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를 돌아보며 읽은 책을 정리하는 일은 즐겁다. 잊고 있었던 책들과 다시 마주하기 때문이다. 어렵게 읽었던 책, 놀랍게 읽었던 책, 오래도록 기억하고 싶은 책을 생각한다. 항상 책을 읽는다고 생각했는데 읽고 싶은 책만 나열한 글이 많다. 부끄러운 일이다. 해마다 다양한 책읽기, 인문서적 읽기를 목표로 삼지만 언제나 제자리 걸음이다. 외국문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내가 모르는 작가들은 왜 이리 많은지, 새로운 작가와 만날 때마다 놀란다. 특별했던 소설, 더 많이 알고 싶은 작가들의 소설이다.

 

 2013년 노벨문학상을 받은 앨리스 먼로의 단편집  『디어 라이프』 , 나만 그 명성을 몰랐던 파스칼 키냐르의  『세상의 모든 아침』 , 애정하는 작가 제임스 설터의  『가벼운 나날』 , 영화로 더 기대가 되는 토마스 H. 쿡의  『붉은 낙엽 , 매튜 탐정의 다른 활약이 궁금한 로렌스 블록의  『죽음의 한가운데 가 그렇다.

 

 앨리스 먼로의 소설집  『디어 라이프』 14편의 단편이 수록되었다. 여든이 넘은 작가의 삶에 대한 통찰력이 대단한 소설이다. 남성보다는 여성의 시선에서 바라보는 삶이라고 해야 할까. 해서 여성 독자들이 많은 공감을 할 이야기라 생각한다. 파스칼 키냐르의 책은 곁에 둔 지 오래지만 정작 만난 건  『세상의 모든 아침』 이다. 긴 소설이 아닌데 무척 힘겹게 읽었다. 읽고 리뷰를 썼지만 어떤 소설인지는 설명할 수 없는, 파스칼 기냐르는 내게 그런 작가다. 제임스 설터는 그냥 좋다. 단편집에 이어 만난 장편  『가벼운 나날』 에서도 그는 무심한 듯한 삶을 그려내고 뒤흔든다.  『붉은 낙엽』 은 정말 놀랍고 아름다웠다. 분명 추리소설이었다. 아이는 유괴되었고 범인은 잡혔다. 그 과정에서 의심과 불신에 대한 묘사가 정말 멋지다. 로렌스 블록의  『죽음의 한가운데』 는 추억을 불러온다. 사건이 아닌 사건에 속한 사람들의 이야기라고 해야 할까. 공중전화를 찾고 싶게 만드는 아련한 그리움까지 선물한다.

 

 

 

 

 

 

 

 

 

 

 

 

 여전히 읽겠다고 구매한 책들은 많다. 하나씩 모으는 밀란 쿤데라 전집, 급 궁금해진 토마스 만과 윌리엄 포크너, 세계문학들, 해외문학상 수상작들은 언제나 궁금하다. 가장 빨리 읽게 될 외국문학은 러시아 작가 막심 고리끼의  『마부』, 읽다가 멈춘 문학동네 세계문학 여명』, 읽은 이마다 호평만 하는 앤드루 포터의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애드 맥배인의 『조각 맞추기』, 줌파 라히리의 『축복받은 집』이다. 게획대로 읽을 수 있을지 자신할 수 없지만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레이야 2014-01-03 10: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목련님, 새해도 벌써 셋째날이네요. 신명나는 한 해 누리세요^^

자목련 2014-01-03 17:44   좋아요 0 | URL
어, 하는 사이에 내일이 주말이네요.
2014년에는 즐겁고 기쁜 일들이 많이 있었으면 좋겠어요.

프레이야 님, 매번 먼저 마음을 나눠주셔서 감사해요. 올해도 잘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