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워서 슬픈 생
금수
미야모토 테루 지음, 송태욱 옮김 / 바다출판사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연, 인연, 필연의 만남이 있다. 우연으로 시작된 만남은 인연으로 자라기도 하고 누군가는 우연을 필연이라 믿기고 한다. 피천득은 수필 인연에서 아사코와의 만남 중 세 번째 만남은 만나지 않았으면 더 좋았을 것이라고 했다. 헤어진 이들의 만남은 우연, 인연, 필연 중 어디에 해당되는 것일까. 그것도 연인이 아닌 이혼으로 남이 된 이들의 만남이라면. 살다 보면 한 번쯤 마주칠 수 있다고 해도 전 남편에게 편지를 보내는 근황을 묻고 지난날의 헝클어진 삶을 풀고자 하는 이는 없을 것이다.

 

 10년이라는 시간은 많은 것을 변화시킬 수 있는 시간이다. 이혼 후 재혼을 한 아키는 장애아들을 낳고 키우며 살고 있다. 우연히 전 남편 아리마를 만난다. 자신보다 더 사랑했던 남자가 불륜 상대와 동반자살을 시도했다는 사실에 헤어졌고 단 한 번도 연락을 한 적이 없었다. 그런데 알 수 없는 이끌림에 편지를 쓰고 만다. 아키의 진심은 무엇이었을까? 아키는 여전히 아리마를 사랑하고 있었던 걸까? 아니면 증오와 복수심에 따지고 싶었던 것일까?

 

 늦었지만 서로에게 용서를 구하고 남겨진 사랑을 확인하고 재결합을 하는 건 아닐까, 섣부른 판단을 했던 내게 두 사람의 편지는 뻐근한 통증을 안겨준다. 돌이킬 수 없어 제대로 돌아보지 못한 인생의 한 부분을 돌아볼 수 있는 용기를 보여준 것이다. 그랬다. 편지를 보낸 용기, 지난 삶과 현재의 삶을 고스란히 들려줄 수 있는 용기. 상대를 배려하기 위해 혹은 나를 감추기 위해 포장된 삶이 아닌 진짜 삶.

 

 ‘숲이 있는 곳을 지나서 산길을 오른쪽으로 돌아가 완전히 모습이 보이지 않게 되고 나서도 저는 오랫동안 그 자리에 서서 두 사람이 사라져 간 구부러진 길을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나뭇잎 사이로 내리쬐고 있는 그 길의 금빛 햇빛이 예전에 제 인생에서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쓸쓸하고 황량한 빛의 칼날이 되어 저의 지저분하게 때가 낀 마음을 찔렀습니다.’ (아리마의 편지 133~134쪽)

 

 ‘모든 인간이 죽음을 맞이할 때 각자가 한 행위를 보고 각자의 삶에 의한 고뇌나 안온을 이어받고, 그것만은 소실되지 않는 목숨이 되어 우주라는 끝없는 공간, 시작도 끝도 없는 시공 속으로 녹아드는 것이 아닐까?’ (아리마의 편지 231쪽)

 

 어쩌면 편지라서 아키와 아리마는 서로에게 온전한 자신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과거에 대한 회한이나 소회가 아니라 한 번도 내뱉지 않았던 심연의 목소리를 끌어낼 수 있었던 것이다. 서로의 인생에서 떼어낼 수 있다고 믿었던 시절이지만 떼어낸 흔적이 선명하게 존재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였다고 할까. 그것을 누군가는 고백이라 할 것이고, 누군가는 사랑이라 할 것이고, 누군가는 용서라고 할 것이다.

 

 ‘‘지금’ 당신의 생활 방식이 미래의 당신을 다시 크게 바꾸게 될 것임에 틀림없습니다. 과거 같은 건 이제 어쩔 도리가 없는, 지나간 일에 지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엄연히 과거는 살아 있어 오늘의 자신을 만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와 미래 사이에 ‘지금’이 끼여 있다는 것을 저도, 당신도 완전히 잊고 있었던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아키의 편지, 245쪽)

 

 『환상의 빛』에서 죽음을 통해 아름답고 쓸쓸한 생을 보여줬던 미야모토 테루는 여전히 지독한 허무와 아픈 상처를 담아낸다. 나는 왜 지금을 살고 있는지 무엇이 나를 이토록 아프게 하는지 근원을 알 수 없는 인생의 고독과 슬픔을 말이다. 그것들에 대한 의문을 잊은 채 그저 주어진 대로 살아가야 하는 게 우리의 생인지도 모르지만.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장소] 2016-03-11 10: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ㅡ저는 제가 그러고플 때가 있어요...잘 살았음 싶고..
인생의 어느부분을 함께했던 사람이니 그냥 부정하며 살기보단 ㅡ친구일수 있다면 좋겠으니까요.
아마 죽어도 싫을지 ㅡ저쪽은 ㅡ몰라도요.
ㅎㅎㅎㅎㅎ 이 여유는 대체 어디서 오는건지 ㅡ저의 경우...하핫!^^
자목련 님 말처럼 근원을 알수없는 슬픔과 고독, 허무들을 이미 맛봐버린 게 될까요?!^^

자목련 2016-03-13 17:47   좋아요 1 | URL
그래서 세상에서 제일 어려운 게 관계가 아닐까 싶어요.
슬픔과 고독, 허무를 맛을 보셨으니 이제 통섭의 맛을 보시면 어떨까요?

회색이라는 말이 아닌 다른 말로 표현하고 싶은 오후, 맑게 보내세요!!

[그장소] 2016-03-13 19:19   좋아요 0 | URL
언젠가 먼 산빛을 보고 친구는 제게 저 게 무슨색으로 보이느냐 하길래 저는 먼 회색빛 ㅡ먹을 엷게 푼듯해 ㅡ그리 대답했었는데 친구는 보라빛 아니냐고 하더라고요..
회색빛도 달리 보고자 하는 마음이 예뻐서 순간 친구를 마주봤었는데 ..
그런 저녁 만들고 계신지요? ^^

통섭은 혼자서 우긴다고 되는게 아닌가봐요.
소통가능할거라 믿은 제가 바보였다는 ㅡ일주일을 ..보내고 말예요.ㅎㅎㅎ
관계는 어린아이와도 만들려면 애써야 하거늘..
그렇죠? ^^;;

자목련 2016-03-15 18:06   좋아요 1 | URL
보라빛을 보는 친구분의 마음이 저도 예쁘네요.
맞아요, 소통은 혼자만 할 수 있는 게 아니지요. 순환하는 것처럼 소통도 그러하겠지 싶어요. 관계, 정말 어려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