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물 속 페르시아 고양이 ㅣ 생각의나무 우리소설 2
구효서 지음 / 생각의나무 / 2005년 6월
평점 :
품절
구효서 라는 작가는 왠지 친근하다. 정작 그의 소설은 이번이 처음인데 말이다. 사연인즉, 친구와 같은 성을 가진 소설가로 친구는 항상 자신의 성을 이야기할 때 구효서를 들먹였다. 그런 이유일까, 친구의 딸은 효서가 되었다. 이웃집 아저씨와 같은 흔한(?)인상이라 낯선 소설들임에도 불구하고 호감을 갖고 그와의 만남을 시작했다.
소설속에는 혹시 작가의 일상이 아니었을까 싶을 정도로 작가에 대한 언급이 많다. 특히 차례로 이어지는 <물 속 페르시아 고양이> <깡통따개가 없는 마을> <나무 남자의 아내> 세 소설에서는 특정한 직업을 소개하지 않고 여행자의 모습으로 작가를 떠올리게 한다. 또한 현재에서 시작하여 과거로의 회귀나 기억을 떠올리면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물 속 페르시아 고양이 : 습작시절을 떠올리며 문학도로써의 모습은 이러하다 라는 사고로 살았을 것 같은 젊은 날, 우연하게 만난 자취방 주인 집 여자가 될 뻔한 여자와 소설가를 꿈꾸는 화자에게 말이 통하는 아줌마와의 만남은 즐거운 일상을 예고했을지 모른다. 우아함을 가장해 클래식을 듣고 신문 기사를 외워가며 이 소설가와 어떤 로맨스를 꿈꿨을까. 여자가 자신과 어울리지 않게 안고 있던 페르시아 고양이처럼.
깡통따개가 없는 마을 : 본격적인 소설을 쓰기 위해 아니 직업에 충실하게 위해 한적한 암자에 찾아든 화자는 소설쓰기가 아닌 무료한 일상에 젖어든다. 밥을 먹고 산책을 하고 그러다 탈출사 사내를 만난다. 어떤 위험한 상황에서도 탈출은 성공하지만 정작 떠나고 싶은 암자의 스님의 눈에서는 탈출을 하지 못한다. 소설을 쓰기 위함이라는 핑계를 대고 떠났지만 화자는 정작 아내의 임신 사실이 확정되는게 두려웠는지 모른다. 깡통따개가 없는 마을에서도 깡통을 딸 수 있고 특정한 공간이 아니더라도 소설은 쓸 수 있다고 나는 그만 엉뚱한 단지를 걸고 만다.
영혼에 생선가시가 박혀: 이 단편은 참으로 재미있다. 제목부터가 너무 멋지지 않은가. 소설을 꿈꾸는 수많은 이들은 모두 영혼에 생선가시가 박혀있기 때문이란다. 주인공 서 통이 소설가로 등단가지 까지의 에피소드를 그렸다. 열심으로 창작의 고통의 결과가 아닌 힘있는 작가의 문하로 들어가서 추천으로 등단을 하거나 이곳 저 곳 학원을 옮겨 다니는 모습 등 한국문단의 등단과정이나 문학상 당선과정을 풍자하며 꼬집고 있다.
묵집한 소설집에는 표제작인 <물 속 페르시아 고양이>를 시작으로 9편의 소설을 만날 수 있다. 9편 모두 인상적이었지만 내게는 다소 생경한 소재의 소설이 두 편 정도 있었다. 마치 암호화된 글인양 느껴지는 < 아이 엠 어 소피스트>와 <확성기가 있었고 저격병이 있었다> 이 두 소설은 군대라는 제약된 공간에서의 이야기인데 그 형식과 내용이 다소 파격적이었다.
작가 구효서를 처음 만난 느낌은 어려운 글들이었지만 대체로 나쁘지 않았다. 소설 쓰기와 문학에 대한 애정을 소설 속 곳곳에서 만나게 되어 더욱 그러했다. 소설 속 소설 쓰는 화자들은 대부분 남자들로 그들은 마치 작가 구효서의 분신들처럼 느껴졌다. 그는 책의 시작에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인간은 말을 한다. 그 말을 통해서 타인에게로 건너가며, 세계로 들어가고, 그 세계를 이해한다. 또 그 말을 타고서 다시 자신에게로 돌아온다. 말이 없다면 나도 없으며, 너도 없고, 세계도 없다. 말은 인간과 인간을, 존재와 세계를, 사물과 영혼을 연결하는 길이다. (중략) 문학은 이 미지에 말의 길을 내려는 운동이다. 아직 형태를 얻지 않는 세계와 존재와 삶의 신비를 말의 길로 끌어들이려는 움직임인 것이다. 특히 소설은 일상의 큰길의 한복판에서 오고 가는 모든 것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 가장 싱싱한 말이다. 성(聖)과 속(俗), 귀(貴)와 천(賤),내면과 실재를 가리지 안고 그는 세상의 모든 길을 달린다. (중략) 도처에 울려 퍼지는 문학의 죽음이 거짓 소문이라는 것, 우리가 말을 버리지 않는 한, 아니 버릴 수 없는 한, 말은 계속해서 살아 움직이며, 아직 형태를 얻지 않는 우리들의 진실을 향해 달려올 것이라는 점 말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렇게 외치고 싶다.누가 우리의 가는 길을 묻거든, 눈을 들어 이 말을 보게 하라.
그의 글은 소설을 꿈꾸는 이에게, 그가 독자이건 작가이건 아니 영혼에 생선가시가 박힌 모든 이에게 강력한 위로가 되고 커다란 울림을 준다. 그 울림을 제대로 전하지 못함이 안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