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기별] 서평을 써주세요
바다의 기별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작가 김훈은 내게 무서운 인상이었다. 버럭 소리라도 지를 듯한 모습이었다. 앵커와 마주하며 자신의 소설을 이야기하던 그의 모습은 그랬다. 그의 글이 처음이기에 기대도 많았지만, 딱딱한 글 일꺼라는 생각이 떠나지 않았다. 그러나 처음 나를 만나는 글은 여린 글이었다. 산문 <바다의 기별>은 이렇게 시작된다. 모든, 닿을 수 없는 것들을 사랑이라 부른다. 모든, 품을 수 없는 것들을 사랑이라 부른다. 모든, 만져지지 않는 것들과 불러지지 않는 것들을 사랑이라 부른다. 모든, 건널 수 없는 거들과 모든, 다가오지 않는 것들을 기어이 사랑이라 부른다.본문 13쪽 아, 어쩌랴. 사랑은 이렇게 슬픈 노래인 것을, 김훈에게도 사랑은 그러하니. 그 짧은 글은 가만 눈을 감게 했다. 내게 지나간 사랑은 과연 그리했나. 잡고 싶은 사랑,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 그가 알리고 싶은 기별은 사랑이었나.
 
 치열한 삶의 현장, 생과 사를 넘나드는 곳을 기록하던 연필, 그 연필이 사적인 이야기를 쓰고 있다고 생각하니, 조금 생경한 느낌이 든다. 아버지에 대한 그리움, 딸아이에 대한 애잔함을 연필로 써내려며 과연 무슨 생각을 했을까. 어린 시절, 부산에서 미군에게 쪼꼬렛을 얻어 먹던 시절, 그 후로 다시는 허쉬 조꼬렛을 먹지 않는다는 작가 김훈. 추억속에서 그의 단호함, 그가 아버지로 부터 받았을 강직함이 설핏 스친다.  그의 글 중 나는 이 글에 밑줄을 긋고 그 글을 이해하고 싶다. 나의 고통은 나의 생명 속에서만 유효한 실존적 고통이다. 인간의 존엄은 그 개별성에 있을 것이다. 소설이 인간의 개별성 위에 언어의 구조물을 쌓아가듯이, 의학고 인간의 개별성을 구성함으로써, 문학과 의학은 만날 수 있다.본문 42쪽 실존적 고통, 개별성, 그리고 문학, 언젠가 나만의 정의를 내릴 수 있을까. 그것들과의 소통하는 시간이 멀더라도 오기만 한다면 좋으렸만.
 
 그가 기자로써 밥벌이를 할 때, 김지하의 출감을 기다리며 밤을 새우던 시간, 그가 만난 고 박경리에 대한 글. 읽는 내내 분명 특종기사를 실을 수도 있었을텐데. 그의 마음엔 무엇으로 가득차 있었을까. 손가락으로 그림을 그리는 화가 오치균과의 만남의 글에서 자신이 연필로 글을 쓰는 것에 대해 이렇게 말한다.
연필로 쓰기는 몸으로 쓰기다. 연필로 글을 쓸 때, 어깨에서부터 손가락 끝까지 작동되는 내 몸의 힘이 원고지 위에 펼쳐지면서 문장은 하나씩 태어난다. 살아 있는 몸의 육체감, 육체의 현재성이 없이는 나는 한 줄의 글도 쓸 수 없다. 글은 육체가 아니지만, 글쓰기는 온전한 육체노동인 것이다. 111쪽
 
최근 강연 내용을 원고로 쓴 글과 부록으로 그간의 서문 모음과 수상 모음을 만나는 것은 김훈을 좋아하는 독자들에게는 특별한 배려다. 또한 그 글을 통해, 김훈이라는 작가와의 거리는 좁혀진다. 오치균의 그림을 보며 그와의 만남을 기록한 부분을 자연스레 다시 읽어보니 글은 더 생생하게 살아난다.
 
13편의 산문은 그의 고백과 같다. 그는 시를 쓸 수 없다고 말하지만, 이미 긴 서사시를 쓰고 있었다. 단지 그것을 인정하고 싶지 않았던 것이 아닐까. 단단할 것만 같았던, 심연에서 흐르는 글은  마치 두부처럼 부드럽다고 할까. 고즈넉하게 해가 지는 모습이 떠오르고, 집으로 돌아가야만 할 것 같은 어린 시절이 생각나게 했다. 감정이 배어있는 편지글을 만난 것이다. 그러나 그 감정들을 온전하게 이해하지 못함은 당연한 것이라 위안을 삼는다.
 
 김훈, 강철같은 느낌은 아직 남아 있다. <칼의 노래>, <현의 노래>, <남한산성> 등 과 같은 남성적이고 전투적인 글로도 유명하지만 나는 그의 <화장>, <언니의 폐경>속에 녹아든 소통으로의 언어가 궁금하다. 이제 곧 그와의 소통이 시작된다. 우선 <화장>부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