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의 변명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18
플라톤 지음, 강철웅 옮김 / 이제이북스 / 2014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소크라테스는 재판정에 들어서면서 어떤 생각을 했을까? 『소크라테스의 변론』의 내용을 봤을 때, 그는 자신의 솔직한 심정을 배심원과 대중에게 그대로 털어놓았을 때 죽음을 맞이할 것이라고 예상했던 것 같다. 그럼에도 그는 거짓말로 죽음을 피하려들지 않았고, 자기 생각을 숨김없이 털어놓음으로써 자발적으로 사람들의 분노를 샀다. 죽음에 대해 의연한 모습을 보이지만, 그렇게 의연한 모습을 보이기에 2500년도 더 지난 지금까지 그 기록이 남아 우리에게 읽히고 있지만, 그에게도 여러 갈등의 순간이 있었을 것이다. 다른 사람과는 다르게 그는 자신의 삶 전체와 일관된 선택을 내렸고 이를 수행하는 데 충실했다. 사소하지 않은, 아주 중대한 차이인 것 같다.


그러나 이 죽음이 함축하는 의미에 관해 생각하다보면, 생각이 복잡해진다. 우리는 아테네를 현대 민주주의의 원형으로 배운다. 책에서도 나오듯, 이곳은 심지어 재판마저도 사람들의 의견에 따라 결정하는 곳이다. 몇몇 역사적 사건을 통해서 이 체제가 나쁘게 흘러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배우긴 하지만, 어쨌든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민주주의는 인류가 고안해낸 가장 진보적인 정치체제라는 점은 상식이다. 그리고 민주주의의 근본적 전제는 진리에 대해 아무도 알지 못하고, 알 수 없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소크라테스는 바로 이 지점을 정면으로 찌른다.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정책을 설계하고 집행하고 재판을 하는 것이 민주주의라면, 그 공동체는 우리가 소속감을 가질만한 자격을 갖춘 곳인가? 모른다는 것은 사실과 진리를 모른다는 것인데, 그것은 과연 우리가 원하는 결과와 소득을 가져다줄 수 있는가? 설령 우연히 우리가 원하는 효과가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어쩌다 그렇게 된 것일 뿐이지 않겠는가. 이를 용인하는 것이 인간으로서,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올바른 태도일까. 소크라테스는 단연코 아니라고 답한다.


그래서 변론 속에는 어쩌면 영원히 화해할 수 없을지도 모를, 하지만 인간의 근본적 조건으로서 항상 이고 살아야하는 대립이 표현돼있다. 장르로 따지면 철학과 정치의 대립이고, 입장으로 따지면 진리와 민주주의의 대립이다. 아테네는 정치와 민주주의의 이름으로 철학과 정치의 아이콘을 단죄한 것인데, 이것을 그르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을까. 소크라테스는 단순히 배심원들을 도발해 기분을 나쁘게 만드는 차원을 뛰어넘었다. 그렇다고 진리를 독점한 자들이 독재를 해야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도 아니다. 소문으로든 변론으로든 그의 입장을 충분히 알고 있던 아테네 시민들도, 그래서 유/무죄 평결에서 소크라테스의 손을 꽤 많이 들어준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변론』을 읽고 철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들은 진리의 편을 들어주려는 경향이 있을 것이다. 철학이라는 활동 자체가 진리를 탐구하는 소크라테스적 방법에서 시작되었으니 말이다. 이 글을 쓰는 나도, 민주주의 사회의 시민이지만 동시에 철학에 관심이 많은 사람으로서 진리의 유혹에 시달린다(?). 어떻게 이 두 가지 소중한 가치를 소크라테스처럼 잘 조화롭게 세워놓느냐가, 좋은 시민이 되기 위한 관건이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