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은 여름
김애란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애란 작가의 글을 참 오랜만에 읽는다. 그의 첫 단편집인 『달려라 아비』를 난 정말 좋아했다. 지금 보아도 비슷한 느낌일지 모르겠으나, 그다지 밝지 않은 소재를 발랄하게 풀어가는 (일종의) 깨방정(!?) 같은 느낌을 준 책이라고 기억하고 있다. 그래서 『바깥은 여름』의 첫 장을 펼치자마자, 이상하고 어색했다. 『달려라 아비』 만큼이나 산뜻한 표지와는 달리, 문제도 무거웠고 등장인물들도 우울했으며 사건도 충격적이었기 때문이다.


아닌게 아니라, 이 책에 실린 단편들 전체를 휩싸고 도는 어떤 어두운 분위기가 있다. 앞의 두 세 편을 읽을 때까지는 난 그것을 “질척거림”이라고 이해했다. 질척거린다는 말의 어감보다 내 느낌의 강도는 조금 더 무겁지만, 적당한 말을 고르자면 그렇게 될 것 같다. 이 단편집에 등장하는 모든 사람들은 무언가에 붙잡혀서 허우적대는 것처럼 보인다. 지내온 시간, 머무른 공간, 사건에 대한 기억, 타인의 흔적, 세상의 고루함과 편견, 자책 같은 것들이 이야기 전체를 짓누른다. 책을 읽던 어느 시점에선, 과장을 조금 보태자면, 정말 숨이 막힐 지경이었다. 그가 이 소설에서 풀어낸 모든 무게가 나 또한 감싸고 있는 것 같은 느낌 때문이었다.


이런 면에서 내게 가장 인상적인 단편은 「건너편」이었다. 모든 이야기를 다 적어내려갈 순 없으나, 누군가의 눈에 비친 내 모습이 그토록 한심하고 비루할 것만 같아서 그랬다. 그 너덜너덜해진 과거를 기어이 붙잡고 싶어했으나, 그 방식마저도 이상하게 어긋났던(더 정확히는 이수가 비난받아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관계에서 나를 보았다. 그런 관계는 언젠가 어그러지고, 그 어그러짐은 오히려 더 어그러지지 않아서 다행이라는 “안도감”을 선사한다는 표현에 이르러서는, 정말 한 대 맞은 기분이었다.


이 책 안에 등장한 단편 중 몇몇이 죽음을 중요한 소재로 다룬다는 점은(「입동」, 「노찬성과 에반」, 「가리는 손」,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 「침묵의 미래」), 진흙탕같은 답답함을 자아내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인 것 같다. 더군다나, 물론 어떤 죽음이 그럴까 싶지만, 이 책 속 그 모든 죽음들 중에 유쾌하고 축복받으며 그 과정을 맞이하는 장면은 단 하나도 없다. “액체같이” ‘질척’거리거나, 사고로 죽거나, 이유가 없거나, 그러하다. 그래서 내 생각은, “질척거림”에서 조금 더 무거운 것보다 훨씬 더 침잠된, 하지만 내가 언어화할 수 없는 어떤 것이 이 단편들 전체를 통해 작가가 전하려던 말이 아닐까 싶었다.


조금 더 나아가자면, 죽음이라는 사건에 대한 이런 태도는 세월호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한국 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겐 그 사건이 충격이겠지만, “징후”를 읽어내는 문학가로서 더욱 그 무게가 더했던 모양이다. 김애란 작가 스스로도 이 단편집 속에서 그런 점을 감추지 않는다. 누가 봐도 세월호가 테마일 것 같은 작품이 두 개(「입동」, 「어디로 가고 싶으신가요」)나 있다(각각 2014년과 2015년에 발표되었다). 죽음을 둘러싼 돈과 현실의 문제를 아주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노찬성과 에반」 같은 은유도 있다. 그 충격과 그것을 소화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벌어졌던 여러 행태들은, 그의 시선을 거쳐서 이 안에 고스란히 담겨있는 것 같다.


그래서 독자로선, 10년이 넘는 시간 동안, 그리고 여러 가지 사건을 거치며 변한 작가의 모습을 볼 수 있어서 무척이나 반가웠다. 분위기가 무거워진 것이 반드시 깊이를 담보하는 것도 아닐 뿐더러, 그가 깊이가 없는 작가도 아니었으니 내가 그의 작품의 수준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할 수 있는 처지는 아니다. 다만, 정말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절로 한숨을 짓게 만드는, 그 정말 많은 것.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