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스티븐 호킹의 역사 - 자서전
스티븐 윌리엄 호킹 지음, 전대호 옮김 / 까치 / 2013년 9월
평점 :
절판


저 세상 가신지 얼마 안 된 분이 쓴 책에, 그것도 자신의 일생을 다룬 책에 이렇게 이야기하는 것은 고인에게 실례가 되겠지만, 내가 읽기에 그다지 좋은 책은 못되는 것 같다.

내가 생각할 때 그 이유는, 첫째는 이 책의 성격 때문이다. 이 책은 자서전 중에서도 탐구의 여정이 강조된, 이른바 지적인 자서전에 속한다. 그래서 200페이지도 안되는 얇은 분량 안에서 자신의 연구에 관한 이야기가 절반도 더 넘는 분량을 차지한다. 문제는, 호킹의 연구를 읽고서 이해하며 이것이 얼마나 대단한 발견인지를 아는 사람이 세상에 얼마 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뉴턴도 본격적으로 들어가면 몇 년을 배워야 할 만큼 어렵다는데, 아인슈타인은 아무리 교양으로 책을 보고 강좌를 들어도 공부하자마자 까먹는다는데, 호킹은 이 둘보다도 더 뒤다. 발상은 그만큼 더 상식과 멀어지며, 실험에 대한 이해 난이도는 훨씬 더 올라가있다. 내용이 이해가 되질 않으니, 그의 평생의 연구주제였던 “우주의 시작과 끝”이라는 흥미로운 주제와 그의 연구가 어떤 식으로 연관이 되는지는 그야말로 어렴풋하게 감만 잡힐 뿐이다. 평균의 한국어 독자가(내 생각엔 영어도 마찬가지일 것 같은데) 이 책에서 건질 수 있는 것은 몇몇 과학용어 빼면 없을 것 같다.

두번째 이유는, 그의 삶이 외형적으로 별로 드라마틱하지 않아서 그렇다. 물론 신체적인 이상이 엄청난 핸디캡이라는 점을 부정하고 싶지도 않고, 그의 인생이 드라마틱하지 않았다는 것을 구실로 자서전의 독자인 내가 호킹을 나무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게다가 그의 지적 여정을 이해할 수 있는 독자라면, 그의 삶이 엄청나게 흥미진진할 것이다. 그리고 당대의 지성사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참고할만한 부분이 있을지도 모른다. (내 경우엔, 캠브리지 대학의 개혁적 분위기 속에서 학생과 교수 사이의 중재자로서 뜬금없이 중국과학사 연구자인 조셉 니덤의 이름이 나와서 웃음이 터졌다.) 하지만 이 책에 대한 이런 우호적인 고려가 없다면, 그의 인생은 아주 가차없이 요약할 수 있다. 뛰어난 연구 업적으로 빠르게 교수사회에 자리잡았다. 심지어 학생을 가르칠 필요가 없는 석좌교수직에 오르기까지 했다. 그리고 계속 연구했다. 가끔은 강연도 했고, 여행도 다녔고, 결혼은 두 번 했다. 끝. 읽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그래서 뭐 어쨌다고!?”라는 탄식이 나올 대목이다.

호킹의 인생에 관한 그 짧은 글에서 내가 읽어내지 못한 행간이 있다면, 그것은 온전히 내 책임일 것이다. 하지만 분명한 건, 독자에게 친절한 책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