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을 열지 않는 봄날이다. 미세먼지와 근처 아파트 신축 공사현장 때문이다. 아침저녁으로 쌀쌀하지만 한낮에는 창을 모두 열고 봄바람을 맞고 싶은 날들이다. 어떤 장소든 창이란 창은 다 열고 싶은 마음이다. 굵은 봄비가 기다려지기도 한다. 꽃향기를 품은 비 냄새는 달콤할 것만 같다. 기다리는 비 대신 시인이 들려주는 비를 읽는다.

 

 

        봄비

 

 3월에 내리는 봄비는

 노름빚투성이 새신랑이

 잠시 옷 갈아 입으러오는

 발소리 같고

 

 3월에 내리는 밤비는

 서투른 새댁이 치마끈 풀어

 만삭의 물항아리로 부풀어 오르는

 숨죽인 물소리 같고

 

 새벽이면 남몰래

 처마 밑으로 흘러가는

 산수유, 꽃눈에 얹힌

 노란 눈물 같기도 하고 ( 박승민 시집,『지붕의 등뼈』)

 

 

 최근에 시집을 몇 권 구매했고 곁에 두었다. 제대로 읽지 않았지만 그래도 거기 시집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뿌듯하다. 어쩌다 보니 시인이 쓴 산문도 읽었다. 남자 시인이 들려주는 책상에 대한 이야기. 시인의 책상은 글에 대한 욕망을 불러온다.

 

 시를 쓰기 위해 앉은 책상에 무엇이 놓여 있을까. 영감을 주는 어떤 물건이나 인물의 사진이 놓여 있는 건 아닐까. 시가 잉태되는 공간, 시와 시인이 하나가 되는 공간, 오롯이 그들의 은밀한 공간을 엿보는 짜릿함은 무엇일까. 아마도 시인을 흠모하는 나의 격한 마음 때문일지도 모른다. 이런 문장에서 나는 숨소리도 숨겨야만 할 것 같으니까.

 

 ‘잠이 고여 있는 밤이다. 누군가를 잃어버릴 것 같은 밤이다. 상실감은 상실 이전에도 가능한, 불완전한 사건이다. 당신은 모순을 사랑한다. 모순이 당신을 뒤흔드는 만큼. 누구나 태어나본 적도 없으므로 죽어지지 않는 책들을 가지고 있다. 누구나 무언가를 쓰는 공간을 갖고 있고, 당신에게 그 공간은 늙을 기회도 갖지 못한 나무의 몸으로 지은 책상이다. 책상은 온전히 책들을 받쳐 앉고 있으나, 시인에게 책상이란 자신을 받쳐 안은 또 다른 종이에 다름 아니다.’ (149쪽, 이이체의 글)

 

 

 책상이라는 사물이 시인에게는 시가 아니라 종이와 같은 것이었다. 책상에 대한 집착 혹은 애착이 시가 되고 문학이 되고 삶으로 확장된 것이다. 책상에 앉은 시간이 길어질수록 잡념이 늘어나는 나와 달리 시인은 상념이 시로 피어난다. 시인에게 책상은 저마다 다른 추억을 불러왔고 다른 의미였다. 나만의 책상을 갖고자 했던 열망이 있었고, 결코 잊을 수 없는 기억이 존재했고 설명하기 어려운 불편함이 있었다. 그들은 규격화된 책상과 함께 책상이라는 이미지를 말하고자 했다. 그러니까 시인에게 책상은 어디에나 존재했다. 다른 이름, 다른 모양으로 말이다.

 

 ‘책상은 나무를 호명한다. 나무는 바람을, 바람은 공중을, 공중은 새를 다시 호명할 것이다. 새는 깃털을, 깃털은 가벼움을, 가벼움은 운동하는 발을, 운동하는 발은 강물을, 책상이 떠다닌다. 내 손이 닿았던 책상들이 떠다닌다. 침묵들이 떠다닌다.’ (105쪽, 박진성의 글

 

 나무를 호명하고 세상의 모든 것들을 호명하는 시인의 책상과 내 책상은 확연히 다르다. 나에게 책상이란 무엇일까. 나의 책상에서 글이라 할 수 있는 게 나오지 않는 게 당연하다. 그런 욕망을 키우는 게 잘못인지도 모른다. 책들과 연필, 볼펜, 가위, 메모지가 너저분하게 자리한 내 책상는  책들과 시집 몇 권도 놓여 있다. 이렇게 사랑스러운 시를 품은 고영민의 『구구』란 시집도 함께.

