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위안의 서 - 제3회 황산벌청년문학상 수상작
박영 지음 / 은행나무 / 2017년 4월
평점 :
‘누군가의 죽음을 유기하기 위해 파놓은 깊은 구덩이 같은 발굴 현장에 내리고 있는 눈송이들이 그는 죽음처럼 보였다. 죽음은 눈에 보이지는 않아도 언제나 우리 머리 위로 떨어져 내려 삶의 윤곽을 뒤덮어버리는 선뜩한 비늘들인 것이었다.’ (115쪽)
죽음을 읽는 일은 고통스럽다. 그것이 실재가 아닌 소설이라 하더라도 말이다. 하루하루의 삶이 죽음이라는 절대적인 존재 앞에 무기력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이미 사랑하는 이들과 영원한 이별을 했고 죽음에 익숙해져 단단해졌다고 여겼지만 죽음은 여전히 무너지지 않는 성처럼 나를 가로막는다. 그럼에도 이러한 소설을 읽는 건 무슨 이유일까? 그저 습관처럼 읽었을지도 모른다. 소설을 읽으면서 잠시나마 도망칠 수 없는 현실의 무게를 망각할 수 있으므로. 물론 소설의 마지막을 덮으면 바로 현실이 된다는 걸 안다. 그러나 소설을 읽기 전과 확연히 다르다.
보존과학자로 유물을 관찰하고 기록하며 그것들에게 생기를 불어넣는 일을 하는 남자와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정부에게 비밀리에 파견한 공무원인 여자. 모두 죽음을 지척에 둔 삶이다. 전혀 다른 곳에서 다른 방식으로 죽음을 만지는 그들이 만난 건 우연일까, 운명일까. 남자가 보존 처리한 미라 특별전을 여자가 관람한 것이다. 복원된 유물을 미화하는 설명에 화가 난 여자에게서 그는 강렬한 느낌을 받는다.
그녀는 생을 버리고 죽음을 선택했지만 실패한 이들에게 절망이 아닌 희망을 말하면서도 정작 자신의 삶은 온통 어둠뿐이었다. 지금껏 버텨온 생을 놓아버리고 싶었던 순간 그녀는 그에게 문자를 보낸다. 단 한 사람에게라도 자신을 보이고 싶었을 뿐이다. 아무런 기대도 없었다. 외할아버지와 엄마를 죽음으로 이끈 병, 그도 예외는 아니었다. 최선을 다해 자신을 지켜야 했지만 그녀를 외면할 수 없었다. 그것은 신호였다.
‘그는 어떤 것도 소홀히 지나칠 수 없었다. 그 모든 풍경과 소리와 냄새가 다 그녀와 자신의 사이를 이어주고 있는 어떤 가느다란 실낱처럼 여겨졌다. 그는 아슬아슬한 마음으로 그것들을 하나씩 자신의 눈에 음각하고 있는 중이었다.’ (137쪽)
서로에게 서로의 전부를 보이지 않아도 작은 눈빛만으로도 전부를 알 수 있을 것 같았다. 죽은 자의 유물을 파내는 구덩이, 그 어둠 속에서 사랑을 나누는 동안 그들에게 죽음 따위는 존재하지 않았다. 매일매일 자신에게 남겨진 시간을 갉아먹듯 살아가는 그에게 그녀는 자신을 기억하는 단 한 사람이자, 전부였다. 거기 죽음이 있으므로 삶을 포기하지 않고 묵묵하게 살아가는 남자에게 그것으로 충분했다. 스스로에게 아름다운 위안이자 애도를 부여한 것이다.
남겨진 자에게 위안이 되어야 하는 그녀의 일상은 그와의 만남 후 미세하게 달라졌다. 상담자를 대하는 태도와 삶에 대한 자세가 정해진 메뉴얼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음을 그녀는 느꼈다. 그것은 죽음을 당당하게 마주하는 것처럼 다가온다. 박영의 소설은 분명 죽음이란 이미지에서 시작되었지만 천천히 어둠과 그림자를 걷어낸다. 빛이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죽음을 상대할 수 있는 건 오직 삶이라는 진실. 설사 그 삶이 고독할지라도 아름답다는 걸 기억하라는 듯 빛이 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