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에 만나는 책 제목이 『일요일의 철학』이다. 조경란의 신간 소설집이다. 일요일을 어떻게 보내는 게 철학적일까. 저마다의 일요일에 관한 이야기가 나올까. 궁금하다. 기다렸다고 말할 수 없지만 반가웠다. 그러니까 조경란은 신간 알림 문자를 설정하지 않는 작가다. 하지만 나는 그녀의 소설집을 구매할 것이고 읽게 될 것이다.  내 책장에는 그녀의 소설들이 있다. 『불란서 안경원』, 『나의 자줏빛 소파』, 『국자 이야기』, 『움직임』, 『혀』, 『풍선을 샀어』, 『복어』. 『복어』는 언니 집 책장에 있다.

 

 

 

 

 

 

 

 

 

 

 

 

 

나는 조경란의 소설을 좋아하는 걸까? 좋아한다는 쪽에 속하지만 그 크기는 얼마나 될까? 좋아한다고 정말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는 권여선의 소설집 『비자나무 숲』도 곧 나올 것이다. 장편이 아닌 단편이라 더 기대가 크다. 고백하지면 나는 그녀의 장편 『레가토』를 읽지 못했다. 읽기 시작했지만 그게 끝이었다는 말이다. 나는 권여선의 장편 보다 내 정원의 붉은 열매『분홍 리본의 시절』을 더 좋아한다.

 

 

 

 

 

 

 

 

 

 

 

 

 

 

 

 

 

 좋아하는 한국 문학을 알라딘에서 3월에 주목해줘서 좋다. (12달 내내 주목했는데 나만 몰랐더라도.) 조경란, 권여선, 정미경의 소설을 차례로 만나는 봄날이면 좋겠다. 짧은 봄이 사라지기 전에 말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이리시스 2013-03-25 2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국작가의 소설집이 출간되면 항상 문예지를 구독하고 싶다는 생각을 해요. 따끈따끈할 때 읽었으면 좋았을텐데 싶어서요. 예전에는 자주 서점에서 단행본으로 사읽었는데 구독은 너무 벅찼던 것 같아요. 받는데에 의의를 스스로 두게 될까봐, 청개구리라서 뭐 시키면 잘 안하거든요-_- 그나마 하는 게 유일하게 서평도서 서평쓰는 일 같아요. 국내소설은 읽더라도 리뷰 안썼었는데 써야할 경우에는 온갖 것들을 끌어올리게 돼요. 작가가 보면 창피할 것 같아서요. 조경란 소설 중에 뭐가 제일 좋았어요? 사실 요즘에는 여작가중에 누가 제일 좋다고 말할 수가 없게 되어버린 것 같아요. 읽지를 않았으니 앞으로 열심히 읽어서 자목련님 따라잡아볼게요!

자목련 2013-04-05 13:15   좋아요 0 | URL
늦어도 너무 늦은 답글이네요.
문예지를 구독해도 나중에 책으로 나오면 읽어야지 하는 마음이 커요, ㅎ
조경란의 소설은 초기 소설집<나의 자줏빛 소파>, <불란서 안경원>이 좋았어요. 장편으로는 <복어>가 좋았구요.

아이님이 올려주실 한국소설의 리뷰,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