 

 

  명랑

 

 나는 내가 좋습니다 당신도

 당신이 좋습니까

 

 낮에 당신은 당신에게 뭐라 말합니까

 밤에 당신은 당신에게

 뭐라 말합니까

 

 오늘 당신에게 내 생각이 잠깐

 다녀갔습니까

 오늘 나에게 당신 생각이

 잠깐 다녀갔습니까

 

 자기 꼬리를 물려고 빙글빙글 도는

 강아지처럼

 어둔 하늘 아래 천천히 시드는

 방앗잎들처럼

 

 가볍게 오고 싶지 않습니다 가볍게

 가고 싶지 않습니다

 

 정말입니다

 나는 내가 좋습니다 당신도

 당신이 좋습니까 (30쪽)

 

 

 이런 고백을 받고 싶다. 아니, 당신에게 이 시를 빌려 고백하고 싶다. 봄에만 만날 수 있는 꽃들이 피어나면 사람들은 꽃마주을 나갈 것이고 누군가는 깊은 밤 이런 시를 외고 읊을 수도 있겠다.  종잇장처럼 가벼웠을 몸, 마지막 봄일까 두려운 마음을 숨긴 채 어머니에게 봄을 보여주고 싶은 마음이 밤을 환하게 비추었을 터. 애절하고 아프다.

 

 

         밤 벚꽃

 

 꽃이 활짝 피었다는 소식을 듣고

 일부러 며칠을 더 지체했습니다

 

 당신을 업고

 천변에 나옵니다

 오늘밤 저 꽃들도 누군가의 등에

 얌전히 업혀 있습니다

 어둠 속에서 한 나무가 흘러내리는 꽃을

 몇 번이고

 추슬러올립니다

 

 무거운데

 이젠 나 좀 내려다오, 아범아

 내려다오

 

 피어 있을 때보다

 떨어질 때 더 아름다운 꽃이 있습니다

 

 당신을 업고 나무에 올라

 풀쩍, 뛰어내렸습니다 (65쪽)

 

 

  사랑

 

 늦은 저녁, 텅 빈 학교 운동장에 나가

 철봉에 매달려본다

 

 너는 나를

 있는 힘껏 당겨본 적이 있는가

 끌려오지 않는 너를 잡고

 스스로의 힘으로

 끌려가본 적이 있는가

 

 당기면 당길수록 너는 가만히 있고

 오늘도 힘이 부쳐

 내가 너에게 

 부들부들 떨면서 가는 길

 

 허공 중 디딜 계단도 없이

 너에게 매달려 목을 걸고

 핏발 선 너의 너머 힘들게 한번

 넘겨다본 적이 있는가 (82쪽)

 

 

 좋은 시가 많다. 물론 주관적인 평가다. 『구구』란 제목만 보고는 어떤 시가 있을까 궁금했다. 처음 만나는 시집에 대한 편견 혹은 경계(?)하고 해야 할까. 펼쳤더니 다정했고 친근했다. 익숙한 일상이 거기 있었고 그리움이 있었고 함께 읽고 싶은 시가 있었다. 3월이 지나면 곧 잔인한 4월이 온다. 잔인한 슬픔이 있다. 시를 읽는 시간, 슬픔이 조금은 약해지면 좋겠다. 그럴 수 없는 슬픔이라는 걸 알면서도 그런 바람을 버릴 수 없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서니데이 2016-03-30 17: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목련님 , 좋은 저녁시간 되세요.^^

자목련 2016-03-31 18:10   좋아요 1 | URL
서니데이 님도 맛있는 저녁 드시고 향기로운 시간으로 채우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