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와 늑대 - 괴짜 철학자와 우아한 늑대의 11년 동거 일기
마크 롤랜즈 지음, 강수희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2분 퀵서비스


여러분의 기억 속으로 책을 배달해드리는 2분 퀵서비스! <철학자와 늑대> 시작합니다.


이 책을 쓴 마크 롤랜즈는 다양한 분야에 걸쳐 논문을 쓰는 철학자입니다. 처음 강사생활을 시작하던 시절 아름다운 외모에 이끌려 늑대 한 마리를 기르기로 결정하고, 브레닌이라는 이름을 붙여줍니다. 그리고는 브레닌이 늙고 병에 걸려 안락사하기로 결정할 때까지 11년 동안 함께 지냅니다. 훈련시키면서 느낀 점, 자신이 채식을 시작했을 때 늑대도 채식을 시켜야하는가 생각했던 경험, 산책 중에 길을 잘못들어 전기철조망에 감전됐던 사고, 다른 개들이나 다른 사람들 나아가서 세상과 브레닌이 관계 맺는 방식, 오랜 기간 동안 병간호를 했던 상황 등 늑대 브레닌과 함께 지내면서 생긴 에피소드는 재미와 감동을 동시에 선사하고, 이런 에피소드를 통해 깨달은 것들을 솔직하게 서술함으로써 롤랜즈는 철학적 고민과 사유의 깊이를 더해갑니다. 늑대를 통해 사람을 이해하는 여정을 담은 철학자의 일기장, <철학자와 늑대>입니다.



2종 보통 키워드


꼼꼼하게 책을 읽은 당신을 위해 두 단어로 핵심을 짚어드리는 2종 보통 키워드입니다.


제가 뽑은 키워드는 “실존주의”입니다. 인간의 조건, 자유, 시간, 죽음 등과 연관된 아이디어를 많이 제시한 철학사조이고, 이 책의 2장 “나의 늑대가 되어줄래?”, 8장 “시간은 롤렉스 시계가 아니잖아”, 9장 “꿈 속에서 다시 만나자” 에서 다루는 내용이기도 하죠. 이 책을 쓴 마크 롤랜즈는 늑대의 행동방식을 관찰하면서, 늑대가 세상을 대면하는 방식이 어쩌면 실존주의적일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암시하고 있습니다. 실존주의에서 가장 유명한 문장은 책의 목차에도 나와있는 “실존은 본질에 선행한다”라는 사르트르의 말일텐데요.


사르트르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려면, 에드문트 후설이라는 독일 철학자를 언급하고 가야합니다. 책에서도 등장하는 사람이죠. 후설에 따르면, 인간의 정신은 근본적으로 바깥을 향해 있다고 해요. “나는 생각한다”는 말은 언제나 생각의 내용을 포함하며, 아무런 대상 없이 성립되는 정신적 활동은 없다는 뜻이죠. 만약 인간이 정신적 존재라면, 인간의 존재 또한 정신의 존재 자체가 아니라 정신의 활동을 구성하는 대상 그리고 그들과의 관계 속에서 구성될 것입니다. 인간 정신의 이런 특성을 후설은 “지향성”라고 합니다.


이런 후설의 주장을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고 프랑스에 소개하면서 유명해진 사람이 사르트르입니다. 그에 따르면,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철학자들은 개별적인 존재들에 관해 생각할 때 “종의 특성”을 중심으로 사고하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이는 인간을 대할 때에도 마찬가지인데, 인간의 다른 특성은 동물이나 식물과도 공유하는 반면 이성적 사고와 영혼의 소유는 다른 동물에게서 볼 수 없기 때문에, 인간에게 고유한 특성은 이성적 사고 능력과 영혼의 소유라는 식입니다. 이렇게 특정한 종을 규정하는 특성을 본질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사고방식에 따라 철학자들은, 가장 완전한 인간은 이 본질을 가장 잘 구현하는 인간이고, 인간의 삶은 비인간적 활동을 줄이고 인간적 활동을 늘리는 과정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즉, 동물의 상태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인간의 존재 양식이며 자유의 핵심이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사르트르는 이것이 인간의 존재 양식에 관한 잘못된 파악이라고 주장합니다. 후설의 논의를 이어받은 사르트르는 정신이 근본적으로 수동적이고 외부의 대상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태어날 때부터 “이성적 사고 능력”이나 “영혼” 등의 본질을 지니고 태어나는 사건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즉 우리는 주변과 맺는 관계에 의해 인간으로 “만들어집니다.” 나아가 서로 다른 환경과 관계를 맺고 있는 개별 존재들은 종적 특성으로 한데 묶을 수 없을만큼 수많은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듯 종의 구성원으로서가 아닌 관계의 개별적 산물로서의 존재 양식을 가리키는 사르트르의 용어가 바로 “즉자 존재”입니다.


그렇다면 모든 존재는 관계에 의해 무기력하게 규정되기만 할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사르트르의 관점에선, 최소한 인간만은 이러한 관계를 자신에서부터 출발해 규정할 수 있는 능력, 존재 방식을 스스로 결정할 능력이 있습니다. 이런 능력은 지금 내 존재가 주변 환경과 관계맺은 방식을 통해서 생성되었다는 반성에서부터 출발해, 대상으로서의 세계 속에서 내가 어떤 부분에 관심을 쏟을지 선택하고 결단하는 의지로 나아갑니다. 사르트르에겐 이렇게 관계를 맺을 대상을 선택하면서 형성하는 이러한 활동이 인간의 자유의 핵심이며, 이런 능력을 가진 존재인 인간을 “대자 존재”라고 부릅니다.


중학교나 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실존주의 시”로 흔히 언급되는 김춘수의 <꽃>이 이 과정을 잘 보여줍니다. 내가 “꽃”이라고 부르기 전에 그 대상은 세계 전체와 구별되지 않는 ‘그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내가 주의를 기울여 “꽃”이라고 부르는 순간 그 꽃은 세계 전체로부터 떨어져나와 내 세계를 구성하는 존재로 자리잡습니다. 동시에 세계의 관점에서 보면, 꽃을 내 세계로 받아들여 변화한 나는 더 이상 이전의 나와 같지 않은 새로운 존재가 되죠. 이렇게 인간은 대자 존재로서, 나의 세계와 세계 속의 나를 동시에 생성하는 끊임없는 과정에 놓여있다는 것이 사르트르의 주장입니다. 이 책에서 저자 마크 롤랜즈는 단지 인간 뿐만 아니라 늑대도 이런 생성을 하고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2제 아이랑 투게더


더 재미있게 읽을 당신에게 보내는 애드온 서비스, 2제 아이랑 투게더입니다.


제가 추천해드리고 싶은 책은 피터 고프리 스미스의 <아더 마인즈: 문어, 바다, 의식의 기원>입니다. 우선 철학자가 쓴 동물 관련 에세이라는 점에서 <철학자와 늑대>와 공통점이 있고요. 문어를 다뤘다는 점에서 독특합니다. 문어는 최근 동물의 지능이나 진화를 연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흥미를 끄는 동물인데요. 일단 지능이 매우 높고 의식적 활동을 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신경세포의 분포가 육상생물과는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마치 늑대와 함께한 삶이 인간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주었다고 말하는 <철학자와 늑대>처럼, <아더 마인즈> 또한 문어를 관찰하면서 인간의 의식과 지적 활동이 어떻게 진화해왔고 작동하는지 알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철학적 내용 이외에도, 진화를 다룬 다른 책에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다뤄지는 해양생물의 진화에 관한 정보, 문어의 행동에 관한 다양한 실험에 관한 설명이 흥미를 끄는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