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를 리뷰해주세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F. 스콧 피츠제럴드 지음, 김선형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화제의 중심에 이 책이 있다. 브래드 피트의 연기가 돋보이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의 원작. 영화에 대한 관심과 인기는 자연스레 출판계로 이어져 여러 출판사에서 같은 제목의 책들이 다투어 출간됐다.  원작을 뛰어넘은 영화인지, 역시 원작이다일지 둘 중에 어느 쪽에 손을 들어줘야 할까. 아직 영화를 보지 못했으니 그 평은 나중에 해야겠다.
 
 이미 다 알아버린 줄거리, 단편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는 내내 브래드 피트의 얼굴이 겹쳐진다. 자글자글한 주름을 한 얼굴로 유모차에 앉아있던 그 모습이 책속에 꽉 찬다. 동안 열풍이 생각난다. 같은 시대를 살면서도 남들과 다르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 벤자민 버튼의 아들은 아버지에게 그런 욕망을 가진 자라고 말하지만, 과연 벤자민은 행복했을까? 

 영화에선 젊어지는 벤지민과 반대로 늙어가는 그의 연인 힐더가드의 애틋한 사랑을 담았지만, 원작에서 사랑은 아주 작다. 남들과 다른 시간을 살아가는 모습을 익살스럽게 그렸지만 그가 격었을 삶의 상실감의 무게가 크게 느껴진다. 할아버지가 유일한 친구였던 어린시절 마찬가지로 할아버지가 된 벤자민에게도 손자만이 유일한 친구가 된다. 마치 알몸으로 태어나 알몸으로 생을 마감하는 인생의 참모습을 보여주는 듯 하다.  놀라운 것은 F. 스콧 피츠제럴드의 발상이다. 이런 기막힌 상상이 그를 위대한 작가로 만들었는지도 모른다.
 
 아주 짧은 단편과 중편의 11편의 소설들은 개성이 뚜렷하다. 가장 무도회에서의 실제 사건을 소재로 삼았다는 작가의 코멘트를 읽고 나니<낙타 엉덩이>를 쓰고 있었을 신사의 모습이 떠올라 웃음을 참아내기 어렵다. 당돌한 처녀의 나신의 등장하는 <도자기와 분홍>도 흥미롭다.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는 젊은이들의 문란한 습은 화려한 파티와 술집에서 그대로 드러난다. 특히, 1920년대 화려한 파티와 당당한 여성들의 등장은 호기심을 자극한다. 사실적 묘사와 환상이 넘나드는 그의 소설은 좀 어지럽기도 하다.
 
 표제작인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를 제외하고는 단연 <오, 적갈색 머리카락 마녀!>가 최고였다. 궁금증을 유발하는 전개 방식과 반전이 즐거운 단편이었다. 주인공 멀린이 한평생 가슴에 품고 사랑한 도도하고 아름다운 숙녀 캐럴라인의 실체가 드러나는 순간, 진정 그녀가 마녀였구나 고개를 끄덕인다. 화려했던 젊은 날이 지나고 늙어버린 날, 그제서야 알아버진 진실. 사랑도 삶도 물거품처럼 허무한 것인가.
 
<그는 이제 정말 노인이었다. 너무 늙어서 젊었던 시절을 꿈꿀 수도 없을 지경이었고, 세상의 휘황찬란함이 사라지고, 자식들의 얼굴과 따뜻함과 인생이주는 편안함에 기대기는커녕 시력과 감각을 잃어버릴 정도로 늙어버렸다. 봄날의 저녁 무렵, 아이들이더 어두워지기 전에 나와서 놀아달라고 외치는 소리가 들려도, 그는 이제 미소를 짓거나 오랜 몽상에 잠길 수 없으리라. 이제는 너무 늙어 추억조차 할 수 없게 되었다. > p 332  

 F. 스콧 피츠제럴드는 11편의 소설 모두를 친절하게도 설명을 해줬다. 그의 코멘트를 읽으면 단편에 대한 배경이나 그의 의도를 만날 수 있다. 1920년대 전쟁은 끝났고 전쟁을 겪은 젊은이들은 두려울 것도 거칠 것도 없었을 것이다. 그들에게 펼쳐질 새로운 세상에 대한 기대를 즐기는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모습은  어느 시대나 존재하는 법. 극과 극의 소설들은 스콧 피츠제럴드가 소설을 통해 보여주고 싶었던 젊은이들의 모습이 아닐까. 시대를 감싸고 흐르는 재즈에 몸을 맡기는 청춘을 그대로, 감정을 그대로.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F. 스콧 피츠제럴드의 다양한 소설을 만날 수 있다. 

  • 서평 도서와 맥락을 같이 하는 '한핏줄 도서' (옵션)  

 다른 출판사(펭귄클래식, 북스토리, 노블마인)에서 나온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영화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를 즐겁게 만난 사람,  F. 스콧 피츠제럴드의 책을 좋아하는 사람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그는 이제 정말 노인이었다. 너무 늙어서 젊었던 시절을 꿈꿀 수도 없을 지경이었고, 세상의 휘황찬란함이 사라지고, 자식들의 얼굴과 따뜻함과 인생이주는 편안함에 기대기는커녕 시력과 감각을 잃어버릴 정도로 늙어버렸다. 봄날의 저녁 무렵, 아이들이더 어두워지기 전에 나와서 놀아달라고 외치는 소리가 들려도, 그는 이제 미소를 짓거나 오랜 몽상에 잠길 수 없으리라. 이제는 너무 늙어 추억조차 할 수 없게 되었다. > p 332  <오, 적갈색 머리카락 마녀!> 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