.
저는 넷플릭스의 드라마 시리즈인 블랙미러를 추천하려고 합니다. 블랙미러를 SF라고 부를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기술을 소재로 다양한 서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제가 생각할 때는 SF라고 부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흔히 SF는 엄청난 기술이 발명/발견된 먼미래를 다룬다는 편견이나 선입견과는 달리 블랙미러는 이미 어디에선가 개발된 기술, 조금 있으면 사람들이 접할 수 있을법한 기술을 소재로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한다는 점이 독특합니다. 이어지는 시리즈는 아니고 각 회차가 모두 독립된 에피소드이기 때문에, 아무 화나 골라서 보셔도 되고요. 저도 다 보진 못했고 틈 날때마다 생각날때마다 눌러서 챙겨보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