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를 부탁해] 서평단 설문 & 리뷰를 올려주세요
엄마를 부탁해
신경숙 지음 / 창비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모가 되어서야 부모의 마음을 안다하나, 실상 부모가 되어서는 부모보다는 자식만을 챙기게 된다. 어리석은 줄 알지만 자식이 부모보다 항상 한 발은 더 가까이 있는 듯 하다. 품안에 자식이라고 하지만 부모는 늙은 자식도 언제나 안타깝고 안쓰러운 존재인 것을 왜 우리는 부모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하는 걸까. 신경숙의 신작 <엄마를 부탁해>(창비, 2008년)를 마주하고 얼마나 많은 눈물을 흘렸는지 모른다. 그녀의 글은 <깊은 슬픔>, <깊은 숨을 쉴 때마다>, <그는 언제 오는가> 이처럼 제목부터 메마른 떨림을 이야기 한다. <엄마를 부탁해> 내겐 이제 누군가에게 부탁할 엄마가 없다. 다만 신에게 엄마의 영혼을 부탁할 뿐이다. 

 언제나 손 내밀면 잡아주고 듣기 싫은 파열음으로 화를 내도 묵묵히 다 들어주는 엄마, 자신의 모든 것을 자식에게 다 내어주고 빈껍데기로 살면서도 언제 그 껍데기라도 자식이 필요할지 몰라 전전긍긍하는 엄마, 눈물이 난다. 자꾸만 눈물이 난다. 그런 엄마를 잃어버렸다. 잘난 자식 중 어느 하나 상경하는 부모를 마중할 시간이 없어 그만 아버지 손을 놓진 엄마는 어디에도 없다.

 정갈하고 맑은 분, 흐린 판단을 하지 않을 분으로만 알았다. 늙어짐에 쇠약하고 정신을 서서히 놓고 계심을 알고 있었으면서도 남편도 딸도 내심 부정하고 싶었을 뿐이다. 큰 아들 처음 방을 얻어 살던 집, 며느리를 들이고 그 아들이 내 집 마련했던 동네 시장 어귀에서 엄마를 보았다는 연이은 제보에 자식들은 그 시절을 떠올린다. 엄마가 환하게 웃으셨던 모습, 빠른 손놀림으로 집 안을 빛내주셨던 엄마. 

 간절하게 엄마를 찾기를 바랐다. 제발 소설 속에서 엄마가 다시 그 자리로 돌아와주기를 바랐다. 아니, 소식만이라도 알려주기를 바랐다. 그러나 작가 신경숙은 끝내 가슴속에 고인 길고 긴 울음을 이어가게 만들었다. 고요하고 담담하게 엄마와의 추억을 엄마의 지난 날을 이야기하게만 했다. 아들의 소리를 통해, 남편의 소리를 통해, 딸의 소리를 통해. 자식에게 든든한 지원을 해주지 못해 미안해하던 모습, 딸이 쓴 소설을 읽고 싶어했던 엄마의 간절함, 바람처럼 세상을 향해 떠돌던 아버지의 몫까지 살림을 도맡았던 모습을 회상한다.

 아내의 손은 무엇이든 다 살려내는 기술을 가진 손이었다. 이 집은 짐승이 잘 되지 않는 집이었다. 아내가 이 집으로 들어오기 전에는 개를 얻어다 기르면 새끼 한 번 못 받고 죽어나갔다.  (....) 이 집은 개는 안된다고 당신의 누님이 일렀으나 아내는 다른 집에서 막 태어난 강아지 한 마리를 눈을 가린 채 데리고 왔다. (...)그리 데려온 강아지는 마루 밑에서 아내가 주는 밥을 먹고 무럭무럭 자라서 새끼를 다섯 배 여섯 배 낳았다. (...) 아내의 손이 닿으면 무엇이든 풍성하게 자라났다. (...)아내의 손길이 스치는 곳은 곧 비옥해지고 무엇이든 싹이 트고 자라고 열매를 맺었다. 160~161쪽

 남편이 기억하는 아내의 손, 자식들이 기억하는 엄마의 손은 투박하고 거칠지만 생명을 만드는 손이었다. 어디서든 모든 자식들을 감싸고, 요술 방망이처럼 엄마의 손을 거치면 완전하게 돌아오는 살림살이들, 지친 마음 달래는 약 손. 그 손을 따뜻하게 잡아드린 적이 있는가. 고단한 삶을 투정이나 부리고 짜증 섞인 말투로 쏟아내기나 하는 우리네 자식들.

 내가 엄마로 살면서도 이렇게 내 꿈이 많은데 내가 이렇게 나의 어린 시절을, 나의 소녀 시절을, 나의 처녀 시절을 하나도 잊지 않고 기억하고 있는데 왜 엄마는 처음부터 엄마였던 것으로만 알고 있었을까. 엄마는 엄마의 꿈을 펼쳐볼 기회도 없이 시대가 엄마 손에 쥐여준 가난하고 슬프고 혼자서 모든 것과 맞서고 그리고 꼭 이겨나갈밖에 다른 길이 없는 아주 나쁜 패를 들고서도 어쩌든지 최선을 다해서 몸과 마음을 바친 일생이었는데. 난 어떻게 엄마의 꿈에 대해서는 아무런 생각도 해본 적이 없었을까. 261~262쪽

 정말 그랬다. 엄마는 언제나 엄마여야만 했다고. 소녀도 여자도 아닌 그저 엄마로만. 참으로 잔인한 마음이다. 우리들 모두의 페부를 찌르는 글을 작가 신경숙은 어쩜 이리도 차분하게 써내려 갔을까. 엄마를 잃은 상실도 분노도 흥분도 그녀의 글에서는 깊은 숨을 내쉬게 한다. 언제나 그리운 엄마, 책을 덮고도 떨리는 가슴을 진정시키기 힘들다.  이제 들을 수 없는 엄마의 목소리, 이제 잡아볼 수 없는 엄마의 손이 그리운 날들이 연일 계속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