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젯밤에는 폭설이 내릴 거라는 일기 예보를 듣고 커튼을 계속해서 들춰 보았다. 눈이 내리고 있었지만 앵커의 말처럼 걱정할 정도는 아니지 싶었다. 곧 잠이 들었고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내린 눈을 확인했다. 입춘부터 내리기 시작한 눈은 설날인 정월 초하루까지 자신의 존재를 보여줄 기세다. 연휴가 짧아 길 위에서 시간을 보내는 이들이 고생할 것 같다.  

 

 뚜렷한 이유 없이 불안하다. 얼마 전에는 잠들기 위해 수면제를 먹어야 했고, 어제는 꿈을 꾸었다.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 꿈이었다. 겨울과 봄이 힘 겨루기를 하듯 내 몸이 그러하다. 겨울이라는 어떤 기운과 봄이라는 어떤 기운이 충동한다고 해야 할까. 뭐, 그렇다는 말이다.

 

 저녁에는 반가운 이와 짧은 통화를 했다. 긴 겨울밤에 뭘 하냐고 물었다. 나는 웃으며 모니터를 붙잡고 있거나 텔레비젼을 붙잡고 있다고 말했다. 때때로 책도 붙잡고, 전화기도 붙잡고 있는데 그 말은 하지 못했다. 건강에 대해(특히 어지럼증) 이야기를 나눴고, 2월이 끝나기 전에 만나자고 약속 아닌 약속을 하고 명절 인사를 주고 받았다.

 

 주전자 가득 보리차를 끓였다. 입맛이 촌스러워 그런지 나는 보리차가 제일 좋다. 한 번은 올케 언니가 연잎을 넣고 끓인 물을 마신 적이 있는데 좋았던 기억이 있기는 하다. 고종석의 『해피 패밀리』를 주문하면서 읽지 못한 『어루만지다』도 같이 주문하려고 한다. 유안진 시인의 산문집 『상처를 꽃으로』와 정지아의 『숲의 대화』, 김선영의 특별한 배달,현의 번역으로 만나는 『어린 왕자』도 읽고 싶다.  새로운 표지로 나온김선우의 사물들』도 천천히 다시 읽고 싶다. 내가 가진 책은 이제 구간이 되었다. 나는 이 책의 표지가 더 마음에 든다.

 

 

 

 

 

 

 

 

 

 

 

 

 

 

 

 

 읽고 있는 책은, 미나토 가나에의 『왕복서간』이다. 『고백』, 『속죄』에 대한 평을 듣기만 했는데 직접 소설을 읽기는 처음이다. 간단히 말하자면 마주보고 할 수 없는(소설에서는 어떤 사건들) 이야기를 편지로 주고 받는 내용이다. 표정을 숨기는 가장 좋은 방법이 글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물론 그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잘 안다. 때로 글은 맨얼굴 그 이상으로 선명하게 주름과 잡티를 보여준다. 글은 때로 자유자재로 변할 수 있는 물이며, 무작정 화내고 쏘아대도 좋을 친구이며, 글은 조각 조각 비밀을 숨겨 놓기 좋은 숨은 그림 찾기라 할 수 있다. 그런 글이 있어 좋다. 글이라는 위로가 있어 좋다. (이렇게 써도 되는지 모르겠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3-02-07 05: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럼요~~ 글이라는 위로가 있어서 저도 좋은걸요!!! 그런데 자목련님 정말 일관되게 책 많이 읽으세요!!!!!
그런데 그런데 어디 아파요??????아프지 말기에요!!!!

자목련 2013-02-07 20:27   좋아요 0 | URL
읽기 보다는 쭉 책을 사고 있어요. ㅎ
<어지럼증>으로 힘든 건 지인이구요.
저는 부실하고, 저질 체력입니다..

2013-02-07 09:4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3-02-07 20:2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