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록 강의
가토 신로 지음, 장윤선 옮김 / 교유서가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말해주듯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에 관한 해설서이고, 일본 카톨릭 방송이 평신도를 대상으로 마련한 강의에 기반해 만들어졌다. 하지만 술술 읽히는 것은 아닌데, 깊이있는 독해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 볼 수 있는 특이한 견해는 두 가지다. 하나는 <고백록>의 서사를 선형이 아닌 원형으로 파악한다는 점이다. 즉, 불신자가 신자로 변하는 이야기가 아니라, 하나님으로 인해 태어난(즉 존재하게 된) 내가 하나님을 떠났다가(존재를 망각하고) 다시 돌아가며 진정한 나로 존재하게 되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이렇게 해석하면 고백록은 신앙고백이 아니라 존재증명의 과정이 되며, 입으로 신앙을 말하는 책이 아니라 "뼈로" 실존을 말하는 책이 된다.


두번째는 "장소로서의 신"이라는 개념과 신이 머무르는 장소로서의 기억(메모리아)이라는 발상이다. 신이 어떤 존재인지 본질을 밝히는 것은 나와 아무런 관계가 없다. 오히려 신이 어디에 있는지 밝힘으로써 존재와의 관계를 밝힐 수 있다. 신이 어딘가에 머무른다고 말하는 것은, 머무르는 존재와 머무름을 알아채는 존재 모두를 가정함으로써 존재는 관계를 전제함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 관계가 드러나는 장소가 기억이다. 기억은 나의 존재의 흔적이다. 즉, 내 존재의 이유인 신의 역사하심의 증거다.


그 기억 속 사건들이(즉 역사하심이) 현재의 나를 만들고, 또 지금의 내가 기억이(즉 역시 역사하심이) 되어 미래를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기억은 과거이며 현재인 동시에 미래다. 그게 하나님이 세계를 관장하는, 시간이 아닌 시간적 방식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